朝鮮의 經濟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常平通寶 는 朝鮮의 代表的 貨幣이다.

朝鮮의 經濟 農業 中心의 自給的 地域 經濟를 基盤으로 한 가운데 個人 間의 互惠를 바탕으爐韓 膳物과 扶助, 國家의 租稅 受取와 資源의 公的 分配와 함께 市場에서 이루어지는 商業 經濟가 婚材되어 있었다. [1] :175-192 이러한 狀況은 以前 王朝인 高麗 가 國際 貿易을 비롯한 商業 活動에 積極的이었다는 點과 比較된다. [2]

經濟 活動은 크게 보아 生産 消費 , 그리고 둘 사이를 連結하는 交換·流通을 擔當하는 商業 으로 區分지어 생각할 수 있다. 朝鮮은 中期 以前까지 生産은 農業을 中心으로 한 自給 體系를 中心으로 進行되었고 消費는 많은 部分이 相互 互惠에 依存하였다. 유희춘 의 《 미암집 》에는 별다른 對價 없이 膳物로서 받은 物品이 總 2,855 回 記錄되어 있다. [1] :175-176 朝鮮의 互惠 經濟는 電氣에는 個人間의 親分에 依한 膳物의 形態로 進行되다가 後期로 들면 鄕約 , 두레 等의 集團에 依한 共同 扶助의 性格이 强化되었다. [3] 이러한 慣行은 오늘날에도 結婚이나 葬禮에 賻儀金을 내는 形態로 韓國 文化 에 남아있다. [1] :176

朝鮮은 農業 中心 國家로서 土地는 가장 큰 資産이자 經濟 基盤이었다. 朝鮮의 國土는 理論的으로 國王 이 最終的인 主人으로서 沒收와 配分 等의 處分을 내릴 수 있었지만 高麗 末 공민왕 時期의 科田法으로 私有地가 再分配 된 以後 [2] 朝鮮 初까지 賣買價 禁止되던 土地는 世宗 臺에 이르러 去來가 認定되었다. 이는 當時 이미 定着된 土地 去來 慣行을 國家가 認定한 것이다. 耕作地의 主人인 前週(田主)는 自身의 土地를 國家의 아무런 規制 없이 賣却하거나 贈與, 또는 相續할 수 있었다. [4]

朝鮮의 工業은 크게 보아 官廳에서 自身이 必要한 物品을 製造하며 餘裕分을 市場에 流通하는 境遇와 專門的인 匠人이 製作하여 販賣하는 境遇로 나눌 수 있다. 朝鮮은 各種 物品을 製造하는 工場(工匠)을 《工場안》(工匠案)에 登錄시켜 官營 手工業 體制로 吸收하였다. 그러나 中期 以後 官廳에 登錄되지 않은 匠人의 生産과 販賣를 默認함으로써 官營 手工業은 漸次 民營 手工業 體制로 轉換되었다. [5]

朝鮮은 商業 活動에 對한 規制가 嚴格하였다. 國家가 指定한 品目은 六矣廛 等의 市廛을 통해서만 供給되었고 사사로이 장사를 하는 亂廛은 禁亂廛權 으로 禁止되었다. 禁亂廛權은 朝鮮 後期까지 維持되다가 正祖 時期 신해通功 으로 廢止되었다. [6] 朝鮮 中期까지 國際 貿易은 中國과의 去來는 使臣 行次와 함께 同行하는 公貿易이 主를 이루고 日本과의 去來는 倭館 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이러한 構造에서는 譯官 과 같은 管理가 自身의 職位를 利用하여 莫大한 富를 거머쥘 수 있었다. [7] 그러나 壬辰倭亂 以後 日本과의 公式的 貿易 去來는 크게 減少하였고 中國과는 公貿易 以外에도 事務役이 盛行하면서 輕傷 , 松商 , 萬象 과 같은 商人 組織이 出現한다. [8]

貨幣 [ 編輯 ]

現物貨幣 [ 編輯 ]

삼베 는 오랫동안 現物貨幣로서 去來되었다.

朝鮮의 經濟 活動에서 가장 一般的으로 쓰인 交換 手段은 쌀 等의 穀物 綿布 , 삼베 等 織物을 利用한 現物貨幣 이었다. 穀物은 主로 稅金의 納付, 官吏들의 祿俸 支給 等에 利用되었고 [9] 綿布와 삼베는 各種 去來에 利用되었다. 初期에는 主로 삼베가 交換을 위한 現物貨幣로 機能하였으나 漸次 木花 栽培 面積이 늘면서 綿布가 쓰이기 始作하였다. [10] 織物을 去來에 一般的으로 使用하는 것은 16世紀 末, 17世紀 初까지도 繼續되었다. 國家가 定한 織物의 標準은 5升包로 1 勝은 80 올이어서 5勝包는 한 幅에 400 올이 들어간 織物이다. [11] 그러나 實際 去來에서는 4升包나 3勝包 等이 常布(常布)로 불리며 使用되었고 甚至於는 옷감으로서는 到底히 使用할 수 없는 2勝葡萄 去來되었다. 2升包의 境遇엔 오로지 去來만을 위해 製作된 織物이라 할 수 있다. [10] 이러한 現物貨幣는 朝鮮 後期에 주화 名目貨幣 로서 定着된 뒤로도 如前히 使用되었으며 商人들은 自身들의 利益에 따라 各 種 現物, 名目 貨幣 中에서 유리한 것을 利用하여 去來하고자 하였다. [12]

