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구 (1723年)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김한구 (金漢耉, 1723年 2月 23日 ~ 1769年 11月 5日 )는 朝鮮 後期의 外戚으로 정순왕후 , 金龜柱 의 아버지이다. 아들 金龜柱 와 함께 思悼世子 를 誣告하여 죽게 했다. [1] [2] 好調參判을 지낸 김한기 (金漢耆)의 兄이고 本貫은 慶州 (慶州)이다. 者(字)는 國老(國老), 號는 基졸재(寄拙齋), 諡號는 충헌공(忠憲公)이다.

오랫동안 留學으로 있다가 1758年 (英祖 38) 司馬試 初試에 合格하였지만 覆試에 落榜하였다. 1759年 (英祖 39) 6月 딸이 英祖의 繼妃로 揀擇되어 돈녕부道程이 되었다가 지돈녕부史를 거쳐 영돈녕府使로 昇進하고 오흥府院君에 封爵되었다. 以後 禁衛大將 , 兼 尙衣院 製造, 御營大將 , 兼 掌樂院 製造 等을 歷任하였다. 老論 의 黨員이었던 그는 홍계희 , 홍인한 等과 結託하여 思悼世子 를 攻擊하였다. 當代의 宰相이었던 김흥경 의 7寸 조카로, 英祖의 駙馬 김한신 의 8寸 兄이며, 秋史 김정희 의 曾祖父뻘 되는 親戚이기도 하다. 그밖에 金龜柱 와 함께 老論 의 重鎭이었던 김관주 의 7寸 아저씨가 된다.

生涯 [ 編輯 ]

初期 活動 [ 編輯 ]

1723年 2月 23日 忠淸南道 瑞山郡 음암면 유계리의 한다리 마을에서 김홍욱 의 4代孫으로 蔭職(蔭職)으로 縣監 , 共助 參議 를 지낸 김선경 司憲府 地平 홍주화(洪胄華)의 딸 南陽洪氏의 아들로 태어났다. 英祖 의 駙馬인 和順翁主 의 男便 김한신 은 그와 8寸 從兄弟間으로, 堂內間이었다. 그의 親戚인 김흥경 김한신 은 漢城에서 高官을 歷任했지만 그의 집안은 忠淸南道 瑞山의 한다리 마을에 定着했고, 以後 隣近에서 한다리 金氏라는 別稱으로 불리게 됐다.

瑞山郡 유계리에 傳하는 民譚에 依하면 김한구의 夫人 原州元氏가 出産日이 되어 出産을 위해 親庭으로 가는 途中 氣候가 惡化되어 人家도 없는 唐津郡 벌판길에서 첫 딸을 順産하였는데, 이때 지나가다 이를 본 이사관 의 도움을 받았다고 한다. 理事官은 卽時 議員을 불러 그를 診療했고, 産母와 아기의 목숨을 求했다 한다. 子女들이 태어난 뒤 김한구는 漢城府 로 上京하였는데, 當時 思悼世子 의 丈人 홍봉한 의 집을 자주 오가면서 이 期間 동안 홍봉안과 親分을 쌓게 되었다. 홍봉한 은 김한구의 글재주와 사람됨됨이를 보고, 김한구 一家가 漢城府 로 移徙와 살도록 도와주었다 한다. 後日 혜경궁 洪氏 는 自身의 著書 閑中錄 에 兩쪽 집안이 親하게 지냈음을 强調하기도 했다.

留學으로 있다가 1758年 司馬試 初試에 合格하고 覆試(覆試)에 凝視하였으나 落榜하였다.

政治 活動 [ 編輯 ]

英祖 35年인 1759年 6月 딸이 英祖의 繼妃로 揀擇되어 정순왕후 가 되자, 通政大夫 돈녕부 道政(通政大夫 敦寧府都正)李 되고 資憲大夫 지돈녕부社(資憲大夫 知敦寧府事)로 昇進했다가 다시 그해 6月 11日 輔國崇祿大夫 돈녕부領事(輔國崇祿大夫 敦寧府領事)로 特進하고 오흥府院君(鰲興府院君)에 封해졌다. 그해 兼 五衛都摠府 都摠管과 尙衣院 製造(尙衣院提調)에 兼任되었다.

