한국   대만   중국   일본 
산딸기(山딸기) - 나무위키

산딸기(山딸기)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다른 뜻 아이콘  
은(는) 여기로 연결(連結)됩니다.
스웨덴 영화(映畫)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산딸기(山딸기)(1957)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 한국(韓國)의 에로영화(映畫) 시리즈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산딸기(山딸기) 시리즈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장미(薔薇)
산딸기(山딸기)
벚나무
기타
진달래과
무환자나무과(無患子나무科)
박(朴)과
뽕나무과(科)
선인장(仙人掌)과
포도과(葡萄科)
기타
재배(栽培)
과일
수입(輸入)
과일
: 과채류(果菜類) · 종(種) : 일반적(一般的)으로 과일/견과류(堅果類)보다 종자(種子)에 가까움 · : 일반적(一般的)으로 산지(産地)에 가야 먹을 수 있음
그외(外) 비가공(非加工) 식품(食品) 및 재배(栽培)물 틀: 고기 · 곡물(穀物) · 과일 · 채소(菜蔬) · 해조류(海藻類) · 향신료(香辛料)
산딸기(山딸기)속 (라즈베리)
Raspberry
external/upload....
학명(學名)
Rubus
L.
분류(分類)
장미군 (Rosids)
장미목 (Rosales)
장미과(薔薇科) (Rosaceae)
장미아과 (Rosoideae)
산딸기족(山딸기族) (Roseae)
산딸기(山딸기)속 ( Rubus )
[ 펼치기 · 접기 ]
산딸기(山딸기) (한국산딸기(韓國山딸기), R. crataegifolius )
겨울딸기 ( R. buergeri )
수리딸기 ( R. corchorifolius )
복분자딸기(覆盆子딸기) ( R. coreanus )
( R. gunnianus )
( R. ellipticus )p

서양산딸기(西洋山딸기) ( R. fruticosus )
장딸기 ( R. hirsutus )
멍덕딸기 ( R. idaeus )
└유럽산딸기(山딸기)(유럽라즈베리, R. i. var. vulgatus )

가시딸기 ( R. hongnoensis )
( R. leucodermis )

서양복분자딸기(西洋覆盆子딸기) (블랙베리, R. occidentalis )
멍석딸기 ( R. parvifolius )
곰딸기 ( R. phoenicolasius )
( R. rosifolius )

미국산(美國産)딸기 ( R. strigosus ) 등(等)

1 . 개요(槪要) 2 . 생태(生態) 3 . 종류(種類) 4 . 식재료(食材料)로서의 쓰임 5 . 여담(餘談)
5.1 . 산딸기(山딸기)와 파란색(파란色)

1. 개요(槪要) [편집(編輯)]

ㅅㄸㄱ

산딸기(山딸기) (라즈베리, raspberry)는 장미(薔薇) 목 장미과(薔薇科) 산딸기(山딸기)속( Rubus )에 속(屬)하는 열매, 또는 그중(그中)에서도 산딸기아속(山딸기亞屬)(subg. Idaeobatus )과 루(壘)부스아속(亞屬)(subg. Rubus ) [1] 에 속(屬)하는 먹을 수 있는 열매를 맺는 식물(植物)의 통칭(通稱)이다. '나무딸기'라고도 부른다.

영어(英語) 로는 '숲속에서 잘 자라는 식물(植物) 로 식용(食用) 가능(可能)한 알록달록하고 동글동글하며 작은 열매'를 종(種)에 상관없이(相關없이) 모두 베리(berry)라고 부르는데, 그중(그中)에서 산딸기(山딸기)속( Rubus )에 들어있는 종(種)을 라즈베리(Raspberry)라고 칭(稱)한다. [2] 따라서 산딸기(山딸기)와 라즈베리는 같은 말이나, 한반도(韓半島)에 자생(自生)하는 한국산딸기(韓國山딸기)( R. crataegifolius )와 유럽산딸기(山딸기)(유럽라즈베리, R. idaeus var. vulgatus )는 속은 같고 종(種)에서 갈라져 나온 친척(親戚)이다. 유럽에서는 멍덕딸기종(種)의 하나인 유럽산딸기(山딸기)가 주로(主로) 재배(栽培)되는 반면(反面) 미국(美國)에서는 미국산딸기(美國山딸기)( R. strigosus )와 서양복분자딸기(西洋覆盆子딸기)( R. occidentalis )가 주로(主로) 재배(栽培)되며, 현대(現代)에는 주로(主로) 유럽산딸기(山딸기)와 미국산딸기(美國山딸기)의 교배종(交配種)이 상품(商品) 품종(品種)으로 재배(栽培)된다. 한국산딸기(韓國山딸기)는 영어(英語)로 코리안 라즈베리(Korean raspberry)라고도 부른다('종류' 문단(文壇) 참조(參照)).