現物貨幣는 該當 物品의 作況 等에 影響을 받고 別途의 管理에 어려움이 많기 때문에 朝鮮의 中央政府는 初期부터 名目貨幣를 製作하여 流通시키고자 努力하였으나 그리 成果를 내지 못하였다. 貨幣 流通이 失敗한 理由는 무엇보다 經濟 活動의 相當 部分이 利益을 目的으로 하지 않고 膳物로서 주고 받는 互惠經濟에 依存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物品의 交換 活動 自體가 적었던 것이다. 朝鮮의 交換 經濟는 兩란 以後 朝鮮 後期에 이르러서야 活性化되었다. [13]

楮貨 [ 編輯 ]

朝鮮 初期 國家가 流通시키고자 한 것은 一種의 紙幣 楮貨 이다. 楮貨는 닥나무 를 原料로 한 韓紙 人 저지를 貨幣로 使用한 것이다. 楮貨는 저지를 品質에 따라 楮注紙(楮注紙)와 楮常紙(楮常紙)로 나누고 가로 세로의 規格을 定하여 製作한 뒤 規格을 審査한 機關이 圖章을 찍어 品質을 引證하였다. [14] 그러나 沮止는 市場에서 流通을 꺼렸는데 使用이 길어지면 쉽게 傷하지만 規格 黨 名目價値가 固定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14] 國歌는 沮止에 對한 不信을 잠재우기 위해 楮貨 1 張의 價格을 쌀 1 말, 30 醬의 價格을 無名 1 필로 固定하고 이의 交換을 國家가 保障하는 태환保證冊을 實施하였으나 [15] 그 實施가 一般的으로 이루어지지도 않았고 限時的이어서 結局 저化는 死藏되었다. [14] 다만 저化는 價格 標示의 基準으로서 如前히 利用되어 常平通寶 의 普及 以前에 作成된 各種 賣買文書에 登場한다. [15]

주화 [ 編輯 ]

楮貨는 生産된 地域에 따라 品質이 다르고 쉽게 毁損되고 더러워져 時間이 지남에 따라 實質價値가 下落한다는 問題點이 있었기 때문에 주화 의 流通을 推進하게 되었다. [15] 世宗 11年 日本에 通信使로 다녀 온 박서생은 日本에서 銅錢 使用이 一般化 되어 있어 旅行과 徵稅가 便利하다고 보고 하였다. [16] 世宗은 이미 朝鮮通寶 를 製作하여 流通시키고자 하였다가 失敗한 經驗이 있었지만 박서생의 報告를 받아들여 다시 銅錢 主潮를 試圖한다. [12] 以後 人組 臺에 이르기까지 朝鮮通寶가 間歇的으로 製作되었으나 本格的인 流通은 失敗하였다. [17]

銅錢 流通 問題의 가장 큰 原因 가운데 하나는 韓半島에 九里 의 採掘量 自體가 매우 적었다는 點이었다. 世宗은 蔣英實 을 慶尙道 彩舫別監(採訪別監)으로 삼아 慶尙道를 비롯한 여러 地域을 돌아다니며 鑛物을 調査하게 하였으나 큰 成果가 없었다. [18] 朝鮮은 銅錢을 비롯한 各種 鍮器의 製作에 所要되는 구리를 輸入하여야 하였다. 17世紀 以後 製作된 常平通寶 에 使用된 구리의 主要 收入源은 日本이었다. [19] 國內 구리 産出量이 크지 않기 때문에 이를 使用한 銅錢의 製作 亦是 數가 制限될 수 밖에 없었다. 그에 더해 朝鮮은 甲午更張 以前까지 貨幣를 一括하여 管理하는 中央銀行 의 役割을 맡는 機構가 存在하지 않았다. 銅錢 製作 以前에 試圖된 楮貨 亦是 事情은 마찬가지여서 政府의 各 機關이 必要에 따라 發行하였다. 銅錢의 境遇 이를 鑄造하는 各 機關에 따라 구리의 含量, 銅錢의 두께 等에 差異가 發生하였고 이는 사람들이 銅錢마저 不信하는 理由가 되었다. 이 때문에 世宗은 銅錢을 抛棄하고 鐵箭을 發行하고자 하였으나 주화의 價値 下落이 繼續되자 이 亦是 抛棄할 수 밖에 없었다. [15] 銅錢의 原料인 九里 自體가 品貴現象을 보이자 銅錢을 녹여 구리를 다른 用途로 使用하는 훼前이 發生하기도 하였다. [20]

銅錢의 流通이 失敗한 以後 朝鮮 中期의 經濟 活動은 다시 삼베와 綿布를 利用한 交換이 州가 되었다. 이런 事情은 壬辰倭亂 에 따른 財政 惡化에 依해 變化를 맞게 되었다. 義州까지 國王이 蒙塵을 한 狀況에서 特히 원정온 明나라 軍隊에 對한 普及이 원활하지 않게 되자 銅錢을 鑄造하자는 主張이 힘을 얻게 되었다. 그러나, 戰亂 中인 狀況으로 實際 製作은 이루어 지지 못하였고 仁祖反正 以後 租稅 收取의 方便으로 銅錢 鑄造가 試圖되었으나 如前한 九里 不足 問題를 克服하지 못하였다. [20] 憲宗 時期 巨濟島 에서 구리 鑛山이 發見되었지만 [21] 産出量은 如前히 不足하였다. 韓半島의 구리는 主로 慶尙道 地域에 分布하고 있으며 白堊紀 時期의 地質에서 觀察된다. [22] 巨濟島의 구리 鑛山은 後날 英國와 日本 等의 列强이 角逐하는 場所가 되었다가 日帝强占期에 開發되었고 [23] 1980年代 初 廢鑛되었다. [24]

