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덴무 天皇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덴무 天皇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텐무 天皇
天武 天皇
第40代 日本 天皇
在位 673年 3月 20日-686年 10月 1日
前任 古墳 天皇
後任 지토 天皇
이름
오오아마 (大海人)
시호 寒風: 텐무 (天武)
畫風: 아메노 누나하라오키노 마히吐노 스메라 美코토 (天渟中原瀛?人天皇)
陵號 히노쿠마노嗷嗷치 陵 (檜?大?陵)
年號 슈初 (朱鳥)
身上情報
出生日 631年
死亡日 686年 10月 1日
王朝 야마토 王朝
父親 兆메이 天皇
母親 사이메이 天皇
配偶者 우노勞使라라노 皇女

덴무 天皇 ( 日本語 : 天武天皇 )은 7世紀 後半의 日本 의 天皇이다. 在位는 덴무 天皇 2年( 673年 ) 2月 27日(陽曆 3月 20日 )에서 슈初 (朱鳥) 元年( 686年 ) 9月 9日( 10月 1日 )까지였다. 《黃通報》(皇統譜) [1] 에 定해진 臺數에는 第40代 天皇이라 指目하고 있다.

兄인 덴지 天皇 이 죽은 뒤, 672年 妊娠의 亂 을 일으켜 조카 오토모 皇子(大友皇子, 古墳 天皇 )를 몰아내고 그 이듬해에 天皇으로 卽位했다. 治世는 14年. 卽位 期間은 13年에 걸친다. 아스카 기요미하라 宮(飛鳥?御原宮)을 지었고 뒤를 이은 지土 天皇의 時代와 아울러 덴무·지土調 等의 單語로 一括되곤 한다. 이 時代는 日本의 統治 機構와 宗敎, 歷史, 文化의 原形이 만들어진 重要한 時代로 評價받고 있으며, 덴무 天皇의 뒤를 이어 卽位한 지土 天皇의 統治도 基本的으로 덴무 天皇의 路線을 이어받아 完成시킨 것으로, 그 發議는 덴무 天皇에게서 많이 나온 것이다. 文化的으로는 하쿠호(白鳳) 文化의 時代이다. 人事面에서는 皇族을 要職에 임명하고 다른 氏族을 下位에 두는 皇親政治를 行했지만, 그 自身도 皇族에게 制約받지 않는 專制君主로서 君臨했다. 야쿠私奴 카바네 (八色之姓)를 制定하여 旣存의 우지(氏)·카바네(姓) 制度를 再編하는 한便, 律令制 導入을 向한 制度 改革을 進行시켰다. 아스카 기요미하라 令(飛鳥?御原令)의 制定과 새로운 首都( 후지와라쿄 ) 築造 및 《 日本書紀 》와 《 古事記 》의 編纂은 덴무 天皇이 始作하여 그 事後에 完成한 事業이다.

道敎에 關心을 두고 신토 (神道)를 整備하여 國家 信徒를 確立, 佛敎를 保護해 國家 佛敎를 推進했다. 그 外 日本 土着의 傳統 文化의 形成에 많은 影響을 끼쳤다. 또한 '天皇(天皇)'을 稱號로 삼고 '日本(日本)'을 國號로 定한 最初의 君主로 알려져 있다.

生涯 [ 編輯 ]

出生 [ 編輯 ]

兆메이 天皇 高校쿠 天皇 의 아들로 태어났다. 後날 덴지 天皇으로 卽位하게 되는 나카노오에 皇子(中大兄皇子)와는 同腹兄弟 사이다. 皇后 우노勞使가라노 히메미코(?野?良皇女)는 後에 지토 天皇 으로 卽位했다.

誕生年度에 對한 疑問 [ 編輯 ]

덴무 天皇의 삶과 業績에 對한 記錄은 《 日本書紀 》 덴武器(天武紀) 밖에 없다. 하지만 이 歷史書는 그의 夫人과 아들이 다스리고 있을 때 덴무 天皇의 아들이 쓴 것이기 때문에 記錄의 正確性에 疑問을 가질 수 있다. 가마쿠라 時代 에 成立된 《一帶療飢》(一代要記)나 《本條황윤소韻록》(本朝皇胤紹運?), 《황년대略記》(皇年代略記)에는 그의 死亡年度가 조금씩 다르게 記載되어 있는데, 이것을 基準으로 그의 誕生年度를 거슬러 計算해보면 스이코 天皇 30年( 622年 )과 31年( 623年 )이 나온다. 이는 《日本書紀》에 그의 兄이라 記載된 덴지 天皇보다도(스이코 天皇 34年) 훨씬 앞서는 것이다. 이에 對해서 日本 사람들은 《一帶療飢》를 筆寫하는 過程에서 56(五十六)을 65(六十五)로 잘못 記載한 것으로 보고, 덴무 天皇의 誕生年도는 이를 基準으로 逆算해서 631年 이라고 여겨왔다.

