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印度-스키타이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印度-스키타이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印度-스키타이人 에서 넘어옴)

印度-사카

 

 

紀元前 150年 ~ 書記 395年
 

 

 

북사트라프와 서사트라프의 영토를 포함한 인도-스키타이의 최대강역.
北史트라프 敍事트라프 의 領土를 包含한 印度-스키타이의 最大江域.
수도 시갈
탁실라
마투라
政治
政治體制 君主制

紀元前 85年 ~ 紀元前 60年
10年頃

마우에스
瑕疵트리아
歷史
 ? 成立 紀元前 150年
 ? 滅亡 書記 395年
지리
面積 2,600,000km² [1]
人文
共通語 사카어 [2]
코이네 그리스어
팔리어 ( 카로슈티 文字 )
산스크리트語
프라크리트어 ( 브라흐미 文字 )
宗敎
宗敎 힌두敎 , [3] 佛敎 , 古代 그리스 宗敎

印度-스키타이 ( 英語 : Indo-Scythians , 페르시아語 : ??????? ????????? ) 또는 印度-사카 ( 英語 : Indo-Sakas , 中國語 : 印度-塞迦 )는 스키타이 出身의 이란족 遊牧民들로, 2世紀 中盤부터 4世紀 사이에 中央아시아 로부터 南쪽으로 移住해 오늘날 파키스탄 과 北西印度에 자리잡게 되었다.

印度 의 첫 사카 王은 마우에스/모가 로, 간다라와 파키스탄, 인더스 溪谷 一帶에 사카의 支配權을 確立했다. 印度-스키타이人들은 北西印度로 領域을 擴張하며 印度-그리스 王國 을 비롯한 여러 地域 王國들을 征服했다. 印度-스키타이人들은 쿠샨 帝國 쿠줄라 카드피세스 카니슈카 에 依해 征服되었다. [4] 하지만 사카는 社트라프 로서 이 一帶를 統治하였고, [5] 이들은 北史트라프 敍事트라프 를 形成했다. 西紀 2世紀에 印度-스키타이人들이 사타바하나 의 皇帝 佳友타미푸트라 沙陀카르니 에게 敗北한 後 사카의 支配者들은 衰退하기 始作했다. [6] [7] 敍事트라프 루드라甚하 3歲 굽타 帝國 찬드라굽타 2歲 에게 敗北하면서 人道-스키타이人의 北西印度 支配도 끝나게 되었다. [8] [9]

흔히 印度-스키타이 侵攻이라고도 불리는 中央아시아 出身 스키타이 部族들의 印度亞大陸 北部 地域 侵攻은 亞大陸은 勿論 隣近 地域의 歷史에서도 重要한 役割을 했다. 事實 印度-스키타이 戰爭은 西紀 2世紀 박트리아, 카불, 印度亞大陸 等의 不足과의 葛藤에서 中央아시아人들의 遊牧民 離脫로 觸發된 事件들 中 하나의 張일 뿐이며, 이는 西쪽의 로마는 勿論 西쪽으로 더 가까운 파르티아에서도 持續的인 影響을 미쳤다.

아리아노스 [10]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 를 包含한 古代 로마 歷史學者들은 古代 社카스("Sakai")가 遊牧民이었다고 言及했지만, [11] 이탈로 론카는 프톨레마이오스를 硏究하면서 "사카이의 땅은 遊牧民들의 것이고, 그들은 숲과 洞窟에 사는 것 外에는 마을이 없다."는 것에 對해 거짓이라고 主張했다. [12]

起源 [ 編輯 ]

밀워드를 비롯한 多數의 學者들은 印度-스키타이人의 祖上을 사카 (스키타이人)로 생각한다.

腎臟에 일찍 登場하는 印度유럽어 話者 集團 中 하나는 사카( 中國語 :色)이다. 사카(Saka)는 特定 國家나 民族의 이름이라기보다는 一般的인 用語이다. 사카族은 시베리아와 中央 유라시아 스텝 地帶를 가로지르는 初期 遊牧民들의 文化的 連續體의 一部였다. 헤로도토스 가 그의 歷史 4卷에서 描寫한 스키타이人 들처럼,(사카는 그리스어 "스키타이"에 該當하는 이란語 單語이며, 많은 學者들은 이들을 함께 사카-스키타이라고 부른다.) 사카는 이란語를 使用하는 말 遊牧民으로, 電車를 配置하고, 말을 祭物로 바치고, 그들의 屍體를 窟이나 언덕 무덤인 쿠르간 에 묻었다. [13]