2. 생태(生態) [편집(編輯)]

Chinese brambles
원예학자(園藝學子) 윌리엄 왓슨의 《Climbing plants(1915)》에 묘사(描寫)된, 동아시아(東아시아) 일대(一帶) 자생(自生)하는 산딸기(山딸기)들에 대(對)한 삽화(揷畵). 왼쪽에서부터 복분자딸기(覆盆子딸기) (R. coreanus), 히말라야블랙베리(R. thibetanus), 수리딸기(R. corchorifolius)이다.

화석상(化石床)의 기록(記錄)으로는 2015년(年)에 중국(中國) 윈난성(윈난省) 란핑 바이족(族) 푸미족(未足) 자치현(自治玄)에 있는 플라이오세 중기(中期) 지층(地層)에서 발견(發見)된 것이 최초(最初)이다. 영어(英語) 논문(論文)

야생(野生)에 많이 보여 초여름(初여름) 산(山)을 걷다 보면 산딸기(山딸기)가 달린 것을 볼 수 있다. [3] 열매 번식(繁殖) 외(外)에 뿌리 번식(繁殖)이 되기 때문에 줄기만 따로 심어도 자라고, 그 덕분(德分)에 산딸기나무(山딸기나무)가 한 그루라도 있으면 그 주위(周圍)를 순식간(瞬息間)에 뒤덮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경상남도(慶尙南道) 김해시(金海市) 등지(等地)에서 많이 생산(生産)되고 있으며 산딸기(山딸기) 와인 , 산딸기(山딸기) 식초(食醋) 등(等)의 관련(關聯) 식품(食品) 개발(開發)도 진행(進行)되고 있다.

장미과(薔薇科)에 속(屬)해서 줄기와 잎 뒤쪽에 가시가 있기는 하나 이 식물(植物) 자체(自體)가 워낙에 작아서 눈에 잘 띄지 않는다. 하지만 산딸기(山딸기)를 따다가 간혹(間或) 가시에 찔리는 경우(境遇)는 있다.

3. 종류(種類) [편집(編輯)]

산딸기
멍석딸기
산딸기(山딸기)(한국산딸기(韓國山딸기))
멍석딸기
곰딸기
뱀딸기
곰딸기
뱀딸기(관상용(觀賞用)) [4]
겨울딸기
장딸기
겨울딸기
장딸기
국내(國內)에서 자생(自生)하는 종류(種類)가 제법 많다. 산딸기(山딸기), 줄딸기, 멍석딸기, 장딸기, 곰딸기, 거지딸기, 수리딸기, 복분자(覆盆子) , 겨울딸기, 오엽딸기(五葉딸기), 섬딸기 등(等) 이 외(外)에도 수많은 종류(種類)의 산딸기(山딸기)들이 있다. 개량(改良)된 품종(品種)이 아니라서 대체로(大體로) 씨앗이 억센 종류(種類)가 많다. 열매는 붉은색(붉은色)을 띠고 알갱이들이 다수(多數) 박혀 있는 구조(構造)이며, 이것을 식용(食用)한다. 시큼한 단맛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을 따로 모아 술을 담가 먹거나 을 만들어 먹는다. 보릿고개 시절(時節) 때 자주 먹기도 했었던 식물(植物)이었다. 그중(그中) 복분자(覆盆子) 딸기는 한국(韓國) 원산(元山)으로, 산딸기(山딸기) 중(中)에서도 짙은 포도(葡萄) 색(色)을 띤다.