그런데 敗戰 뒤, 啓導賞 아버지가 兆메이 天皇으로서 덴지 天皇의 男동생으로 되어 있는 것과는 달리 實際로는 덴무 天皇은 덴지 天皇의 異服兄(乃至는 아버지가 다른 兄)이었던 것이 아닐까 主張하는 學說이 登場하게 되었다. [2] 다만 위에서 말한 史料들 안에서, 덴지 天皇을 덴무 天皇보다 年下로 적은 記事는 보이지 않는다. 또한 덴지 天皇의 生年에 對한 史料批判을 且置하고 덴무 天皇의 生年만 計算해서 그만큼을 《日本書紀》에 記錄된 덴지 天皇의 生年과 比較한다, 고 했을 때 逆轉이 생긴다는 것이다. [3] 어쨌든 덴무 天皇의 正確한 生年은 未詳이다.

《日本書紀》 以外의 主要 史料에 記錄된 덴지 天皇과 덴무 天皇의 生年은 다음과 같다.

資料 덴지 天皇 덴무 天皇
《一帶療飢》 스이코 天皇 27年(619年) 스이코 天皇 30年(622年)
《인수경》(仁壽鏡) 스이코 天皇 22年(614年) 不明
《고후쿠사若年대기》(興福寺略年代記) 兆메이 天皇 3年(631) 兆메이 天皇 12年(640)
新皇正統機 》(神皇正統記)
《餘시원年代記》(如是院年代記)
스이코 天皇 22年(614年) 스이코 天皇 22年(614年)
《新皇正統록》(神皇正統?)
《本條황윤소韻록》
스이코 天皇 22年(614年) 스이코 天皇 30年(622年)
《황년대略記》 스이코 天皇 22年(614年) 스이코 天皇 31年(623年)

이름의 由來 [ 編輯 ]

덴무 天皇의 휘는 誤아마(大海人)이다. 어려서 誤亞麻씨(凡海氏) [4] 로부터 養育받은 데에서 연유한 것이다. 《日本書紀》에 直接的으로 그렇게 휘를 적은 것은 아니지만, 덴무 天皇이 죽었을 때 그의 殯所에서 誤亞麻盧 아라카마(凡海?鎌)가 임생(壬生)를 腦韓 것에서 이렇게 推測한다.

日本式 諡號는 아마노누나하라오키노마히토노스메라미코토 ( 日本語 : 天渟中原瀛?人天皇 ). 「오키(瀛)」는 中國 道敎 에서 말하는 東方 三神山의 하나인 瀛州山(瀛洲山), 「마히吐( 日本語 : 眞人 )」란 뛰어난 道士를 뜻하며 모두 道敎的인 單語에서 따온 것이다. 中國風 諡號인 「덴무(天武)」는 歷代 天皇들과 마찬가지로 나라 時代 오우미노 미후네 에 依해 撰進되었다. 近代에 모리 오가이 는 中國의 《 國語 》(國語) 草魚(楚語) 下(下)에 나오는 「天使(天事)는 무(武), 知事(地事)는 文(文), 民事(民事)는 衝(忠) · 新(信)이라」라는 句節에서 「덴무」라는 諡號가 由來한 것이라고 主張했다. 따로 한 武帝 를 模倣했다는 說과 「하늘이 武王 을 세워 나쁜 王( 紂王 )을 滅했다」는 말에서 由來했다는 說도 있다.

사이메이 天皇의 죽음까지 [ 編輯 ]

誤亞麻의 아버지인 兆메이 天皇 은 그가 아직 어렸을 때 죽었다. 兄인 나카노오에가 高校쿠 4年(645年) 6月 12日에 20歲의 나이로 乙社의 變을 일으켜 소가노 離壘카 를 慘殺했을 때, 誤亞麻는 나이가 어려 陰謀에는 加擔하지 않았다. 事件의 結果로 小가씨 本宗家는 沒落하고 退位한 高校쿠 天皇 의 뒤를 이어 고토쿠 天皇 이 卽位했다. 그 뒤 下쿠치 4年(653年)에 고토쿠 天皇이 사이가 틀어진 나카노오에가 나니와 에서 야마토(倭)로 옮길 때 行動을 함께 했었다. [5] 이윽고 고토쿠 天皇이 病으로 죽자, 退位했던 高校쿠 天皇이 復位하여 사이메이 天皇 이 되었다.

