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롤라드派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롤라드派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이 19 世紀의 그림은 존 위클리프가 自己를 따르는 롤라드에게 自己의 이름이 있는 飜譯聖經을 주는 것을 보여준다.

롤라드 (Lollardy, Lollardry, Lollardism)는 14世紀 中盤부터 英國 宗敎改革 에 이르기까지 있었던 宗敎運動이다. 이 運動의 시작은 존 위클리프 였다. [1]  그는 로마 카톨릭 神學者 였는데 로마 카톨릭 敎會 에 對한 批判으로 1381年 옥스포드 大學 에서 追放되었다. 롤라드들은 優先的으로 西歐 基督敎 의 改革을 要求하는 것이었다.

起源 [ 編輯 ]

람베드 宮廷에 있는 롤라드들의 監獄

Lollard, Lollardi 또는 Loller는 特別히 존 위클리프(John Wyclif)의 가르침을 따르는 者들로 英語로 敎育을 받지 못한 것에 對한 輕蔑的 別名이었다. 聖經을 英語로 飜譯함으로써 매우 熱情的인 活動하였다. 15世紀 中葉까지 "lollard"가 一般的으로 異端으로 看做되었다. 또 다른 單語 위클립派(Wycliffite)는 一般的으로 비슷한 意見을 가진 그들에 對한 中立的인 用語인데 學問的인 背景을 가진자들이다. 이 用語는 아일랜드系 英國의 聖職者 헨리 쿠럼프 (Henry Crumpe)에 依해 만들어졌다고 알려져 있지만 그 起源은 不確實하다. 옥스퍼드 英語 辭典에 따르면, 그것은 中世 네덜란드語 凍死 lollen(중얼거리다)의 名詞形 lollaerd (중얼거리는 者)에서 아마도 派生되었을 것이다. 그것은 異端者로 認識되는 사람들에게 適用되는 表現 인 것처럼 보인다. 처음에는 프란치스칸과 나중에 위클리프 追從者들이다.

歷史 [ 編輯 ]

巡廻 롤라드 說敎者에 依해 使用된 포겟위클리프聖經에 있는 요한福音의 始作(14 世紀 後半)

위클리프는 여러 해 동안 英國 大學가와 敎界를 向해 初期 敎會의 聖書的인 遺産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强調했다. 그러나 敎會는 그의 가르침은 異端的이며 잘못되었다고 淨罪했다. 위클리프 以前에는 가톨릭 敎會 는 聖經을 라틴語로만 읽게 했으나 1382年 위클리프의 弟子들은 가톨릭 敎會 와의 오랜 傳統을 끊어버리고 新舊約 聖經을 英語로 飜譯했다. 1千年 동안의 傳統을 깨고 유럽의 言語로 聖經이 完譯된 것은 처음이었다. 위클리프는 巡廻 說敎者들을 組織하여 英國 國民들에게 直接 가르쳤다. 마르틴 루터 비텐베르그 敎會 門에 95個 條項을 붙이기 2世紀 以前에 위클리프를 따르는 ‘가난한 司祭들’은 英國 全域의 마을을 돌면서 英語로 說敎했으며, 腐敗한 敎會의 改革을 부르짖었다. 롤라드 復興運動은 旣成敎會로부터 甚한 迫害를 받았다. 1382年 그리스도의 昇天 날에 英語로 첫 說敎를 한 ‘롤라드’는 니콜라스 히어포드였는데, 이것은 英國 全域을 통해 하나님의 말씀을 普通 사람들에게 傳하는 契機가 됐다. 歷史家들은 위클리프를 ‘ 宗敎改革 의 아침 별’이라고 불렀다. 旣成 敎會는 이들 ‘가난한 司祭들’을 ‘롤라드들’(Lollards)이라고 불렀다. ‘롤라드’ 復興運動은 위클리프가 죽기 2年 前에 始作됐다. 위클리프의 가르침은 롤라드 復興運動을 促進시켜 다음 世代로 이어져서 15世紀 初葉에는 英國人 두 사람 中 한 사람은 그의 가르침에 影響을 받았다. 위클리프는 敎會의 腐敗를 公開的으로 批判했으며, 聖經만이 모든 敎理와 實踐을 위한 窮極的인 權威라고 말했다. 敎皇 聖經 의 가르침과 다른 말을 할 때는 믿어선 안된다고 함으로써 旣成敎會와 다른 立場을 取했다. 敎皇 그레고리 9世는 위클리프를 淨罪했으며, 1382年에 켄터베리 主敎의 指揮아래 公議會는 위클리프의 敎理 24個 項目을 淨罪했는데 10個項은 異端으로, 14個項은 잘못된 것으로 判決했다. 위클리프는 1384年 12月 31日 中風으로 世上을 떠났다. 위클리프가 죽은 다음 44年이 지난 後에 敎皇 勅令 을 내려 위클리프의 死體를 發掘하여 異端으로 火刑에 處하게 했으며, 그의 재를 自身이 牧會하던 루터워스를 지나는 스위프트 江에 뿌리게 했다. 이것은 그에 對한 名譽殺人을 의미하는 것이다. 위클리프의 裁可 江을 따라 바다로 흘러감과 同時에 그가 組織한 ‘가난한 司祭들’(롤라드 復興運動)의 福音은 英國을 넘어 유럽 大陸으로 繼續 傳達됐으며, 聖徒들의 運動으로 漸次 擴大되어 갔다. 1523年에 네덜란드 의 神學者 에라스무스 (Erasmus, 1466-1536)는 ‘롤라드’運動을 ‘征服되었으나 消滅되지 않는’ 復興運動이라고 했다. [2]

같이 보기 [ 編輯 ]

參照 [ 編輯 ]

  • Margery Baxter
  • Ecclesiae Regimen
  • General Prologue of the Wycliffe Bible
  • Jan Hus
  • William Langland
  • Nicholas Love (monk)|Nicholas Love
  • Thomas Netter
  • Piers Plowman
  • Piers Plowman tradition
  • Waldensians

出處 [ 編輯 ]

  1. Roberts, Chris (2006), 《Heavy Words Lightly Thrown: The Reason Behind Rhyme》, Thorndike Press, ISBN   0-7862-8517-6   .
  2. 宗敎改革 以前의 復興運動 - 1300~1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