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신대왕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신대왕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高句麗 신대왕 에서 넘어옴)

신대왕
新大王
第8代 高句麗 國王
在位 165年 ~ 179年
前任 차대왕 (次大王)
後任 고국천왕 (故國川王)
父王 태조왕 (太祖王)
이름
伯固(高伯固), 白狗(伯句)
身上情報
出生日 89年
出生地 未詳
死亡日 179年(90歲)
死亡地 未詳
性別 男性
王朝 高句麗
父親 태조왕 (太祖王)
子女 發起 (拔奇), 男巫 (男武) 發起 (發岐) 연우 (高延優) 計數 (?須)
宗敎 佛敎

신대왕 (新大王, 89年 ~ 179年 )은 高句麗 의 第8代 國王 이다.

高再思 (高句麗國 고추가)의 庶子(庶子)인 그는 태조왕 (太祖王)과 차대왕 (次大王)의 異腹 동생이지만 태조왕과는 터울이 42살까지 나므로 異腹 동생이 아니라 太祖王의 아들 [1] 또는 차대왕의 아들 [2] 이라는 說도 있다. 〈三國史記〉에는 태조왕 의 異腹 동생으로, 陳壽의 三國志에는 太祖王의 庶子로,〈후한서 後漢書〉에는 차대왕 의 아들로 나온다.

신채호 에 依하면 차대왕 , 신대왕, 忍苦(仁固) 3兄弟는 太祖王의 異腹 동생이 아니라 庶子라고 한다. [3] 는 伯固(伯固) 또는 白狗(伯句)이다.

生涯 [ 編輯 ]

차대왕 때에는 暴政을 避해 山골로 숨어 살았다. 165年에 明臨答夫 (明臨?夫)가 차대왕을 弑害하자 左輔(左輔) 어지류(?支留)가 사람을 보내 伯固를 王으로 推戴하였다. 이에 77歲의 나이로 王位에 올랐다.

그의 家計는 記錄마다 서로 相異하며 三國史記 內에서도 서로 다른 대목이 있어, 多少 不確實하다. 三國史記 三國遺事 에는 신대왕은 태조왕 의 異腹 동생이지만 後漢書 에 依하면 신대왕은 차대왕의 아들이라 한다. 또한 三國史記 의 高句麗 本紀에 그의 아들 산상왕 의 이름이 위宮이며 태조왕 의 曾孫子라 하여 家系가 서로 맞지 않는다. 位宮을 그의 아들 산상왕 이 아닌 孫子 동천왕 으로 非情한다 해도 태조왕 과 그의 關係가 兄弟가 아닌 富者로 設定해야 맞게 된다. 신채호 는 신대왕을 태조왕 의 庶子로 보았다.

신대왕은 166年 , 座·右輔(左·右輔)를 廢止하고 국上帝를 導入하여 明臨答夫를 임명하였으며 對赦免令을 내리고 차대왕의 아들 추안(鄒安)을 兩國軍에 封하는 等 政治的 安定을 꾀하였다. 168年 後漢 (後漢)의 현도태수가 侵攻해 들어와 降伏하였으며 169年 에는 現도태수 恭遜도 (公孫度)를 도와 釜山敵(富山賊)을 討伐하였다. [4] 172年 에 한나라가 쳐들어오자 淸野戰術로 對應하였다. 한군이 굶주림에 지쳐 退却하자 신대왕은 明臨答夫를 보내 座元(坐原)에서 韓君을 크게 擊破하였다.

176年 에 王子 男巫(男武)를 王太子로 삼았으며 179年 陰曆 12月에 91歲로 死亡하였다.

家族 關係 [ 編輯 ]

  • 이福 兄 或은 아버지 或은 할아버지 : 太祖大王
  • 이福 兄 或은 아버지 : 차대왕
    • 長男 : 告發機
    • 次男 : 高男巫 (高男武) - 고국천왕
    • 3男 : 告發機 (高發岐) - 동생인 산상왕이 王位 繼承 序列을 無視하고 卽位하자, 恭遜도 에게서 兵力을 빌려 高句麗를 攻擊했다가 自殺하였다.
    • 4男 : 고연우 (高延優) - 산상왕
    • 5男 : 苦係數 (高?須) - 신대왕의 막내아들로, 兄인 고국천왕과 산상왕 時代에 將帥로서 活躍했다.

各州 [ 編輯 ]

  1. 진수, 《 三國志 (三國志)》, 3世紀 / 申采浩는 차대왕, 신대왕, 忍苦가 太祖王의 庶子라고 主張했다.
  2. 범엽, 《 後漢書 (後漢書)》, 5世紀.
  3. 신채호, 《朝鮮上古史》, 鍾路書院, 1948.
  4. 이 時期에는 實際 恭遜度가 搖動에 勢力을 잡기 以前으로, 이 記錄은 誤記로 보고 있다.

같이 보기 [ 編輯 ]

前 代
차대왕
第8代 高句麗 國王
165年 - 179年
後 臺
고국천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