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性 (文法)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性 (文法)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文法的 性 에서 넘어옴)

一部 言語 文法 에서 (性, 英語 : gender , 라틴語 : genus ) 또는 文法性 (文法性, grammatical gender)은 名士 가 갖는 文法 範疇 의 一種이다. [1] 姓을 갖는 言語는 名詞가 性에 따라 다른 曲用 을 하는 境遇가 많고, 名詞를 修飾하는 形容詞 가 이에 一致하여 性에 따른 曲用을 하거나 凍死 가 文法要素로 使用되는 名詞의 性에 따른 活用 을 하기도 한다. 인도유럽어족 , 드라비다語族 의 많은 言語들은 男性(男性), 女性(女性), 中性(中性) 等으로 세 가지의 性이 區分되는 典型的인 性 體系를 保有하고 있다. [2]

性의 區別은 意味에 따라 이루어지는 境遇와 形態에 따라 이루어지는 境遇가 있다. 男性, 女性, 中性으로 나뉘는 體系에서는 自然性이 擴張되어 意味에 따른 區別이 이루어지는 것이 一次的이나, 意味上 區別이 明確하지 않을 때는 形態에 따라 이루어진다. 意味, 形態 모두 不明確한 境遇도 있는데, 語源이 가진 文法性이 言語의 歷史에서 그대로 내려온 境遇가 많다. [3]

自然性이 擴張된 意味上의 性 區別을 使用하지 않고, 生物性 에 따라 活動體(活動體, animate)와 非活動體(非活動體, inanimate) [4] 를 區別하는 境遇도 있다. 이러한 言語의 例로는 히타이트語 및 多數의 아메리카 原住民 言語 가 있다. 이렇게 性을 區別할 境遇에 活動體 名詞를 通聲(通性), 非活動體 名詞를 中性이라 부르기도 한다.

誠意 發展 [ 編輯 ]

印度유럽 造語 게르만 造語 等은 男性, 女性, 中性으로 나뉘는 세 가지의 基本 性을 保有하고 있었던 것으로 推定된다. 산스크리트 , 라틴語 , 古典 그리스어 , 고트語 , 古代 英語 等 印度유럽계 古典語 는 거의 세 個의 城 體系를 가지고 있으며, 獨逸語 , 아이슬란드語 , 루마니아語 等 많은 印度유럽계 現代語度 세 個의 姓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세 個의 城 體系를 가지고 있던 言語 中 一部는 發展하면서 區別이 退化하여 成이 두 個, 或은 한 個로 줄어들게 되었다. 性을 區別하지 않는 代表的인 印度유럽어는 다음과 같다.

세 個의 性을 가진 言語가 發展하며 두 個의 姓을 가지게 될 때는 크게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境遇가 存在한다.

  1. 中性이 主로 男性으로 同化되어(또는 男性과 女性으로 吸收되어) 男性과 女性만 남을 境遇. 프랑스語 , 스페인語 , 포르투갈語 等 많은 로망스語 가 이에 屬한다. 힌디어 等 로망스語 外에서도 廣範圍하게 나타난다.
  2. 男性과 女性이 서로 同化되어 통聲이 되고 통聲과 中性이 남을 境遇. 네덜란드語 [5] 서게르만語 一部와 스웨덴語 , 덴마크語 북게르만어 一部가 이에 屬한다.
  3. 女性과 中性이 融合하여 非男性(非男性)이 되고 男性과 非男性이 남을 境遇. 드라비다語族에 屬하는 一部 言語가 이와 같은 區別을 使用한다. [3]

印度유럽계 古典語가 3個의 姓을 갖는 것과 對照的으로, 셈語派 에 屬하는 古典語들― 아랍語 를 비롯해 히브리어 , 아람어 , 우가리트어 , 아카드語 等―은 男性과 女性, 2個의 城만을 갖는 것이 特徵이다. 現代의 셈語派 言語에서는 印度유럽어처럼 廣範圍한 誠意 融合 現象이 일어나지 않고, 大部分 2個의 性을 그대로 區別한다. 이러한 2街 性 分類는 事實 셈語派가 屬하는 아프리카아시아語族 에서 全般的으로 나타나는 特徵인데, 아프리카아시아語族의 다른 語派에 屬하는 베르베르語 , 콥트語 等도 2個의 性을 區別한다.