딸기 와 같은 장미과(薔薇科)에 속(屬)하지만, 딸기는 딸기속( Fragaria spp. )에 속(屬)하며 산딸기(山딸기)는 산딸기(山딸기)속( Rubus spp. )이다. 또한 산딸기(山딸기)는 조그맣긴 해도 일단(一旦) 목본식물(木本植物)(관목(灌木))이기 때문에 딸기와 달리 '과일'이라고 확실(確實)하게 정의(定義)할 수 있다. 국내(國內)에도 딸기속( Fragaria spp. )에 속(屬)하는 식물(植物)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강원도(江原道) 이북(以北)의 고산(高山) 지대(地帶)에 자생(自生)하기 때문에 남한(南韓)에서는 보기 힘들다. 블랙베리 역시(亦是) 서양산딸기(西洋山딸기)( R. fruticosus )를 중심(中心)으로 루(壘)부스아속(雅俗)에 포함(包含)되는 몇 가지의 종(種)을 형태(形態)에 따라 묶어 부르는 것으로, 다른 산딸기(山딸기)와는 모양(模樣)이 좀 다르다. 복분자(覆盆子) (복분자딸기(覆盆子딸기))는 Korean blackberry( R. coreanus )라고 부른다.

개중(個中)에는 열매의 색깔(色깔)이 황금빛(黃金빛)을 띠는 것도 있다. 황금복분자(黃金覆盆子)나 섬딸기, 거제딸기(巨濟딸기), 전라남도(全羅南道) 목포시(木浦市) 맥(脈)도 ( 율도동 산113)의 맥도딸기(麥島딸기)가 그러하다. [5] 맥도딸기(麥島딸기)는 멸종(滅種) 위기종(危機種)은 아니나 희귀(稀貴)해서 수집가(蒐集家)들 사이에선 인기(人氣)가 많은 종류(種類)이고, 거제딸기(巨濟딸기)는 멸종(滅種) 위기종(危機種)이다. # [6]

산딸기(山딸기)나 나무딸기 종류(種類)는 작은 나무처럼 자라는 것이 특징(特徵)이나, 장딸기라는 종류(種類)는 딸기 처럼 덩굴에서 자란다. 일반적(一般的)인 산딸기(山딸기)에 비해 열매를 이루는 방울이 작은 것이 특징(特徵). 살짝 씁스름하면서 새콤달콤한 맛이다. 과거(過去)에는 뒷산(뒷山)에 흔해서 바로바로 따 먹을 수 있었지만 현재(現在)는 드물어졌고, 복분자(覆盆子)처럼 재배(栽培)하는 것이 일반적(一般的)이다. 산(山)에서 발견(發見)했다면 당연히(當然히) 먹어도 되지만, 먹기 전(前)에 벌레가 있는지 확인(確認)해 보자. 야생(野生) 종(種)의 특성상(特性上) 구더기가 파먹은 경우(境遇)도 존재(存在)한다. 포장(包裝)된 것을 구매(購買)해서 집에서 먹을 때에도 종종(種種) 작은 벌레가 그릇에 기어다니는 것을 확인(確認)할 수 있다.

한편(한便), 뱀딸기는 Rubus 속이 아니라 Duchesnea 속이고 관목성(灌木性)이 아닌 초본류(草本類)이다. 열매 구조(構造)도 산딸기(山딸기)보다는 일반(一般) 딸기 쪽에 가깝다. 뱀딸기란 이름은 중국(中國) 일본(日本) 에도 동일(同一)하게 쓰이는 이름( ? )인데, 이는 이 자주 다닐 만한 곳에서 자라기 때문에 붙여졌다 전(傳)해진다. [7] 산(山)보다는 길 쪽에 더 흔하다. 못 먹는 것은 아니지만 아무 맛도 없다. 입에 넣으면 아주 잠깐 딸기 향(香)이 올라온 후(後)에 맹물을 씹는 듯한 무미(無味)한 맛이 난다. 시큼한 것도 아니고 떫은 것도, 단 것도, 하다못해 쓴 것도 아닌 그냥 물에 축인 스펀지를 씹는 느낌. 본초강목(本草綱目) 에 의(依)하면 뱀딸기는 성질(性質)이 차가워 많이 먹으면 차가운 침이 계속(繼續) 올라오고 설사(泄瀉)를 할 수 있다고 한다. 일부(一部) 지방(地方)에서는 약(約)딸기로 부르기도 한다.

4. 식재료(食材料)로서의 쓰임 [편집(編輯)]

칮켘
산딸기(山딸기)를 얹은 쇼트 치즈케이크 .
산딸기(山딸기)는 열매 째로 먹을 수도 있고 잼이나 과일청을 담가 먹을 수도 있으며, 조리(調理)해서 각종(各種) 음식(飮食)들, 특히(特히) 디저트의 재료(材料)로 사용(使用)되기도 한다. 산딸기(山딸기)를 사용(使用)한 대표적(代表的)인 음식(飮食)으로 라즈베리 파이 , 덴마크식(式) 크림 산딸기(山딸기)죽인 뢰(罍)드그뢰(罍)드 메드 플뢰데 등(等)이 있다.