서인도의 사카族은 사카어 를 使用했으며, 타림 盆地 에서 처음으로 確認된 호탄語이기도 하다. [14]

아케메네스 王朝 [ 編輯 ]

아케메네스 軍隊는 페르시아人으로만 構成된 것이 아니었고, 아케메네스 軍隊는 박트리아人, 사카 (스키타이人), 파르티아人 , 소그드人 等 아케메네스 帝國의 一部였던 많은 다른 民族들로 構成되어 있었기 때문에 紀元前 515年頃 아케메네스 王朝가 인더스 溪谷을 征服할 當時 사카度 參戰했을 것으로 推定된다. [15] 헤로도토스는 사카와 이오니아人 (그리스인), 甚至於 에티오피아인까지 包含한 아케메네스 軍隊의 全體 民族 目錄을 提供한다. [16] 벡위드는 이 民族들이 모두 아케메네스 帝國이 印度를 侵攻할 때 參戰했을 可能性이 있다고 본다. [15] 마이클 비첼 [17] 크리스토퍼 벡위드 [18] 를 包含한 一部 學者들은 고타마 붓다 의 氏族인 샤캬 가 元來 中央아시아에서 온 스키타이人이었다고 主張한다. [15] 이 學者들은 印度 內 佛敎에 對한 사카의 剛한 支持도 說明할 수 있다고 본다. [18]

무드라落샤社 알렉산드로스 大王 이 죽은 後 찬드라굽타 마우리아 마가다 에서 王位를 차지하고 마우리아 帝國 을 세우려고 할 때 "사카-야바나-캄보자-파라시카-바흐리카" 同盟이 使用되었다고 말한다. [19] [20] [21] 學者들은 사카는 스키타이人, 야바나는 그리스人, 파라시카는 페르시아人이라고 보고 있다. [20] [22]

月池의 擴張 [ 編輯 ]

漢나라와 다른 中國의 記錄에 따르면, 月池 匈奴 에게 敗北한 後 西쪽으로 달아났고, 이 過程에서 月池가 사카를 비롯한 다른 中央아시아 部族들을 밀어내면서 도미노 效果 를 일으켰다. [23] 이 古代 史料들에 따르면 匈奴의 冒頓單于 는 紀元前 175年頃에 月池를 攻擊하여 치롄山脈 과 둔황 사이에 있는 月池의 故鄕에서 쫓아냈다. [24] 月知人 大部分은 西쪽의 일리江 流域으로 移動했고, 이로 因해 사카는 南쪽의 소그디아나 페르가나 地域으로 移動했다. 中國 漢書 에는 "西쪽의 새王을 攻擊하다. 새王은 南으로 멀리 移住하여 월씨가 그 땅에 居處하였다."(西擊塞王。塞王南走遠徙,月氏居其地)라고 記錄되어 있다. [25] [26]

定着 [ 編輯 ]

사카族은 南部 아프가니스탄, 西部 파키스탄, 그리고 南部 이란의 地域인 드랑기아나에 定着했고, 그 地域은 그들의 이름을 따서 社카스彈 또는 詩스탄이라고 불렸다. [27] 아르사크 皇帝 미트리다테스 2歲 는 中央아시아에서 攻擊的인 軍事 政策을 追求했고 파르티아 帝國 에 많은 地域을 追加했다. [28] 여기에는 미트리다테스가 人道-스키타이人들로부터 빼앗은 西部 박트리아가 包含되었다. [29] 月池의 軍事的 壓力에 따라 引渡-스키타이人들의 一部는 박트리아에서 하문호 로 移住했고 [30] , 紀元前 1世紀 末에 "스카이시안 사카이의 사키스타나" [31] 라고 불리게 된 드랑기아나 (시갈)에 定着했다. 紀元前 1世紀에 카락스의 이시도르 는 사카스탄에 사카族이 存在했다는 것을 《파르티아의 驛》에서 言及했다.