이러한 狀況은 17世紀 들어 日本의 구리 生産量이 크게 增加하면서 變하였다. 移轉16世紀 日本의 年間 구리 生産量이 50 톤 假量이었던 데 反해 17世紀에 들어 새로운 鑛山이 開發되면서 150 톤 以上으로 增加하였다. [20] 朝鮮은 이러한 日本의 구리를 輸入하여 常平通寶의 鑄造에 使用하였다. 當時 구리의 輸入 價格은 九里 100 斤 當 은 20 兩 程度였다. 常平通寶는 모두 1,300~1,500萬 냥이 發行되어 總 30~40萬 톤의 구리가 使用된 것으로 推定된다. 日本으로부터 구리를 輸入하지 않고서는 流通이 不可能한 量이었다. 壬辰倭亂 以後 朝鮮은 倭館 을 開放하고 쓰시마 를 통한 中繼 貿易만을 許容하였기 때문에 九里 亦是 쓰시마를 통하여 輸入하였다 九里 輸入의 代價는 쓰시마가 自給하지 못하는 쌀과 綿布로 치러졌다. [19]

肅宗 4年(1678年) 常平通寶가 鑄造되어 供給되기 始作하였으나 그 過程은 如前히 順坦하지 않았다. 朝鮮은 貨幣의 流通量과 物價 上昇이 聯動되는 인플레이션 의 槪念을 알지 못했고 初期 銅錢 供給이 急激히 增加하자 物價 上昇 衝擊을 받았다. 이 때문에 1698年 常平通寶의 主潮는 다시 禁止되어 以後 30年間 主潮되지 않았다. [25] 이에 더해 여러 가지 事由로 戰況 이 發生하여 銅錢의 實質 價値는 安定的이지 못하였다. 戰況은 18世紀 全體 期間 동안 朝鮮 經濟의 골치거리였다. 支配層인 士大夫가 銅錢 使用에 否定的이었던 點, 日本의 구리를 輸入하며 發生하는 國富 流出의 問題와 함께 擧上, 拒否 等이 但只 富의 蓄積 手段으로서 銅錢을 利用하여 製作된 數에 비해 實際 流通量이 줄어드는 問題 等 戰況의 理由는 다양하였다. [26]

이러한 어려움에도 不拘하고 常平通寶는 以前의 銅錢과 달리 朝鮮의 代表的인 貨幣로 자리잡게 되었는데 發行量 自體가 以前과 比較할 수 없을 程度로 많았던 것이 가장 큰 要因이었다. [19] 常平通寶를 創案한 肅宗 時期, 國歌는 常平廳을 새로이 만들고 銅錢의 主潮를 中央集權的으로 統制하고자 하였으나 여러 理由로 그러지 못하였다. 于先 朝鮮은 租稅의 受取가 한 곳에서 이루어 지지 않고 各 部處마다 收取處를 따로 管理하는 構造였기 때문에 銅錢의 發行 亦是 한 곳에서만 이루어지도록 할 動機가 적었다. 또한 자주 發生한 凶年 等으로 銅錢의 需要 亦是 中央이 統制하기에는 力不足이었다. [25] 이러한 理由로 常平通寶의 發行處는 好調 , 常平廳 , 賑恤廳 , 精抄廳 , 御營廳 , 司僕寺 , 訓鍊都監 等 中央 7個 機關을 비롯하여 各 地方 官廳으로 多元化되었다. [27] 이러한 多元的 貨幣 發行은 正祖 時期 一元化 되기도 하였으나 結局 다시 多元化 하여 運營되다 高宗 時期에서야 一元化된 發行處를 마련하게 된다. [28]

産業 [ 編輯 ]

朝鮮의 가장 重要한 産業은 農業 이었다. [29] 朝鮮뿐만 아니라 近代 以前 傳統社會에서 農業의 重要性은 농자천하지대본 (農者天下之大本, 農業이 世上의 根本이다)라는 말로 要約될 수 있다. [30] 工業은 朝鮮 初期 官主導의 手工業에서 後期 民間 手工業의 擴大로 發展하여 나갔다. [5] 鑛業 亦是 朝鮮 後期에 들어서야 探査와 採掘이 本格化 되었다. 商業에 對해서도 中央의 統制에 바탕을 둔 市場의 運營을 基本으로 하였으며 地方의 境遇엔 五日場 과 같이 漸次 定期的인 時日을 두고 열리는 長詩가 생겨났다.

農業 [ 編輯 ]

金弘道 의 《논갈이》

朝鮮은 農業 (農業)을 國家的으로 重要視하였다. [31] 近代的 農業 技術이 없어 特히 肥料 의 生産이 不足하였던 前 近代 時期에는 東西洋을 莫論하고 農業生産量이 낮았으며 늘 飢饉의 憂慮가 있었다. 作物의 生長에 特히 重要하게 作用하는 要素는 窒素 인데 空氣 中에 가장 많은 量을 차지하는 것이지만 植物은 이를 直接 利用하지 못하고 박테리아 等의 窒素固定 作用을 통해 뿌리로 吸收 할 수 밖에 없다. 窒素를 化學的인 方法으로 固定하여 肥料를 만드는 方法은 20世紀가 되어서야 開發되었다. [32] 作物을 기르며 이렇게 土壤 속의 窒素를 消費하면 耕作地는 當分間 作物이 잘 자라지 않게 된다. 이를 "地力"(地力)이 떨어졌다고 表現하였다. 地力이 떨어진 土地에 對한 對處 方法은 오랜 期間 동안 休閑農法 을 통해 地力을 回復하는 方式이었다. 1年에서 2年 程度 作物을 기르지 않고 耕作地를 쉬어 두면 그 사이 各種 窒素固定植物들이 자라면서 土壤에 다시 窒素 成分을 補充할 수 있었다. 밭을 깊게 갈아 엎는 活動도 땅속 깊이 들어간 窒素를 끌어내는 데 도움이 되었고 地力의 回復을 위해 다른 곳의 흙을 가져와 밭에 섞는 客土도 흔히 쓰인 方法이다. [33]

