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콘스탄티노폴리스 總大主敎 포티오스 1歲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콘스탄티노폴리스 總大主敎 포티오스 1歲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포티오스 ( 그리스어 : Φ?τιο? , 820年 警 ? 893年 2月 6日 )는 콘스탄티노폴리스 總大主敎 (첫 番째: 858年 - 867年 / 두 番째: 877年 - 886年 )이었고 요한네스 크리소스토무스 以來로 가장 强力하고 影響力 있는 總大主敎 로 손꼽힌다. 東方 正敎會 로부터 成人 으로 推戴되었고 丑日은 2月 6日 이다.

生涯 [ 編輯 ]

初期의 生涯 [ 編輯 ]

포티오스의 家計나 祖上에 對하여는 아버지가 總大主敎 를 지낸 타라視우스와 兄弟 사이고 外三寸이 女帝 테오도라 의 女同生과 結婚했다는 事實外에는 別로 알려진 바가 없다. 포티오스는 元來 聖職者가 아니라 學者였다. 그는 뛰어난 學識과 學問으로 이름을 날리고 있었다. 그는 콘스탄티노폴리스의 大學에서 文法과 修辭學, 哲學等을 가르쳤다. 女帝 테오도라의 오빠 바르다스 가 權力을 잡았을 때 포티오스는 그의 切親한 親舊이자 助言者가 되었다.

바르다스 는 自身의 며느리와 사랑에 빠져 糟糠之妻를 버리는 일이 있었는데 當時 콘스탄티노폴리스 總大主敎人 頑固한 이그나티오스 는 이를 强力하게 非難하고 나섰고 그로 인해 바르다스와 사이가 나빠졌다. 때마침 攝政을 펴던 女帝 테오도라가 젊은 皇帝 미카일 3歲 에 依해 쫓겨나게 되자 權力을 잡은 바르다스는 이그나티오스에게 口實을 만들어 追放해 버렸고 그 後任에 포티오스를 앉혔다. 포티오스는 聖職者가 아니었기에 거의 1週日만에 削髮式, 朗讀者, 訃報制, 報祭 , 新婦 의 敍品 段階를 거쳐 主敎 가 되었고 總大主敎에 任命되었다. 그러나 頑固한 이그나티오스가 頑强히 辭退를 拒否하였기 때문에 正式으로 就任을 할 수 없었다. 포티오스는 自身의 地位를 確固히 하고자 로마 에 使節을 보내 敎皇 니콜라오 1歲 에게 이그나티오스의 解任과 自身의 地位에 對한 承認을 要請하였으나 콘스탄티노폴리스 敎會에 對한 影響力을 强化하려던 敎皇은 산타 마리아 마調레 大聖堂 에서 온갖 珍貴한 膳物만을 받고는 포티오스를 承認하기를 拒否했다.

敎皇과 總大主敎의 對決 [ 編輯 ]

敎皇 니콜라오는 이듬해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眞相調査를 위한 委員會를 열자고 하면서 慇懃히 콘스탄티노폴리스 管轄 敎區들의 로마 敎區로의 移管을 비추었다. 그러나 860年 여름 루스族 이 콘스탄티노폴리스를 侵攻했으나 별다른 被害없이 물러나자 포티오스의 人氣가 높아졌고 이그나티오스는 더 苦痛을 받았고 敎皇에게 自身의 抑鬱함을 呼訴하였다. 861年 로마 敎皇은 두 사람을 콘스탄티노폴리스에 派遣하여 眞相을 調査하게 했으나 이어 벌어진 公議會에서는 포티오스를 追認하는 決定이 내려졌다. 敎皇은 아무런 主敎區에 對한 로마 敎會에 아무런 所得도 없이 그러한 決定이 내려진데 激怒했고 863年 라테라노에서 宗敎會議를 열어 포티오스에게 辭退하지 않으면 波紋에 處하겠다고 決定했다.

한便 臺모라바 王國 의 君主 라스티슬라프 콘스탄티노폴리스 에 使節을 보내 基督敎로 改宗을 要請하였다. 事實 라스티슬라프의 要請은 宗敎的이라기보다는 政治的인 것이었는데 프랑크족의 壓迫을 받고 있던 次에 프랑크의 루트비히 2歲 불가리아의 보리스 1歲 와 同盟을 맺자 自身도 同盟 勢力이 必要했기 때문이었다. 콘스탄티노폴리스 敎會의 影響力 擴大를 바라는 東로마 皇帝와 포티오스에게는 絶好의 機會였고 포티오스는 키릴루스 메토디우스 兄弟를 모라비아로 派送하는 한便 不可르族 에 對한 遠征에 나서 壓迫했고 보리스 1世는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와서 포티오스의 洗禮를 받고 基督敎로 改宗하였다.

不可르族의 個種으로 더욱 氣勢가 騰騰해진 포티오스는 敎皇과 對立角을 세우는 데 더 유리해진 立場이 되었다. 그러나 보리스 1世가 불가리아 總大主敎를 任命해 달라고 하는 要請을 포티오스가 拒絶하는 바람에 불가리아는 로마 敎皇의 勢力으로 옮겨버렸고 敎皇은 파울루스와 포르모소 를 不可르 宮廷에 派遣하여 忠誠을 誓約받았다.