저 너머에는 爬羅에타세나라고도 불리는 63番째 쇠니, 스키타이 사카에의 社카스타나가 있다. 都市 바르다와 민과 팔레센티와 詩갈이 있다. 그 곳에는 사카에 王宮이 있고, 近處에는 알렉산드리아( 알렉산드리아 아라코시아 )와 6個의 마을이 있다. [32]

王國 [ 編輯 ]

藝術 [ 編輯 ]

宗敎 [ 編輯 ]

文學에서의 人道-스키타이 [ 編輯 ]

발미키 라마야나 의 발라 칸다에는 사카 , 야바나 , 캄보子 , 팔라바族 等 戰爭을 하는 밀레크차족에 對한 重要한 言及이 있다. H. C. 레이차드허리는 이 句節들에서 힌두敎徒들과 北西쪽에서 온 밀레크車 野蠻人들의 侵略軍 사이의 鬪爭을 엿볼 수 있다고 보았다. [33] 마하바라타 의 바나파라바에는 "...사카, 야바나, 캄보子, 발리카스 等의 밀레크車 王들이 칼리 油價 에서 不當하게 땅을 統治할 것이다.."라는 句節이 있다. [34]

中央아시아와의 聯關性 [ 編輯 ]

M. A. 슈타인에 따르면 中央아시아 스키타이人들의 一部는 서왕(西王)의 指揮 下에 南쪽으로 가는 것을 擇했으며, 파미르高原 을 지나 스와트 地方의 칸다 溪谷 위에 位置한 쉬案頭를 건너 치핀이나 키핀으로 들어갔다고 한다. [35] 치핀은 펠리오, 바그치, 레이쇼드허리 等에 依해 카슈미르로 確認되었고, [36] 다른 學者들은 치핀을 카피샤( 카피르스탄 )와 同一視한다. [37] 서왕은 이 地域에 王國을 建立했다. S. 코노프는 사이王을 印度 文學의 챠카 무룬다 로 解釋하며, 무룬다는 王, 主人, 영주와 同等한 意味를 가진다. [38] 그러나 '스키타이의 왕'이라는 뜻으로 '왕'이라는 말을 받아들인 바그치는 사이 사카族을 무룬다 사카族과 區別한다. [39] 一部 學者들은 모가/마우에스 왕이 서왕의 國家에서 치핀으로 移住한 스키타이人들의 集團에 屬했을 수 있다고 본다. [40]