窒素의 供給과 함께 農業 生産量에 큰 影響을 미친 要因 中의 하나는 灌漑 이다. 朝鮮은 山地가 많고 陸路를 利用한 資源의 供給이 쉽지 않았기 때문에 大規模 灌漑에 必要한 수레, 數次와 같은 道具가 不足하였다. 이는 이웃恨 中國이나 日本보다 朝鮮의 農業生産量이 떨어지는 結果를 가져왔다. [34] 灌漑를 위한 貯水池의 不足과 灌漑 水路의 未備로 인해 相當數의 논밭이 自然的인 降雨에 依存하는 天水畓으로 運營되었다. 가뭄이 들 境遇 特히 論議 被害가 甚했고, 韓半島의 벼 播種時期는 强雨가 集中되는 여름이 오기 前에 이루어져 가뭄 被害를 입기 쉬운 環境이었기 때문에 朝鮮은 오랫동안 모내기 를 禁止해 오다가 後期에 들어서야 一般化 되었다. [35]

朝鮮은 낮은 生産量과 灌漑의 不足으로 인한 飢饉 憂慮를 穀物 貯藏으로 解決하고자 하였다. 各 地方의 主要 地點에 漕倉 을 세우고 受取한 穀物을 保管하면서 還穀 制度를 통하여 飢饉에 對備하였다. 世宗 時期 1百萬 席 程度의 穀物 貯藏量을 보였고 壬辰倭亂 直後 等에는 貯藏量이 바닥을 드러내기도 하였으나 朝鮮 後期에 들어서면 1千萬 席까지 貯藏量이 늘어난다. 이 德分에 穀物의 1人當 生産量은 中國에 비해 적었지만 貯藏量은 오히려 더 많았다. [36]

朝鮮은 앞서 說明한 어려움을 克服하고자 國家 次元에서 農業 技術을 開發하고 普及하고자 하였다. 特히 世宗 時期 各種 農業書를 開發하고 普及하였으며 [37] 以後 農業의 奬勵는 各 地方 守令의 核心的 役割이었다. [38]

朝鮮 前期까지 많은 어려움을 겪던 朝鮮의 農業 生産量은 後期에 들어 여러 要因에 依해 改善되었다. 于先 灌漑 施設이 增加하여 모내기가 一般化 되었고 이로서 作物 亦是 벼가 壓倒的인 優位를 차지하게 되었다. [39] 이와 함께 고구마 와 같은 救荒作物의 導入으로 가뭄에 依해 株式인 쌀이 凶年을 맞더라도 深刻한 飢饉을 避할 수 있는 方法이 생겼다. [40] :1-24 生産量에 餘裕가 생기면서 農村에서 各種 換金作物 을 大量으로 栽培할 수 있는 背景이 되었다. 特히 綿花 와 같은 作物이 重要하게 取扱되었다. [41]

鑛工業 [ 編輯 ]

工業 [ 編輯 ]

센프란시스코 아시아美術館이 所藏 中인 18世紀 朝鮮의 螺鈿漆器

朝鮮 時代의 工業은 電氣의 境遇 國家의 主導로 管理되었다. 專門 手工業 從事者인 工場 (工匠)은 모두 國家에 登錄되어 活動하는 것이 原則이었다. 이는 이미 高麗 時期부터 行해 오던 規定이었다. 工場은 中央 政府에 屬한 京工匠과 地方 官廳에 屬한 外工匠으로 나누어 管理되었고 이들을 登錄 管理하는 《工場안》을 만들어 共助 와 工場의 所屬官廳, 그리고 各 道와 邑에 保管하였다. 《經國大典》에는 130 餘 種의 工業을 擔當하는 2,795 名의 京工匠을 規定하여 30 餘 個의 官廳에 配屬시켜 두고 있다. 이들이 製作한 것은 詐欺와 甕器 같은 道氣流, 활과 화살 等의 武器類, 야철과 같은 金屬의 製鍊, 삼베와 緋緞의 紡織 等이 主를 이루었다. 한便 外工匠은 3,764 名으로 이들 가운데 종이를 만드는 지장의 數가 가장 많았고 이 外에 金屬을 製鍊하는 冶匠, 돗자리를 만드는 석張과 같은 匠人들이 있었다. [5] 京工匠은 大部分 宮闕 近處에 作業場을 두었고 只今도 北村 韓屋마을 隣近에 京工匠의 後裔가 運營하는 26 곳의 工房이 남아있다. [42]

그러나 國家가 主導하는 官工業은 實際 生活의 모든 需要를 堪當하는 것이 아니라 國家의 所要에 必要한 物品의 需給에 焦點이 맞추어져 있었고 民間에서 必要한 物品은 別途의 民間 手工業을 통해 製作되었다. 大部分의 生活 小品 等은 直接 製作하거나 副業으로 製作하여 販賣하는 것을 사는 境遇가 많았지만, 놋그릇이나 農器具, 갓, 張도(粧刀)와 같은 物品은 專門的인 技術이 必要하여 專業으로 製作하는 民間 匠人이 擔當하였다. [43] 官主導의 手工業은 地方 行政 機關의 主要 收入源이기도 하였다. 李舜臣 三道水軍統制使 時期 統營 에서 攻防을 運營하여 財政을 擴充하였고 戰亂 以後 이 攻防들이 繼續 運營되어 統營을 手工業 中心地가 되도록 이끌었다. 特히 螺鈿漆器 는 只今까지도 代表的인 統營의 名物로 자리잡고 있다. [44] 다른 各種 官廳 亦是 外工匠을 두고 必要한 物品을 만들고 需要 外의 것을 販賣하여 財政을 確保하였다.