수입(輸入)되는 라즈베리는 흔히 마트에서 냉동(冷凍)으로 판다. 단독(單獨)으로 먹으면 신맛만 나지만, 단맛이 더 강(剛)한 블루베리 블랙베리 를 곁들여 우유(牛乳) , 요거트 , 탄산음료(炭酸飮料) 와 함께 섞어서 갈아 먹으면 신맛이 어느 정도(程度) 중화(中和)되면서도 새콤한 풍미(風味)가 남아서 그럭저럭 먹을만해진다. 또한 설탕(雪糖), 물엿, 올리고당과 같이 산딸기(山딸기)를 갈면 달콤새콤한 맛이 나고, 라즈베리 청(請)이나 잼, 퓨레로 만들어서 다른 빵이나 과자(菓子) 등(等)과 함께 먹는 방법(方法)도 있다. [8] 유럽 등지(等地)로 가면 산딸기(山딸기) 주스나 잼을 쉽게 구(求)할 수 있다.

수분(水分)이 많고 껍질이 약(弱)한 열매이므로 별다른 조치(措置) 없이 실온(室溫)에서 보관(保管)할 경우(境遇) 곰팡이 가 슬기 쉽다. 적정(適正) 보관(保管) 온도(溫度)는 1도(度)에서 5도(度) 사이라 냉장(冷藏) 보관(保管)이 좋고, 냉장(冷藏) 보관(保管)해도 4~5일(日) 이내(以內)에 먹어치우는 게 좋다. 경상도(慶尙道) 지방(地方)에서는 산딸기(山딸기)를 설탕(雪糖)에 절여 썩지 않도록 처리(處理)하기도 한다.

5. 여담(餘談) [편집(編輯)]

  • 아카데미상(아카데미賞)의 패러디 상인(商人) 골든 라즈베리 의 트로피 역시(亦是) 그 이름처럼 산딸기(山딸기) 모양(模樣)을 본뜬 것이다.
  • 상술(詳述)한 뱀딸기 이름의 유래(由來)와 마찬가지로 ' 죽림(竹林) 에는 호랑이(虎狼이) 가 있고 산딸기(山딸기) 나무 밑에는 뱀이 있다'는 말이 있다. 실제로(實際로) 산딸기(山딸기)가 우거진 덩굴 사이에는 이 있을 확률(確率)이 높으므로 채취(採取)할 때는 주의(注意)해야 한다.
  • 한국(韓國) 설화(舌禍) 중(中)에는 노모(老母)가 겨울에 산딸기(山딸기)를 먹고 싶다고 해서 효성 지극(至極)한 아들이 갖은 고생(苦生) 끝에 한겨울에 산딸기(山딸기)를 구(求)하는 이야기 가 있다. 완전(完全) 거짓말일 것 같지만 제주도(濟州道) 에 가면 겨울딸기 라고 하여 겨울에 열매를 맺는 딸기가 있다.
  • 스카이림(林) 의 스노우베리(인동(忍冬)딸기) # 는 종(種)이 좀 다르기는 하지만 실제로(實際로) 존재(存在)하는 식물(植物)이다.

5.1. 산딸기(山딸기)와 파란색(파란色) [편집(編輯)]

산딸기(山딸기)(라즈베리) 맛이 보편화(普遍化)된 미국(美國) 쪽 식품(食品)을 둘러보면 은근(慇懃)히 라즈베리 제품(製品) 또는 라즈베리를 상징(象徵)하는 색(色)이 빨간색(빨간色)이나 홍색(紅色)이 아닌 파란색(파란色)으로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자연(自然)에서 푸른 빛깔을 띠는 라즈베리는 극소수(極少數)이고, 그마저도 포도(葡萄)와 비슷한 보라색(보라色) 빛깔을 낼 뿐 블루베리 처럼 시퍼런 색(色)의 라즈베리는 없다.