印度-스키타이의 君主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Taagepera, Rein (1979). “Size and Duration of Empires: Growth-Decline Curves, 600 B.C. to 600 A.D”. 《Social Science History》 3 (3/4): 115?138. doi : 10.2307/1170959 . JSTOR   1170959 .  
  2. Diringer, David (1953).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英語) Seco a revis版. London: Hutchinson's Scientific and Technical Publications. 350쪽.  
  3. The Decline and Fall of the Hindus: The Book on India's Regeneration
  4. "A Catalogue of the Indian Coins in the British Museum. Andhras etc." Rapson, p ciii
  5. "The titles "Kshatrap" and "Mahakshatrapa" certainly show that the Western Kshatrapas were originally feudatories" in Rapson, "Coins of the British Museum", p.cv
  6. World history from early times to A D 2000 by B .V. Rao: p.97
  7. A Brief History of India, by Alain Danielou p.136
  8. India in a Globalised World, by Sagarika Dutt p.24
  9. Ancient India, by Ramesh Chandra Majumdar p. 234
  10. “Arrian: Anabasis Alexandri: Book VIII (Indica); Section V” . 《Ancient History Sourcebooks》. Fordham University . 2019年 1月 21日에 確認함 .  
  11. Ptolemy vi, xiii (1932), p. 143.
  12. Ronca (1971), pp. 39, 102, 108.
  13. Millward (2007), p. 13.
  14. Diringer, David (1948).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 350쪽.  
  15. Beckwith, Christopher I. (2015). 《Greek Buddha: Pyrrho's Encounter with Early Buddhism in Central Asia》 (英語). Princeton University Press. 5쪽. ISBN   9781400866328 .  
  16. Herodotus VII 65
  17. Attwood, Jayarava. 《Possible Iranian Origins for the ??kyas and Aspects of Buddhism》 (英語). 47?69쪽.  
  18. Beckwith, Christopher I. (2015). 《Greek Buddha: Pyrrho's Encounter with Early Buddhism in Central Asia》 (英語). Princeton University Press. 1?21쪽. ISBN   9781400866328 .  
  19. Mookerji, Radhakumud (1966). 《Chandragupta Maurya and His Times》 (英語). Motilal Banarsidass. 27쪽. ISBN   9788120804050 .   ; Mookerji, Radha Kumud (1957). 〈The Foundation of the Mauryan Empire〉 . K. A. Nilakanta Sastri. 《A Comprehensive History of India, Volume 2: Mauryas and Satavahanas》. Orient Longmans. 4쪽.   : "The Mudrarakshasa further informs us that his Himalayan alliance gave Chandragupta a composite army ... Among these are mentioned the following : Sakas, Yavanas (probably Greeks), Kiratas, Kambojas, Parasikas and Bahlikas."
  20. Shashi, Shyam Singh (1999). 《Encyclopaedia Indica: Mauryas》 (英語). Anmol Publications. 134쪽. ISBN   9788170418597 .   : "Among those who helped Chandragupta in his struggle against the Nandas, were the Sakas (Scythians), Yavanas (Greeks), and Parasikas (Persians)"
  21. D. B. Spooner (1915). “The Zoroastrian Period of Indian History” . 《 Journal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47 (3): 416?417. doi : 10.1017/S0035869X00048437 . JSTOR   25189338 . S2CID   162867863 .   : "After Alexander's death, when Chandragupta marched on Magada , it was with largely the Persian army that he won the throne of India. The testimony of the Mudrarakshasa is explicit on this point, and we have no reason to doubt its accuracy in matter[s] of this kind."
  22. Mookerji, Radhakumud (1966). 《Chandragupta Maurya and His Times》 (英語). Motilal Banarsidass. 210쪽. ISBN   9788120804050 .  
  23. Grousset, Rene (1970). 《The Empire of the Steppes》 . Rutgers University Press. 32 쪽. ISBN   978-0-8135-1304-1 .  
  24. Shiji , chap. 123 translated in: Burton Watson (1993), p. 234.
  25. 漢書 61 4B Original tex: 西擊塞王。塞王南走遠徙,月氏居其地。
  26. Craig Benjamin (October 2003). “The Yuezhi Migration and Sogdia” . 《Transoxiana Webfestschrift Series I: Eran Ud Aneran》.  
  27. Bailey, H.W. (1996) [14 April 1983]. 〈Chapter 34: Khotanese Saka Literature〉 . Ehsan Yarshater.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 III: The Seleucid, Parthian, and Sasanian Periods, Part 2》 reprint版.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30?1231쪽. ISBN   978-0521246934 .  
  28. Justin XL.II.2
  29. Olbrycht, Marek Jan (2010). "The early reign of Mithradates II the Great in Parthia". 1. Anabasis: 144?158
  30. Political History of Ancient India , 1996, p 693.
  31. Isodor of Charax, Sathmoi Parthikoi, 18 .
  32. “Parthian stations” . Parthia.com . 2012年 3月 14日에 確認함 .  
  33. Political History of Ancient India , 1996, pp 3?4.
  34. viparite tada loke purvarupa.n kshayasya tat || 34 ||
    bahavo mechchha rajanah prithivyam manujadhipa |
    mithyanushasinah papa mrishavadaparayanah || 35 ||
    Andhrah Shakah Pulindashcha Yavanashcha naradhipah |
    Kamboja Bahlikah Shudrastath abhira narottama || 36 ||
    ? (MBH 3.188.34?36) .
  35. Serindia, Vol I, 1980 Edition, p 8, M. A. Stein
  36. H. C. Raychaudhury, B. N. Mukerjee; Early History of North India, p 3, S. Chattopadhyava; India and Central Asia, p 126, P. C. Bagchi
  37. Epigraphia Indiaca XIV, p 291 S Konow; Greeks in Bactria and India , p 473, fn, W. W. Tarn; Yuan Chwang I, pp 259?60, Watters; Comprehensive History of India , Vol I, p 189, N. K. Sastri; History and Culture of Indian People, The Age of Imperial Unity , 122; History and Culture of Indian People, Classical Age , p 617, R. C. Majumdar , A. D. Pusalkar.
  38. Corpus Inscriptionum Indicarum, II. 1. XX f; cf: Early History of North India , pp 54, S Chattopadhyaya.
  39. India and Central Asia , 1955, p 124, P. C. Bagchi; Geographical Data in Early Puranas , 1972, p 47, M. R. Singh.
  40. Political History of Ancient India, 1996, p fn 13, B. N. Mukerjee; Chilas, Islamabad, 1983, no 72, 78, 85, pp 98, 102, A. H. D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