壬辰倭亂과 丙子胡亂 以後 電氣의 官主導 工業 體系는 弱化되었고 代身 民間 手工業이 發達하기 始作하였다. 17世紀에 이르면 大多數의 工産品이 民間 手工業에 依해 製作되게 된다. [45] 《工場안》에 登錄된 丈人들도 賃金을 받고 일하는 勞動者로 轉換하기 始作하였다. 18世紀 初인 肅宗 33年(1707年)의 《 備邊司謄錄 》 記錄에는 甕器를 만드는 司饔院에 屬한 匠人들이 旣存에는 番을 돌며 義務的으로 出勤하여 甕器를 製作하였는데 軍役을 代身하는 것과 같은 無償 勞動에 不滿이 많아 番을 서지 않고 日程 對價를 支給하여 物品만 받는 形式으로 바뀌는 過程이 言及되어 있다. [46] 正祖 時期에 編纂된 《 大典通編 》에는 京工匠을 두고 物品을 製作하는 中央 官廳이 電氣의 30個에서 15個로 大幅 減少된다. [47] 大同法 施行 以後 現物을 貢納받던 것을 모두 쌀로 代替하면서 必要한 物品은 公認(貢人)들이 購入하여 納付하는 方式으로 바뀌면서 이들이 資金과 生産道具를 대고 匠人이 賃勞動의 形式으로 作業하는 民間 手工業이 發達하게 되었다. [48]

朝鮮은 丈人을 賤視하여 이들이 社會的으로 生産을 主導하지는 못하였고 들어온 注文에 맞추어 製作하는 方式의 慣行이 굳었다. 特히 一部 業種은 賤民 의 生計 手段으로 取扱되었는데 家畜을 屠殺하는 屠畜業이나 버드나무 가지等으로 各種 바구니와 生活用品을 만드는 고리白丁 等이 있다. [49] 賤民에 對한 差別은 朝鮮 以後 日帝强占期까지 繼續되어 賤民 差別 撤廢를 主張하는 衡平社 運動 의 契機가 되었다. [50] 유형원 은 《 磻溪隨錄 》에서 稅金이 過하고 生産品의 品質을 管理하지 못하는 實情을 批判하였다. [51]

朝鮮 時期 手工業의 地域別 名産品은 오늘날에도 如前히 各 地域의 傳統 工藝로 이어지는 境遇가 많다. 例를 들면 유네스코 人類無形文化遺産 으로 登載되어 있는 韓山모시 [52] , 全州市 負債 [53] 를 들 수 있다.

鑛業 [ 編輯 ]

金弘道의 《대장間》

鑛業은 이미 先史時代부터 主要한 産業의 하나였고 高麗에 이어 朝鮮도 國家에서 光山乙 管理하여 사사로이 採鑛하는 것을 嚴禁하였다. 朝鮮의 主要 鑛物로는 金, 銀, 鐵, 구리, 亞鉛 等이 있었다. 金屬은 아니지만 高嶺土 는 自己의 主要 原料로 重要한 資源으로 取扱되었다. [54] 高麗時代에는 各地의 鐵鑛 隣近에 鐵杖을 두어 管理하였으나 鐵鑛石의 採掘과 納品, 製鍊을 現物로 貢納하게 한 制度가 苛酷하여 問題가 되자 이를 代納하게 하고 國家가 直接 管理하는 鐵장도회第 를 實施하였다. [55] 이 制度는 角度의 觀察使가 監冶官을 임명하여 鐵의 生産을 監督하게 하였는데 任命된 監冶官이 私益을 챙기는 境遇가 많아 批判을 받았다. [56]

朝鮮 電氣 角度의 鐵杖都會는 모두 27 곳이었는데 鐵鑛石은 드물었고 大槪는 江모래에서 철을 選別하는 四철을 利用하였다. [57] 朝鮮 後期로 넘어가면서 戰亂을 겪은 뒤 朝鮮은 鐵의 確保를 訓鍊都監 을 비롯한 軍營의 責任으로 돌리고 철을 採取하는 就役群 亦是 軍營의 管轄로 두었다. [58] 그러다가 大同法 施行 以後 철 亦是 公人의 代納이 慣行이 되면서 軍營의 철生産은 줄어들고 18世紀에 이르러 好調 別莊이 公認으로부터 鑛物을 貸納받는 好調別莊제가 導入되었다. [57] 好調別莊第 아래에서 公人들은 各地의 鑛山을 開發하여 民間 鑛業이 活潑하게 되었고 이들이 光山乙 만들어 申告하면 採光量에 따른 稅金을 收取하는 設店收稅제가 運營되었다. [59] 正祖 22年(1798年) 그 동안 禁止해 오던 金鑛과 銀鑛의 民間 開發을 許容하면서 [60] 鑛山 開發이 活潑해지게 되었다. 正祖 22年 當時 採光 中인 金鑛은 3곳이었으나 漸次 金鑛 開發이 늘면서 高宗 時期가 되면 數十 곳의 沙金 採取場이 運營되고 있었다. [61]

19世紀에 이르면 덕대 로 불리던 民間 鑛山業者가 사람들을 모아 鑛山을 開發하였다. 덕대는 一種의 冒險的인 事業家로 物主를 찾아 그의 이름으로 官廳에 설點을 申告한 뒤 實際 開發과 運營은 덕대가 進行하는 方式이었다. 덕대는 農村 等地에서 사람을 모아 賃勞動으로 鑛山 作業에 動員하였는데 勞動條件은 매우 劣惡하였고 各種 事故로 危險하였다. 이렇게 모인 사람들은 鑛山을 놓고 서로 다투거나 때로는 叛亂에 加擔하면서 社會 問題가 되기도 하였다. [59]

