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電子 事典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電子 事典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아이리버 D2000

電子 事典 (電子辭典)은 갖고 다닐 수 있는 작은 스마트 電子 機器로서, 普通 종이 事前 의 컨텐츠를 모아서 만들어진다. 統合 參照 文件이 包含되어 있다.

一部 電子辭典은 單一의 言語로만 된 辭典들을 包含하고 있지만 大部分은 여러 外國語로 飜譯한 辭典들을 包含한다. 이를테면 韓國語 , 英語 , 中國語 , 日本語 , 獨逸語 , 프랑스語 , 이탈리아語 , 스페인語 가 있다. [1]

歷史 [ 編輯 ]

最初의 電子辭典은 1979年 日本 市場 에서 포켓 全域機(ポケット電?機, 抛케토 덴야쿠키)라는 이름으로 出市되었다. 오늘날 生産되는 電子 辭典과 物理的으로 모습이 매우 닮아 있다. 메모리 칩 의 값이 매우 비쌌기 때문에, 이 모델의 價格 또한 비싼 便이었다. 그러나 速度와 效率性 面에서는 稱讚을 받기도 하였다. 一部 主要 日本 電子 業體는 只今 저들만의 電子辭典을 만들어 내고 있다.

1980年代에서 1990年代까지 電子 事前 市場이 擴張되어 감에 따라, 電子 事典이 日本 市場에서 종이 辭典을 代替할 危機에 處해 있다는 意見이 있었다. 2002年 카시오 한 군데만 보더라도 280萬 個의 電子 事典을 팔았던 反面, 日本 內 종이 事前 市場에서는 겨우 千萬 本만 팔렸다. 1992年에 비해 종이 事前 販賣價 5百萬 본 減少하였지만 종이와 電子 事典은 꾸준히 日本에서 一般的인 用途로 굳혀가고 있다. [1]

大韓民國 內에서는 2010年代 들어서 스마트폰 태블릿 PC 의 普及으로 거의 生産이 단종되었다.

特徵 [ 編輯 ]

하드웨어 [ 編輯 ]

外觀 [ 編輯 ]

普通 접을 수 있는 클램셸(clamshell)型의 直四角形의 機器로, 노트북 컴퓨터 의 縮小型과 같이 보인다. 접힌 部分을 펼치면 안쪽에 윗部分에는 液晶이 있고 아래에는 字板이 있다. [1]

入出力 [ 編輯 ]

2000年代 中盤까지는 主로 黑白 LCD 가, 以後에는 컬러 液晶이 主로 使用되고 있다. 2000年代 中盤 以後에 出市되는 機種에는 減壓式 터치 스크린 이 內藏된 補助 液晶畵面이 있어 筆記 認識을 할 수 있는 境遇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2000年代 中後半에 出市된 機種부터는 株 液晶 畵面에 터치 스크린을 內藏하여 筆記 認識 或은 機能 造作을 할 수 있는 境遇가 있다.

字板은 主로 QWERTY 字板이나, 極 初期에는 ABC 配列인 境遇도 있었다. 여러 가지 辭典을 接近할 수 있는 短縮키와 화살標 버튼과 기능키, 알파벳 키等을 갖추고 있는 것이 一般的이다.

스피커나 스테레오 미니 플러그가 달려 있어 이어폰 等을 接續하여 音聲合成(TTS)이나 미리 錄音된 原語民 發音을 듣거나 멀티미디어 機能을 使用하는 것이 可能하다. [1]

電源 [ 編輯 ]

全員은 2000年代 初中盤까지는 主로 乾電池 를, 以後에는 컬러液晶 採擇 및 멀티미디어 機能 導入으로 인한 高性能, 消費電力 增加로 인해 2次 電池 를 使用하는 것이 一般的이 되고 있다. 乾電池를 使用하는 機種의 境遇에는 別途의 直流 電源을 供給받지 않는 境遇가 一般的이고, 充電地를 使用하는 機種의 境遇 배터리를 內藏하고 있으며 充電을 爲해서 USB 或은 AC 電源 어댑터 端子를 갖추고 있는 것이 一般的이다. 알칼라인 乾電池를 使用하는 機種은 一般的으로 70~120時間 內外, 2次 電池를 內藏하는 機種은 一般的으로 消費電力이 많은 까닭에 20時間에서 30時間 內外이다. [1]

소프트웨어 [ 編輯 ]

事前部 [ 編輯 ]

一般的으로 電子辭典은 英語/日本語/中國語/韓國語 辭典을 內藏하고 있다. 機種에 따라 다르지만 많게는 20個 程度의 辭典과 學習에 도움이 되는 附隨的인 컨텐츠를 收錄하고 있다. 草創期의 電子辭典의 境遇 事前의 뜻풀이를 全部 收錄하지 않거나 例文等 相當數를 包含하지 않는 境遇도 存在하였다, 2000年代 初中盤부터는 市中에 販賣되는 事典의 內容을 거의 大部分 收錄하는 製品이 一般化되었다. 다만 이 境遇에도 많은 境遇 圖版이나 附錄等은 包含하지 않는 境遇가 一般的이다. 프랑스語, 獨逸語 等의 言語의 境遇 2000年代 後半까지는 支援하는 製品이 거의 없었으나, 以後 最近 支援 하는 製品이 一部 市販되고 있다. 또한 醫療 從事者를 위한 醫療 컨텐츠를 內藏한 事前 또한 出市되고 있다. [1]

멀티미디어/附加機能 [ 編輯 ]

2000年代 中盤부터 販賣되는 電子辭典은 電子辭典 本來 機能에 덧붙여서 멀티미디어 機能이 덧붙여 販賣되는 것이 一般的인 趨勢이다. 이에 包含되는 機能은 DMB 受信, MP3 音樂 再生, 動映像 파일 再生 等이 있다. [1]

機能 [ 編輯 ]

現在 市販되고 있는 電子辭典에 一般的으로 많이 普及된 檢索 機能을 記述한다.

  • 事前 標題語 및 收錄된 熟語, 例文을 빠르게 檢索한다. 또한 內藏된 여러 事典의 內容을 한꺼번에 檢索할 수도 있다.
  • 事前 뜻 풀이 畵面에서 모르는 單語를 發見하였을 때 바로 그 單語를 調査할 수 있다(JUMP기능)
  • 미리 사람이 錄音해 두었거나 機械가 發生시키는 發音을 들어볼 수 있다.
  • 單語의 一部를 記憶하지 못하거나 틀리게 記憶할 境遇 類似한 單語를 檢索할 수 있다.
  • 檢索한 單語의 履歷을 標示하여 復習하고, 願하는 單語를 單語帳에 貯藏하여 復習할 수도 있다.

電子 事典 製造社 [ 編輯 ]

大韓民國 [ 編輯 ]

日本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E 北 르네상스 電子冊 빅뱅」, 電子出版의 槪念 및 範圍, 이용준 저, 이담북스(2010年, 52~107p)

參考 資料 [ 編輯 ]

  • 「C++ STL 實戰 프로그래밍」, 電子辭典, 김승태 저, 한빛미디어(2004年, 341~347p)
  • 「顧客의 마음을 사로잡는 DM & 便紙」, 新製品 案內(電子辭典), 조지혜 저, 時代의창(2008년, 401~407p)
  • 「생각敎室」, 사라진 電子辭典, 펑판 저, 김수현 驛, 黃金羅針盤(2007年, 214~215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