烏鴉마는 皇太子가 된 兄 나카노오에의 딸을 次例대로 네 名까지 아내로 맞이했다. 百濟 復興運動을 支援하기 위한 援兵 派兵問題로 어머니 사이메이 天皇과 兄 나카노오에가 지쿠시(筑紫)로 宮을 옮길 때 吳아마도 아내를 데리고 함께 갔다. 그 旅行中인 사이메이 7年(661年) 1月 8日에, 아내 誤打노 히메미코(大田皇女)는 오쿠노優美(大伯海) [6] 에서 딸 誤오쿠노 히메미코(大伯皇女)를 낳았다. 다른 黃自認 誤오쓰 皇子(大津皇子)의 이름도 지쿠시의 나오쓰(娜大津) [7] 에서 태어난 것에서 由來했다고 한다. 또한 王女 累카打(額田)를 아내로 삼아 子息을 두었는데, 累카타노 오키미는 나중에 나카노오에의 王妃가 되었다. 이 三角 關係가 後날 兄弟가 不和하는 原因이 되었다는 說이 있는데 이에 對해서는 贊反 兩論이 있다.

덴지 天皇의 卽位와 皇太弟(皇太弟) 冊封 [ 編輯 ]

사이메이 天皇이 죽은 뒤, 나카노惡에는 卽位式을 行하지 않고 稱帝의 形式으로 統治했다. 덴지 3年( 664年 ) 2月 9日에, 烏鴉마는 나카노오에의 名으로 官位 26階梯를 施行하고, 우지카미(氏上)을 認定하며 民部(民部)와 可否(家部)를 定하는 것을 君臣에게 宣布했다. 덴지 6年( 667年 ) 2月 27日에 艱辛히 사이메이 天皇의 葬禮 儀式이 이루어졌는데, 下視히吐노 히메미코(間人皇女)가 사이메이 天皇과 合葬되었고 誤打노 히메미코가 그 陵 앞에 묻혔다. 모두 五五아마에게는 어머니, 누나(或은 女同生) 그리고 아내에 該當하는 이들이었다.

7年( 668年 ) 1月 7日, 나카노惡에는 비로소 卽位式을 擧行했다. 《日本書紀》 卷28 덴무 天皇 卽位前期에는 이때 吳아마가 東宮이 되었다고 記錄했으나, 같은 冊의 卷27 덴지키(天智紀)에는 이 記錄이 없다. 덴지키 안에서 誤亞麻는 「大皇帝(大皇弟)」, 「東宮太皇帝(東宮太皇弟)」, 「동궁(東宮)」 等으로 記錄된다. 《日本書紀》는 妊娠의 난 以前부터 誤亞麻를 '天皇'으로 적는 等, 그의 地位에 關해서는 信賴할 수 없는 部分이 있다. 때문에 記錄대로 誤아마가 처음부터 皇太子의 地位였다고 보는 學者도 있지만, 「大皇帝」 等의 單語는 妊娠의 亂으로 政權을 簒奪한 덴무 天皇의 行動을 正當化하기 위한 修飾으로 實際로는 그러한 地位가 아니었다는 설, 單純한 尊稱日 뿐 皇位繼承 豫定者를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說 等, 誤亞麻의 皇太子 冊封 事實을 疑心하는 說도 有力하다.

그가 皇位 繼承者로 認定되고 있었는가 어쨌는가의 問題를 떠나, 一旦 덴지 天皇의 調整에서 그가 매우 重要한 役割들을 遂行했던 것만은 분명하다. 하지만 두 사람 사이가 그렇게 좋았던 것 같지도 않다. 후지와라氏 의 집안 傳承人 《賭地 家電(藤氏家傳)》에 보면, 어느 날 宮에서 벌어진 宴會에서 醉氣로 兄王(兄王)에 對한 感情이 激해진 吳아마가 長槍을 가져다 덴지 天皇이 보는 앞에서 裳板(床板)에 꽂았으며, 激怒한 덴지 天皇이 그를 죽이려는 것을 內大臣 (內大臣)이던 후지와라노 가마타리 의 挽留로 無事했다고 傳한다. 이 일은 덴지 天皇 7年( 668年 )의 일로 推測되고 있다.