土木과 建築 [ 編輯 ]

朝鮮 時代의 土木은 國家의 重要 事業이었다. 軍事的으로는 各種 城郭의 築城과 保守가 重要視 되었고, 서울을 비롯한 重要 行政 中心地는 計劃된 區劃에 따라 整備되었다. 生産과 關聯한 主要 土木 事業은 灌漑를 위한 貯水池와 水路의 建設이었고 各 地域을 잇는 道路 亦是 重要하였다. 造船은 主要 道路에 驛站 을 두어 中央과 地方의 連絡을 圖謀하였는데 이를 위해 道路의 整備와 橋梁의 建設이 必要하였다. [62] 各種 土木 工事는 百姓의 了役(?役)으로 進行하였다. 無償으로 勞動을 提供하는 徭役은 늘 怨望의 對象이었다. 特히 經濟的으로 餘裕가 있는 者는 代役을 세워 다른 사람을 보내거나 삼베 等을 바치는 것으로 代身하였기 때문에 下層民이 徭役을 全的으로 俯瞰할 수 밖에 없는 構造가 되었고 이는 朝鮮 末까지 改善되지 못하였다. [63] 正祖 時期 水原 華城 의 祝聖에는 賃金이 支給되기도 하였으나 [64] 以後 國家 主導의 土木과 建築에서 正式的인 制度로 定着되지는 못하였다.

建築은 構造物에 對한 高度의 知識을 要求하는 技術이기 때문에 專門的인 木手가 이를 擔當하였다. 대목場 은 宮闕에서부터 各種 官廳과 寺院, 有力者의 社宅 等의 建築을 總括하였다. [65]

商業 [ 編輯 ]

金弘道의 《酒幕》

朝鮮 時期의 商業은 取扱하는 品目에 따라 宮房과 官衙가 取扱하는 品目, 市廛 商人의 取扱 品目, 一般的인 去來가 行해지던 品目, 특별한 去來만이 許容된 品目, 取扱 禁止 品目 等으로 區分하여 이야기 할 수 있다. 宮房이나 官衙의 取扱 品目은 市廛 商人의 取扱 品目과 相當部分 겹치는 部分이 있으나 官廳 手工業 工藝品과 같이 獨占的인 販賣 品目들이 있었고 [44] 代表的 時前人 六矣廛 은 獨占 販賣가 許容된 여섯 가지 品目을 取扱하여 붙은 이름이나 取扱하는 品目은 時代에 따라 조금씩 變하였다. 主로 緋緞, 綿布, 삼베 等의 織物과 종이, 魚物 等의 販賣가 이루어졌다. [66] 그 外의 生必品과 道具들은 서울의 境遇 各各의 品目이 集中된 專門 市場들이 形成되어 있었는데 노리개나 비녀, 가락지 等은 刀子廛에서 빗이나 허리띠는 商戰에서 갓끈과 주머니는 眞絲廛에서 팔았다. [67] 이 外의 雜多한 物品은 主로 길거리 坐板人 亂廛에서 購買하거나 집집을 돌아다니며 파는 商人에게서 購買하였다. 化粧品 等의 物品은 訪問 販賣하는 매分區를 통해 購買하였고 [68] 各種 書籍 亦是 訪問하는 冊將帥를 통하여 購買하는 것이 一般的이었다. [69]

朝鮮은 商業을 國家의 統制 아래 두고자 하였다. 國家는 自身이 必要하는 物品을 供給받고 이를 供給하는 市廛 商人이나 大同法 施行 以後 各種 방물을 代納하는 公人에게는 獨占權을 附與하였고 이들은 事實上 支配層의 需要를 맞추는 것이 一次的인 商業 目的인 御用商人들이었다. 이러한 過程에서 保障받은 獨占權을 통해 一部는 커다란 富를 蓄積하기도 하였으나 國家 亦是 各種 官廳을 통하여 이들이 取扱하는 品目을 販賣하였기 때문에 御用 商人들의 獨占權은 制限的이었다. [70]

商業에 從事하는 사람은 身分的 差別도 받았다. 朝鮮의 支配層은 士農工商 의 序列 속에서 農民은 兩班과 가깝게, 工場과 商人은 賤民과 가깝게 認識하였다. 朝鮮 初期의 境遇 商業 從事者의 身分은 世襲되었으며 過去에 應試할 수 없었고 必要에 依해 官職이 주어지더라도 文武 兩班과 달리 雜職에 屬하여 別途의 品階 가 주어지지 않았다. [71] 이러한 差別은 于先 朝鮮을 建國한 支配層인 新進士大夫 들이 高麗의 支配層과 經濟的 基盤이 달랐기 때문이다. 典型的인 新進士大夫는 地方의 土地를 基盤으로 한 地主였으며 그들의 最優先的인 經濟 關心事는 當然히 農業이었다. 이는 高麗를 建國한 王建 스스로가 對外 貿易을 통해 富를 蓄積한 商人이었던 點과 確然히 區別된다. 新進士大夫의 立場에서 商業의 發達과 商人의 增加는 相對的으로 農民의 減少를 뜻하는 것으로 비춰졌다. [72]

한便 朝鮮의 이러한 商業에 對한 統制는 租稅의 受取 때문이기도 하였다. 朝鮮은 工場과 商人에게 定해진 日程 金額을 工商稅(工商稅)로 收取하였는데 市廛 商人의 境遇 1 칸의 店鋪마다 봄 가을에 楮貨 1 張을 徵稅하였다. 太宗 時期 定해진 楮貨의 固定價値는 1 張 黨 쌀 1 말이다. 돌아다니며 物件을 파는 行商의 境遇엔 그 보다 더 걷어 每月 楮貨 2張을 收取하였다. [73] 行商에게 더 많은 稅金을 걷어낸 것은 商業 抑制策의 一環으로 理解될 수 있다. [72]

