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정지운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정지운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정지운 (鄭之雲, 1509年 (中宗 4) ~ 1561年 (明宗 16))은 朝鮮 時代 中期의 性理學 者, 思想家, 作家로 者(字)는 情이(靜而), 號(號)는 秋晩(秋巒)이다. 本貫은 慶州 (慶州)이다. 인필(仁弼)의 아들. 김안국 (金安國), 김정국 (金正國)의 文人이다. 四端七情論爭 의 始發點을 이룩하였다.

著名한 性理學 者이자 佔畢齋 김종직 의 弟子인 김안국 (金安國), 김정국 (金正國) 兄弟의 門下에서 性理學 (性理學)을 修學하였다. 김종직 의 孫弟子이자 조광조 의 同門이기도 한 그는 學問 硏究와 後學 養成에 專念하여 性理學 의 代價로 일찍이 '天命圖說(天命圖說)'을 著述하여 事物의 調和(造化)의 理致를 糾明하여 名聲을 날렸다. 以後 天命圖說의 內容이 話題가 되면서 漢城(漢城)에서 李滉 (李滉)을 만나 여러次例 談論, 討論하며 修正(修正)을 받았다. 이것이 뒤에 四端七情論爭 의 發端이 되었다. 高陽(高揚)의 문봉서원(文峰書院)에 祭享(祭享) 되었다.

墓所 [ 編輯 ]

著書 [ 編輯 ]

  • 天命圖說(天命圖說)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