덴지 10年( 671年 ) 1月 2日, 덴지 天皇은 아들 오토모노 미코 (大友皇子)를 태정대신 (太政大臣)으로 任命하고, 左大臣 (左大臣) · 右大臣 (右大臣)과 御史大夫 (御史大夫)를 補佐로 붙였다(《해동제국기》). 태정대신은 國政을 總覽하는 官職으로서 그 職務는 旣往에 誤아마가 해온 일들과도 겹치는 것이었다. 《日本書紀》는 이 直後에 「東宮太皇帝가 官位 · 法度를 施行시켰다」고 적었지만, 「어떤 冊에 이르기로는(或本云)」 하고 韻을 떼며 오토모가 이것을 했다고 奏하고 있다. 또한 《回風潮》(?風藻)는 오토모가 덴지 10年에 皇太子가 되었다고 적었다. 日本의 大部分의 歷史學者들은 《日本書紀》에 主席으로 달린 「어떤 冊」 쪽을 擇하거나, 이 記事를 덴지 3年( 664年 ) 2月 9日의 官位 26層制의 中出로 보기도 한다. 어쨌든 오토謀議 태정대신 任命과 더불어 誤亞麻는 朝廷으로부터 事實上 完全히 疏外된 것으로 보인다. 오토모가 태정대신으로서 吳亞麻의 職務를 行하게 된 것은 오토모에게 皇位를 잇게 하려는 덴지 天皇의 意圖가 剛하게 表出된 것이라는 데에는 反論이 없다.

妊娠의 亂 [ 編輯 ]

《日本書紀》에 따르면, 덴지 天皇은 病이 깊어진 10年( 671年 ) 10月 17日에 誤亞麻를 病床에 불러 "내 病이 甚하니 뒷일은 너에게 맡기겠다."는 말을 했다고 한다. 미리 側近인 소가노 야스마로 (蘇我安麻呂)의 警告를 받은 烏鴉마는 "皇后(야마토히메노 皇后)에게 卽位하게 하시고 오토모에게 여러 情事를 行하게 하소서. 신은 天皇을 받들어 出家首都하고자 합니다."라며 辭讓했다. 그리고 그 날 烏鴉마는 削髮하고 요시노(吉野, 只今의 日本 나라縣 )로 落鄕했다. 요시노에서 그는 우노勞使가라노 히메미코와 구사카베 皇子 等의 家族, 少數의 死因과 宮女를 거느리고 隱遁生活을 했다고 한다. 한便 오미의 오쓰노미야(大津宮, 오늘날의 日本 오쓰視 )에서는 덴지 天皇의 뒤를 이어 오오토모가 朝廷의 일을 맡아 後戒가 되었다.(다만 卽位했는지 어땠는지에 對해서는 確實하지 않다)

이듬해인 672年 6月 22日, 烏鴉마는 요시노에서 擧兵을 決意하고, 무라쿠니노 誤料理(村國男依) 等을 미노 에 獅子를 派遣했다. 그리고 이틀 뒤 그 自身은 몇 名의 側近만을 거느린 채 뒤를 따랐다. 烏鴉마는 後와(不破)의 길을 封鎖해 오미 調整과 도고쿠(東國) 사이의 連絡을 遮斷한 뒤, 軍士를 일으키는 獅子를 히가시야마(東山, 시나노 等地)와 도카이의 誤와리 等地에 보냈다. 그리고 야마토 盆地에서 오토모老 後케이(大伴吹負)가 擧兵, 아스카의 야마토쿄(倭京)을 急襲해 占領했다. 이윽고 도고쿠에서 數萬의 軍勢가 後와에 集結, 오미와 야마토 두 길로 進軍했다. 오미 方面으로 進軍한 軍勢가 憊臥湖 東쪽을 돌아 세키가하라 를 비롯한 各地에서 조정측 軍士들을 數次例 擊破한 끝에, 7月 23日 오토모는 自決하고 亂은 幕을 내렸다.