國家의 抑制策에도 不拘하고 實際 生活에서 必要한 物品의 交換은 不可避한 일이었기 때문에 各種 亂廛이 생길 수 밖에 없었다. 國歌는 市廛 商人에게 禁亂廛權 을 附與하여 이를 막고자 하였으나 實際에서는 亂廛 없이 都市 住民들이 生活하기는 어려웠다. [74] 朝鮮 後期인 正祖 時期에 이르면 이미 亂廛이 市廛을 壓倒할 程度로 成長하였고 [75] 特히 只今의 鍾路4街 附近인 移懸과 西小門 밖의 칠패는 亂廛에서 出發하여 代表的인 新興 商圈으로 자리잡았다. [76] 正祖는 이러한 現實을 反映하여 신해通功 으로 禁亂廛權을 廢止하였다. [6]

地方에서는 一般的으로 定期的 市長인 長詩 가 열려 必要한 物品을 購買하였다. 朝鮮의 長詩는 15世紀 後半 全羅道에서 形成되기 始作하여 17世紀가 되면 全國의 邑 單位로 擴大되었다. [77] 이렇게 形成된 五日場 은 오늘날에도 地方 傳統市場의 한 形態로 남아있다. 各 邑誌의 五日場은 地域마다 날자의 差異를 두어 褓負商 이 地域을 巡廻하며 장사하기 容易하도록 設定되었다. [78] 萬機要覽 》은 順調 時期 全國의 長詩를 모두 1061 곳으로 記錄하고 있다. [79]

貿易 [ 編輯 ]

朝鮮은 原則的으로 使臣 行使와 함께 하는 公貿易만을 認定하고 그 外의 密貿易을 禁止하였다. 公貿易은 朝鮮의 特産物인 방물을 朝貢 하고 그 答禮品을 받아 오는 朝貢貿易과 使臣 行事에 함께 따라가 割當된 貿易品을 交易하는 使行貿易으로 나뉘었다. [80] 이런 貿易 條件 아래서는 通譯을 맡은 譯官의 役割이 매우 重要하였기 때문에 朝鮮의 이름난 巨富들 가운데 譯官 出身이 많았다. [81]

中國과의 朝貢 貿易 外에도 이웃한 餘震, 日本 等과 開始 를 통하여 貿易하였다. 日本과는 倭館 을 열고 日本의 外交官과 商人이 常住하게 하였다. [82] 日本과의 貿易은 壬辰倭亂으로 한 때 中斷되기도 하였으나 주화의 主潮를 위한 왜동의 輸入과 같이 必須不可缺한 品目이 있었기 때문에 얼마 지나지 않아 再開되었다. [83] 朝鮮 時代에는 別途의 獨立國이었던 오늘날 오키나와 에 該當하는 류큐 王國 過度 貿易이 있었는데 類쿠가 朝鮮에 朝貢하는 形式을 取했다. 類쿠에서 輸入한 物品으로는 雪糖과 물소의 뿔 等이 있다. [84]

旅閣과 客主 [ 編輯 ]

