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니코마코스 倫理學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니코마코스 倫理學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니코마코스 倫理學 》( 古代 그리스어 : ?θικ? Νικομ?χεια , 英語 : Nicomachean Ethics )은 道德에 關한 아리스토텔레스 의 哲學을 담은 冊이다. 10卷으로 되어 있으며 리케이온 에서의 講義 노트를 바탕으로 下레스의 아들, 니코마코스에게 바치는 形式이거나 그에 依해 編輯된 것으로 보인다.

니코마코스 倫理學은 道德的 行動의 習慣化를 통해 道德的 性品을 高揚하는 것에 焦點을 둔다. 에우다이牟尼아(Eudaimonia, 좋은 삶)를 삶의 目標로 보고 있다.

內容 [ 編輯 ]

이 冊에서 倫理學은 政治學에 直結되고 一體化되어 있다. 우리들의 行爲는 모두 그 어떤 線(善)을 希求하는데, 最高善(最高善)은 國家( 폴리스 )가 追求하기 때문이다. 個人에 있어서의 線의 實現보다도 國家的 線의 實現이 窮極的이고 神的(神的)이라고 아리스토텔레스는 말한다. 때문에 모든 線을 硏究하는 倫理學徒 統帥(統帥)나 家庭(家政)이나 辯論이란 提學(諸學)과 더불어 政治家에게 結付되는 것이어서, 이 事實은 10卷의 終章(終章)에서 明白해진다.

선 乃至 最高善은 幸福이 되므로 幸福의 問題가 1卷 4張 以下에서 다루어지고 다시 10卷에서 결론적으로 言及된다. 그러나 幸福은 結局 靈魂의 德(德)을 따른 流動(流動)에 不過하므로 靈魂의 두 部分―아로곤(無理的)·路困(有理的)―에 立脚한 두 個의 德, 卽 倫理的 德과 知性的 德을 論하게 된다. 2卷에서 5卷에 걸쳐 에티케 아레테 (倫理的 德)에 關한 一般論과 各論이 展開되고 다시 6卷에서 知性的 德이 論究(論究)된다. 倫理的 德은 에토스 (習慣)에 依하여 생기는, 卽 快高(快苦)를 隨伴하는 行爲의 習慣化에 따른 것이다. 德이란 이(理)에 依하여 決定된 重用 (中庸)에서 成立되는 行爲 選擇의 狀態라고 規定된다. 中庸이란 두 個의 惡(超過와 不足)의 中間을 일컫는다. 德을 로고스 (比)的으로 본다면 中間이지만 '最高善'이라든가 '좋음'에서 본다면 頂點(頂點)인 것이다. 要컨대 德이란 파토스 도 能力도 아닌 性格의 狀態이며 그 本質은 中庸에 있는 것이다. 프로네시스(思慮)는 知性的 德이지만 누스 (理性)나 소피아 (知慧)와도 다르다. 그것은 人間에게 있어서의 온갖 善과 惡에 關하여 이(理)를 隨伴한 眞實 行爲가 이루어지는 狀態이다. 理論的인 學問이나 製作 技術과도 달라서 行爲 自體를 目的으로 하여 個別的으로 관계되는 思慮야말로 가장 重要한 德이다. 말이 지니는 本質的 意味의 思慮도 政治的 思慮이다.

7卷 後半과 10卷 前半에 快高(快苦)와 善惡 乃至는 德과의 關係가 言及되는데, 前者는 아소스 時期의 것이며, 다시금 發展한 後者에서는 快(快)를 에네르게이아(現實態)로서 捕捉하여 젊은이의 상냥함에 比喩된다. 人間의 快라 함은 至福(至福)한 사람의 活動을 窮極的으로 完全하게 하는 것으로서 아리스토텔레스다운 積極的인 評價가 이루어진다. 8卷·9卷의 필리아 (友愛)론도 幸福인 德論(德論)을 補充하는 重要한 것이다. 필리아는 서로가 알려져서 마음에 지니는 好意(好意)이다. 完全한 필리아는 德이란 點에서 同類(同類) 사이에 成立되지만 드물다. 自己의 異性을 사랑하는 慈愛(自愛)를 中心으로 이기(利己)와 利他(利他)가 問題로 되어 있다.

10卷 後半에는 窮極的인 幸福을 理性의 活動에서 求하여 그것이 自足的(自足的)이고 閑暇해서 人間에게 可能한 限度의 無被露積(無疲勞的) 其他 條件을 모두 갖추어 神的(神的)으로 되면서도 이 純粹 觀照(觀照)로서도 이것을 함께하는 者가 있다면 더욱 좋다고 하는 附言을 잊지 않는다. 結局 德과 幸福의 絶頂을 이루는 自足的인 純粹 觀照마저도 人間의 境遇에는 親愛에 依하여 補完된다는 것은 意味深長한 일이다. 덧붙여 말하면 10卷 終場에서 靑少年을 德으로 바르게 印度함에는 法律이 必要한 것과 法律과 國際(國制)의 蒐集이나 檢討가 人間에 關한 哲學을 完全하게 한다고 力說한 點은 前述한 바와 같이 倫理學과 政治學의 關聯을 알려준다.

正義 [ 編輯 ]

저스티스(Justice) 卽 '正義'(正義)에 對해서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著書 倫理學(Nicomachean Ethics) 第5卷 定義論에서 正義는 平等과 密接한 關係를 맺고 있음을 言及하고 있다. [1] [2]

目次 [ 編輯 ]

  1. 第1卷 좋은 삶
  2. 第2卷 性格的 卓越性
  3. 第3卷 卓越性의 條件과 個別的 卓越性
  4. 第4卷 個別的 卓越性들
  5. 第5卷 正義
  6. 第6卷 思惟의 卓越性들
  7. 第7卷 自制力 없음과 즐거움
  8. 第8卷과 第9卷 親愛
  9. 第10卷 즐거움과 좋은 삶

같이 보기 [ 編輯 ]

書誌 情報 [ 編輯 ]

  • 아리스토텔레스 저, 강상진·김재홍·이장우 共譯, 니코마코스 倫理學, 길, 2011
  • 아리스토텔레스 저, 손명현 驛, 니코마코스 倫理學/政治學/詩學, 동서文化史, 2007/2016
  • 아리스토텔레스 저, 천병희 驛, 니코마코스 倫理學, 숲, 2013

各州 [ 編輯 ]

  1. (위키文獻 英文版-니코마코스 倫理學 Book 5) https://en.wikisource.org/wiki/Nicomachean_Ethics_(Chase)/Book_Five
  2. (위키文獻 英文版 -English-language translations of ?θικ? Νικομ?χεια include: Nicomachean Ethics (Chase) ? 1911 translation by D. P. Chase (1820?1902) (transcription project) Nicomachean Ethics (Ross) ? 1925 translation by W. D. Ross, in the Works of Aristotle) https://en.wikisource.org/wiki/Nicomachean_Ethics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