이는 두 가지 이유(理由)에서 탄생(誕生)했는데, 첫 번째(番째)로 원래(元來) 쓰던 색소(色素)가 금지(禁止)되어서 , 그리고 두 번째(番째)로 빨간색(빨간色)을 쓰는 다른 맛의 경쟁자(競爭者)가 너무 많아서 로 나뉠 수 있다. 예전엔 라즈베리도(度) 원래(元來)의 생김새를 나타내기 위해 자체적(自體的)으로 만든 빨간색(빨간色) 염료(染料)를 사용(使用)했지만, 미(美) FDA 에서 해당(該當) 염료(染料)가 발암(發癌) 가능성(可能性)이 있다고 판단(判斷)해 사용(使用) 금지(禁止) 명령(命令)을 내렸다.

또한 이 과정(過程)에서 라즈베리 맛과 겹치는 색상(色相) [9] 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어, 이에 차별화(差別化)가 필요(必要)하다 판단(判斷)한 연구진(硏究陣)은 옆에 있던 파란 염료(染料)를 쓰게 되면서 현재(現在)의 라즈베리 맛이 되었다.

이 과정(過程)에서 들어간 색소(色素)는 (일단(一旦)은) 인체(人體)에 무해(無害)하다고 판단(判斷)되었지만, 오래 먹으면 혀가 파래졌기 때문에 라즈베리를 쓴 음식(飮食), 특히(特히) 입에 넣고 오랜 시간(時間) 물고 있어야 하는 사탕류(沙糖類)는 그 정도(程度)가 심해(深海)서 "블루 텅(파란 혀)"이라는 별명(別名)이 붙었다.

[1] 일반적(一般的)인 명명법(命名法)에 따르면 루(壘)부스아속이 산딸기아(山딸기亞)속으로 번역(飜譯)되었어야 하나, 반대(反對)로 원음(原音)을 그대로 읽은 '루(壘)부스아속(亞屬)'이 되었다. <가시딸기(Rubus hongnoensis Nakai)의 외부형태학적(外部形態學的) 형질(形質)에 기초한 분류학적(分類學的) 재검토(再檢討)> 등(等) 국내(國內) 논문(論文)에서도 Idaeobatus 쪽을 산딸기아(山딸기亞)속으로 칭(稱)한다. [2] Encyclopædia Britannica, "Raspberry", Published June 15, 2019 # . [3] 그 밖의 계절(季節)에는 찔레 와 구분(區分)이 어렵다. [4] 정확히(正確히)는 산딸기(山딸기)에는 속(屬)하지 않음 [5] 국가표준식물목록(國家標準植物目錄)에 거제딸기(巨濟딸기), 맥도딸기(麥島딸기)가 따로 등록(登錄)되었으나 비합법명(非合法名)이다. 또 분포지가(分布地價) 같고 외형(外形) 형질(形質)에서 연속변이(連續變異) 양상(樣相)이 보이기 때문에 2가지 종(種) 모두 섬딸기와 동일종(同一鐘)으로 보는 견해(見解)가 우세(優勢)하다. 그렇지만 줄기의 가시 유무(有無) 혹은(或은) 연모(戀慕) 유무로 다른 종(種)으로 보는 견해(見解)도 있다. [6] 거제딸기(巨濟딸기)는 학명(學名)이 Rubus tozawai Nakai ex T. H. Chung, 맥도딸기(麥島딸기)는 Rubus longisepalus Nakai이다. 꽃받침열편(裂片)들 길이가 일정하고 짦으면 거제딸기(巨濟딸기), 꽃받침열편(裂片)들 길이가 길고 그중(그中) 하나가 유난히 길고 끝부분(部分)이 갈라지면 맥도딸기(麥島딸기)로 구분(區分)하기도 한다. [7] 이 먹는 딸기라서 붙여졌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뱀은 순수(純粹) 육식성(肉食性)이기 때문에 뱀딸기를 먹지 않는다. 옛날 사람들이 뱀딸기 근처(近處)에 뱀이 자주 나오는 것을 보고 뱀이 뱀딸기를 먹으러 오는 것이라 착각(錯覺)해서 생겨난 이야기로 보인다. [8] 그러나 그렇게로만 먹으면 산딸기(山딸기)의 리얼한 맛을 모를 수 있다. [9] 딸기 같은 우리나라에서 메이저한(韓) 맛은 물론(勿論)이고, 해외(海外)에서는 체리, 수박 같은 다른 메이저한(韓) 맛들과 같은 색(色)을 쓴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  
  •  
  •  
  •  
  •  
  •  
  •  
  •  
  •  
  •  
  •  
  •  
  •  
  •  
  •  
더 보기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