포티오스 分列 [ 編輯 ]

敎皇 니콜라오는 불가리아에 對한 支配權을 强化하는 한便 필리오케 ( Filioque )라는 敎理를 불가리아에 퍼뜨렸는데 이것은 ‘聖者로부터’라는 뜻으로 聖靈 聖父 聖者 로부터 모두 發現한다는 內容이었다. 포티오스와 東方 敎會는 이 敎理를 異端 으로 看做해 激怒했고 867年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公議會를 열어 敎皇을 廢位하려는 計劃을 세웠다. 當時 敎皇은 로타링起亞 의 王 로타르 2歲 의 離婚 問題로 皇帝 루트비히 와 反目을 빚고 있었기 때문에 포티오스는 이를 利用해 필리오쿠에를 異端으로 斷罪하고 象徵的으로 敎皇의 波紋을 宣言하였다. 루트비히는 로마로 進擊했고 東로마 帝國의 承認을 받은 皇帝가 되었다.

이 때 東로마 帝國에서는 바르다스가 失脚하고 바실리우스 가 無能한 皇帝 美카일 3歲의 寵愛를 받았고 結局 美카일 3世도 바실리우스에게 暗殺 當하고 867年 9月 24日 바실리우스가 새로이 皇帝가 되었는데 바실리우스는 포티오스를 卽刻 解任해 버렸다.

失脚과 再起 [ 編輯 ]

포티오스의 失脚은 西方과의 關係 改善을 바라는 새 皇帝 바실리우스의 腹案에 따른 것이다. 포티오스는 自身과 敎皇과의 오랜 싸움에서 거의 勝利하려는 瞬間에 뒤통수를 맞았고 더욱이 그의 오랜 宿敵이던 이그나티오스 가 總大主敎로 復職되자 더 큰 屈辱感을 맛보았다. 이때 敎皇 니콜라오가 죽자 새로 敎皇이 된 溫乾한 敎皇 하드리아盧 2歲 는 東方敎會와의 關係 改善을 위해 使節을 派遣하기도 했으나 바실리우스는 高壓的인 姿勢로 나왔고 보리스 1世가 다시 東로마 帝國의 품으로 돌아왔다. 이그나티오스는 불가리아에 大主敎 를 派遣해 로마 가톨릭의 影響에서 콘스탄티노폴리스의 影響 아래에 돌아오게 하여 로마와 콘스탄티노폴리스 敎會의 關係는 다시 惡化되었다.

失脚한 포티오스는 7年동안 流配되어 있었는데 漸次 自身의 影響力을 强化했고 늙고 頑固한 이그나티오스가 새로이 開拓된 敎區의 管理에 힘이 부치자 自然스럽게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돌아와 다시 大學校를 管掌하고 皇帝의 아들들을 교육시켰다. 877年 이그나티오스는 여든살로 죽었고 포티오스는 두 番째로 總大主敎의 자리에 올랐다. 이番에는 敎皇 요한 8歲 의 承認을 받았는데 敎皇이 사라센 과의 戰爭에서 東로마 帝國의 海軍이 必要했기 때문이었다.

末年 [ 編輯 ]

바실리우스 皇帝의 末年에는 여러 가지 精神的인 問題가 있었는데 포티오스만이 皇帝를 慰勞할 수 있었다고 한다. 特히 바실리우스는 아들 레오 를 싫어했는데 포티오스가 그런 皇帝를 더욱 부추기기도 했다.

結局 886年 바실리우스가 事故로 죽고 레오 6歲 가 帝位에 올랐는데 帝位에 오르자 마자 포티오스는 失脚했고 887年에는 反逆罪로 몰려 아르메니아 의 외딴 修道院에 流配되었다. 포티오스는 그곳에서 自由롭게 神學과 文學 硏究를 하면서 餘生을 보내다가 893年에 조용히 죽었다.

著書 [ 編輯 ]

元來 포티오스는 當時 東로마 帝國 을 代表하는 學者였다. 그는 7世紀의 戰亂으로 消失되어 버린 古代 그리스 文獻의 蒐集에 努力하고, 콘스탄티노플 에 있던 帝國 大學 哲學科 敎授도 歷任했다. 포티오스는 古代 그리스의 古典에 對해 매우 造詣가 깊었다. 泥溝나티오스 派가 “惡魔에게 靈魂을 팔아 知識을 얻을 것임에 틀림없다”고 非難할 程度로 그 博識함만은 政敵 泥溝나티오스 派의 人物도 驚歎할 程度였다고 한다. 그가 始作한 古代 그리스 文化의 復興은 레오 6歲 의 아들 콘스탄티누스 7歲 時代에 후세 ‘마케도니아 王朝의 르네상스’라고 불리는 비잔틴 文化 의 一大 隆盛을 가져오게 된다.

포티오스가 編纂한 280卷의 古典에 對한 書評을 記載한 《 비블리오테카 》( Bibliotheca )는 그가 845年에 사마라 압바스 王朝 의 宮廷에 使臣으로 派遣되었을 때 編纂 論議가 있었다. 卽, 압바스의 그리스 古典 飜譯 運動에 刺戟을 받아 編纂했을 可能性이 있다.

두 番째 總大主敎職에 오른 포티오스는 後代를 위해 몇 가지 著作을 남겼다. 그 內容은 總大主敎職 및 總大主敎와 皇帝의 關係에 對한 自身의 見解였다. 바실리우스 皇帝의 末年에 刊行된 《에파나고가》( Epanagoga , '入門')에서 포티오스는 東로마 帝國은 皇帝와 總大主敎가 이끄는 單一한 國家이며 두 사람은 百姓의 物質的·精神的 幸福을 위해 協力하여 일한다고 썼다.

前任
이냐시오스 1歲
第86代 콘스탄티노폴리스 總大主敎
858年 - 867年
877年 - 886年
後任
이냐시오스 1歲
스테파노스 1歲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