영조는 그에 對한 特別 配慮로 自身의 名으로 철훼했던 성암書院을 復設시키기도 했다. [3] 忠淸道 瑞山 의 성암서원은 김한구의 高祖父 김홍욱 이 配享된 書院이었다. 그해 禁衛大將, 1763年(英祖 39) 御營大將을 지냈다. 그는 홍계희 · 홍인한 · 김상로 等과 結託하여 思悼世子 를 窮地로 몰아넣었으며 1764年 아들 金龜柱 가 王과 親分이 있는 臣下로서 老論 의 黨論에 關與하였다 하여 彈劾을 받고 罷職당하자, 아들을 잘못 가르쳤다고 하여 함께 罷職되었다. 1766年 7月 영돈녕府使 兼 掌樂院 製造(掌樂院提調)로 復職되고, 1767年 다시 御營大將이 되었다. 事後 議政府 領議政 에 追贈되었다.

事後 [ 編輯 ]

그가 죽자 영조는 慶尙道 觀察使 였던 동생 김한기를 拔擢하여 好調 參判 으로 삼았고, 그의 異種 四寸 이중호(李重祜)를 咸鏡道 觀察使 로 삼았다.

그의 屍身은 처음에 京畿道 長湍郡 반룡산(盤龍山)에 安葬되었다가, 1774年 5月 19日 아들 金龜柱 에 依해 楊州郡 금촌面 冶動마산리(金村面 治東馬山里, 現, 南楊州市 이패동 山 43) 馬山마을 艮坐(艮坐)에 移葬되었다. 墓碑石과 碑文은 1770年 英祖 가 直接 지어 墓所 右側에 建立하였으며 碑石 上段에 어필(御筆)이라 작은 글씨로 쓰여 있다. 墓表는 英祖의 셋째 庶女 和平翁主 의 男便 박명원 (朴明源)이 지었는데, 박명원 이 쓴 그의 墓表는 京畿道 長湍郡 에 있다.

家族 關係 [ 編輯 ]

高祖父:김홍욱(感謝)

高祖母 동복吳氏 (簿:오억령-吏曹參判,祖父;오세현-領議政,曾祖父:誤極圈-吏曹判書)

曾祖父:김계진(感謝)

  • 祖父 : 김두광(金斗光),
    • 아버지 : 김선경 (金選慶, ? ~ 1760年 9月 19日 )(站의)
      • 동생 : 김한기 (金漢耆, 1724 ~ ?)
      • 동생 : 김한로 (金漢老 [4] , 1746 ~ ?)
      • 否認 : 遠風夫婦인 原州元氏, 原名職의 딸
        • 長男 : 金龜柱 (金龜柱, 1740 ~ 1786)
        • 子婦 : 이춘빈(李春彬)의 딸
          • 孫子 : 김노충(金魯忠)
        • 子婦 : 박사경(朴師經)의 딸, 金龜柱 의 後妻
        • 次男 : 김인주(金麟柱)
        • 子婦 : 洪治績(洪致績)의 딸
        • 長女 : 定順王后 金氏
        • 사위 : 朝鮮 21代 國王 英祖
      • 査頓 : 朝鮮 19代 國王 肅宗

기타 [ 編輯 ]

그의 高祖父 김홍욱의 兄 충민공 김홍익(忠愍公 金弘翼, 1581 ~ 1636)의 4代孫 中에도 김한구와 同名異人인 김한구(金漢龜, 1737 ~ ?)가 있다.

김한구가 登場하는 作品 [ 編輯 ]

映畫 [ 編輯 ]

各州 [ 編輯 ]

  1. [네이버 知識百科] 김한구 [金漢耉] (두산百科)
  2. 이덕일 <丁若鏞과 그의 兄弟들 2>김영사 2004年 p33
  3. 思悼世子의 告白(李德一 | 휴머니스트 | 2004 ) - 55페이지
  4. 讓寧大君의 丈人 광산金氏 增 議政府左議政 김한로는 同名異人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