朝鮮 後期 商品의 移動과 交流가 늘면서 客主 (客主)나 旅閣 (旅閣) 같은 宿泊業이 登場하였다. 이들은 商人과 旅行客의 宿泊 뿐만 아니라 商品의 賣買, 保管, 運送 等의 委託과 典當舖와 같은 金融業도 겸하였다. [85]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홍순민 外, 《朝鮮時代社 1 - 國家와 世界》, 푸른역사, 2015年, ISBN   979-11-5612-043-8
  2. 朝鮮 初期의 經濟構造 , 新編韓國史, 우리歷史넷
  3. 조영준, 〈 朝鮮後期 組織의 賻儀와 經濟的 性格 〉, 《奎章閣》, 第40號, 2009年
  4. 土地 所有 關係의 變化 , 韓國文化史, 우리歷史넷
  5. 工場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6. 신해通功 , 韓國史 年代記, 우리歷史넷
  7. 最上層 中人 譯官과 衣冠 , 主題로 본 韓國史, 우리歷史넷
  8. 노혜경, 老태협,〈 輕傷(京商)과 松商(松商)의 商去來 流通網에 關한 比較 硏究 〉, 《經營私學》 第25輯 第2號(通卷 54號), 2010年
  9. 임성수, 〈 朝鮮後期 祿俸制 硏究 〉, 《東方學地》, 2015年, 第 169號, pp. 101-138 (38 pages)
  10. 金屬貨幣 施行論 , 新編韓國史, 우리歷史넷
  11. 綿布 , 敎科書 用語解說, 우리歷史넷
  12. 유현재, 〈 朝鮮 初期 貨幣 流通의 過程과 그 性格 - 楮貨 流通을 中心으로 - 〉, 《朝鮮時代私學步》, 2009年, 第 49號 pp. 65-97 (33 pages)
  13. 우리나라의 貨幣 - 朝鮮 , 韓國銀行
  14. 楮貨 , 實錄위키
  15. 이헌창, 朝鮮 前期 紙幣·주화 通用冊의 挫折 , 韓國文化史, 우리歷史넷
  16. 박서생이 施行할 만할 일들을 갖추어 아뢰다 , 〈世宗實錄〉 46卷, 世宗 11年 12月 3日, 《朝鮮王朝實錄》
  17. 朝鮮通寶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8. 朝鮮時代 同綴 生産 中心地 昌原 , 慶南新聞, 2013年 6月 17日
  19. 왜동 , 實錄위키
  20. 유현재, 〈 朝鮮 後期 鑄錢政策과 財政活用 〉, 서울大學校, 2014年
  21. 巨濟에서 구리가 算出되다 , 〈顯宗實錄〉 14卷, 顯宗 9年 1月 19日, 《朝鮮王朝實錄》
  22. 박은용, 〈 巨濟 長安 동광上의 鑛物, 流體包有物 및 同位元素 硏究 〉, 忠南大學校, 2000年
  23. 巨濟 구리鑛山을 손에 넣어라! , 巨濟뉴스廣場, 2015年 2月 21日
  24. 포커스-東亞鑛山 廣眉 處理 , 새거祭神文, 2006年 8月 19日
  25. 이헌창, 〈 銅錢의 普及 〉, 韓國文化史, 우리歷史넷
  26. 戰況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7. 肅宗臺의 銅錢 流通과 弊端 , 新編韓國史, 우리歷史넷
  28. 常平通寶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9. 朝鮮 王朝의 農政策 遂行 , 韓國文化史, 우리歷史넷
  30. 농자천하지대본의 뜻을 다시 새긴다 , 韓國農政新聞, 2019年 10月 20日
  31. “鄕校 建立의 目的” . 우리歷史넷 . 2020年 3月 4日에 確認함 .  
  32. 食糧難 ‘解決士’ 窒素固定 方法 , 시사저널, 1994年 5月 5日
  33. 休閑農法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4. 韓日 隔差 600年, (4) 낮은 農業生産性 , 韓國日報, 2018年 9月 27日
  35. 移秧法의 普及 , 新編韓國史, 우리歷史넷
  36. 朝鮮王朝는 世界 最大 穀物貯藏 國家 , 생글생글, 2014年 7月 11日
  37. 염정섭, 朝鮮 王朝의 農政策 遂行 , 韓國文化史, 우리歷史넷
  38. 염정섭, 勸農의 實務를 맡은 樹齡 , 韓國文化史, 우리歷史넷
  39. 이정철, 새로운 傳統의 誕生 , 韓國文化史, 우리歷史넷
  40. 이두순, 《 門틈으로 본 朝鮮의 農業과 社會 》, 韓國農村經濟硏究院
  41. 김기혁, 〈 解放以後 우리나라 綿作農業의 地域的 消滅過程 〉, 《大韓地理學會지》 第29卷 第3號, 1994年
  42. 國家가 管理한 朝鮮의 手工業 , YTN사이언스, 2015年 4月 1
  43. 工業 , 盈德郡
  44. 企劃取材① 統營 工藝 400年 , 統營新聞, 2021年 10月 28日
  45. 産業의 發達 , 第6次 敎育課程 中學校 國史(下), 우리歷史넷
  46. 匠人의 賃勞動者化 , 史料로 본 韓國史, 우리歷史넷
  47. 工場의 經濟的 成長 , 新編韓國史, 우리歷史넷
  48. 公認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9. 賤民 取扱을 받았던 才人과 白丁 , 主題로 본 韓國史, 우리歷史넷
  50. 衡平社運動 , 디지털豫算文化帶
  51. 民營 手工業의 發達 , 史料로 본 韓國史, 우리歷史넷
  52. 韓山모시祝祭 紹介
  53. 부채의 故障, 全州 , 知識N文化
  54. 우리나라 鑛業의 歷史…古代 鐵 生産에서 出發 , 아틀라스뉴스, 2019年 3月 12日
  55. 鐵장도회制의 成立 , 新編韓國史, 우리歷史넷
  56. 監冶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57. 鐵杖 , 實錄위키
  58. 서성호, 〈 朝鮮時代의 鐵 生産體制 〉, 《韓國中世考古學》 通卷 9號 pp. 33-72 (40 pages), 2021年
  59. 덕대 , 敎科書 用語解說, 우리歷史넷
  60. 鑛業의 活性化 , 史料로 본 韓國史, 우리歷史넷
  61. 鑛業部門 , 新編韓國史, 우리歷史넷
  62. 土木 , 韓國民族文化大百科社
  63. 了役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64. 徹底한 賃金支給 , 水原文化財團
  65. 대목場 고택영 , 韓國文化財團
  66. 六矣廛 , 韓國史年代記, 우리歷史넷
  67. 朝鮮時代 漢陽에서는 物件을 어디서 사고 팔았을까요? , 서울歷史博物館
  68. 中國産 緣分서 박가분까지… 訪問販賣 元祖 , 東亞日報, 2017年 10月 23日
  69. 冊將帥 早生 따라 朝鮮八道 冊文化 奇行 , 한겨레, 2013年 1月 4日
  70. 商人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71. 최이돈, 〈 朝鮮初期 工商의 身分 〉, 《韓國文化》 第39號, 2006年
  72. 李煜, 朝鮮 王朝의 商業館 , 韓國文化史, 우리歷史넷
  73. 工商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74. 亂廛 , 敎科書 用語解說, 우리歷史넷
  75. 亂廛의 盛行 , 史料로 본 韓國史, 우리歷史넷
  76. 칠패 , 敎科書 用語解說, 우리歷史넷
  77. 場市의 形成과 擴散 , 新編韓國史, 우리歷史넷
  78. 五日場 , 傳統文化포털
  79. 定期市場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80. 公貿易 , 實錄위키
  81. 朝鮮의 譯官, 이들에게 外國語는 武器利子 돈이었다 , 中央日報, 2011年 7月 16日
  82. 倭館 , 實錄위키
  83. 倭館 , 敎科書 用語解說, 우리歷史넷
  84. 오키나와 歷史①…中國·朝鮮과 交流한 獨立王國 , 아틀라스뉴스, 2021年 8月 27日
  85. 客主의 起源 , 新編韓國史, 우리歷史넷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朝鮮 王朝의 經濟·社會的 構造" 項目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