3個보다 많은 性 [ 編輯 ]

드라비다語族 一部의 古典 文法에서는 3個보다 많은 性 體系를 使用하였다. 例를 들어, 13世紀의 케시라자 가 지은 칸나多語 의 苦戰 文法西人 《 샤브다마니다르파나 》에서는 9個의 文法性을 區別한다. 그러나 實際로 現代 칸나다語에서 使用되는 것은 男性, 女性, 中性의 3個뿐이다. [6]

一部 슬라브語 는 自然性의 擴張으로서의 3星 體系와 生物性에 따른 性 區別을 모두 使用한다. 이러한 現象의 典型인 폴란드語 의 境遇 男性, 女性, 中性의 3星 體系에 더하여 男性을 活動體와 非活動體로 나누고, 다시 活動體를 사람과 기타로 細分하여 總 5種類의 性에 따른 名士 曲用 方式을 使用한다.

一般的으로, 一部는 自然性이나 生物性 과 關聯이 別로 없으면서 3個를 過度하게 超過하는 文法性 或은 이와 類似한 文法的 裝置를 使用하는 境遇, '性'이라는 呼稱 代身 名詞部類 와 같은 其他의 用語를 使用한다. [7] 例로, 반투語軍 의 言語들은 20個 內外의 名詞部類로 名詞를 分類하는 것으로 有名하다. 이에 屬하는 스와힐리어 링舊痾 프랑카 로서 比較的 적은 數의 名詞部類만을 使用하는 便이다. 古典的으로는 22個의 名詞部類를 區別하였으나, 현대 스와힐리어는 13-16個 남짓한 名詞部類만을 區別한다. [8]

性이 없는 言語 [ 編輯 ]

系統上 性이 存在하지 않는 言語의 例를 몇 가지 들면 다음과 같다.

各州 [ 編輯 ]

  1. 代名詞 에서만 性을 區別할 境遇 一般的으로 性이 存在한다고 하지 않는다.
  2. 드라비다語族의 古典語들은 印度유럽어처럼 典型的인 3星 體系를 보이지 않는 境遇가 많으며, 3性보다 많거나 區別 方法이 다른 性 分類 體系를 使用하기도 한다. 그러나, 산스크리트 文法의 影響으로 많든 적든 3星 體系는 드라비다어의 文法 定立에 影響을 끼쳤다.
  3. 윤병달, 《言語와 意味》, 圖書出版 同人, 2009, 78-79쪽.
  4. 불활胴體(不活動體)라고도 한다.
  5. 네덜란드語의 境遇 20世紀 中盤까지 公式的으로 男性과 女性을 區別하고 있었으나, 19世紀 中盤에 이미 口語體에서는 區別이 別로 使用되지 않았다 - Jan de Vries, Roland Willemyns and Peter Burger, Het verhaal van een taal (Amsterdam: Negen eeuwen Nederlands, 1993). pp. 104-105.
  6. Ferdinand Kittel, A grammar of the Kannada language in English : comprising the three dialects of the language (ancient, mediæval and modern) (Mangalore: Basel Mission Book and Tract Depository, 1903). p. 39.
  7. 名詞部類의 槪念은 成果 直接的인 關聯은 없다. 名詞部類 槪念은 普遍的인 것이지만, 性의 槪念은 間言語的으로 普遍的이라기보다는 印度유럽어, 셈어, 드라비다어 等 一部 言語의 文法的 傳統에 따른 傾向이 强하다. 그러므로 이 外의 言語에는 嚴密히 말해 性 槪念을 適用시키기에는 問題가 있다.
  8. “온라인 스와힐리어 講義” . 2006年 11月 4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6年 11月 4日에 確認함 .  

參考 文獻 [ 編輯 ]

  • 윤병달, 《言語와 意味》, 圖書出版 同人, 2009.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