治世 [ 編輯 ]

오토모가 죽은 뒤에도 誤亞麻는 한동안 미노에 머무르며 戰後 處理를 모두 끝낸 다음에야 아스카의 緦麻 宮(島宮)을 거쳐 오카모토 宮(岡本宮)에 들어갔다. 여기에 더해 東南쪽으로 조금 떨어진 곳에 새로이 對極戰(大極殿)을 지었다(두 宮을 아울러 아스카 기요미하라 宮이라 이름붙인 것은 晩年의 일). 673年 2月 27日에 卽位式을 擧行한 天皇은 우노勞使라라노 히메미코를 皇后로 삼고 [8] , 在位 期間에 한 名의 代身度 두지 않고 自身이 直接 政務를 살폈다. [9] 또한 天皇은 딸 오쿠노 히메미코(大?皇女)를 사이오 로서 二世 神宮 을 모시게 하고 [10] , 앞서 兆메이 天皇이 지었던 百濟大使(百濟大寺)를 옮겨 다카이치노오데라(高市大寺)로 삼는 等 信徒와 佛敎를 아울러 振興시키는 政策을 펼쳤다. 덴무 天皇의 여러 政策은 아래에 說明하였다.

皇子들이 成長하자 덴무 8年( 679年 ) 5月 5日에 皇后와 덴무 天皇 蘇生 4名, 덴지 天皇 所生의 2名과 함께 요시노노미야로 가서 6日에 그곳에서 天皇과 皇后는 여섯 名을 한 父母를 둔 子息처럼 待遇하고 子息들끼리는 서로 協力한다는, 요시노 盟約을 行했다. 하지만 6名은 平等한 關係를 維持할 수 없었고, 구사카베盧 皇子가 첫 番째, 誤오쓰 皇子가 다음, 가장 年長者였던 다케치 皇子 가 세 番째로 盟誓했으며 이 序列은 덴무 天皇의 治世 내내 維持되었다. 덴지 天皇의 小生은 皇太子 자리에서 밀려났지만 덴무 天皇의 所生인 구사카베는 덴지 天皇의 딸 아베盧 히메미코(阿閉皇女, 後날의 겐메이 天皇 )와 婚姻했고, 오오쓰는 야마베 皇女(山?皇女)와 婚姻했다. 덴지 天皇의 所生인 가와시마 皇子(河島皇子)는 덴무 天皇의 딸인 下쓰세베 皇女(泊?部皇女)와 結婚했다. [11]

天皇과 皇后는 덴무 10年( 681年 ) 2月 25日에 律令을 定할 計劃을 세웠고, 同時에 구사카베盧 皇子를 皇太子로 세웠다. 하지만 12年( 683年 ) 2月 1日부터는 오쓰 皇子에게도 朝廷의 일을 맡게 했다. 誤오쓰 皇子는 여러 가지 才能이 많다는 稱頌이 있었다. 在位 14年만인 덴무 15年( 686年 ) 5月 24日, 덴무 天皇은 病을 얻었다. 佛法의 靈驗을 빌어 快癒를 빌었지만 效果를 보지 못하고, 皇后와 皇太子에게 7月 15日에 政治를 委任했다. 7月 20日에는 새로운 年號가 슈初(朱鳥)로 定해졌다. 그 뒤로도 神佛에 快癒를 비는 것은 이어졌지만 아무런 所用도 없이, 9月 11日에 덴무 天皇은 숨을 거두었다.

葬禮와 陵墓 [ 編輯 ]

덴무 天皇이 죽고 한 달이 지난 10月 2日에 오오쓰노 皇子가 母斑 嫌疑로 붙잡혀 바로 다음날 處刑되었다. 殯所에 모셔진 屍身은 오랫동안 埋葬되지 않고, 皇太子가 百官을 引率해 몇 番이나 儀式을 反復해 지토 2年( 688年 ) 11月 21日에야 오우치 陵(大?陵)에 묻혔다. 지토 3年( 689年 ) 3月 13日에 구사카베 皇太子가 죽었으므로, 皇后 우노勞使라라노 히메미코가 天皇으로 卽位했다(지토 天皇). 陵은 히노키幾微오우치 陵(檜?大?陵, 只今의 日本 나라 縣 다카이치群 아스카무라 誤오치노구치), 노구치 誤우노하키(野口王墓) 古墳. 지토 天皇의 무덤과 함께 造成된 夫婦合掌陵이다. 日本 古代 天皇의 陵으로서는 드물게 그 陵墓 秕政에 疑心의 餘地가 全혀 없다고 여겨지지만, 가마쿠라 時代인 분랴쿠 2年( 1235年 )에 盜掘당해 大部分의 副葬品을 도둑맞았다. 官道 外部 空氣에 露出되었지만 遺骸는 그대로 保全되었는데, 天皇의 頭蓋骨에 그때까지도 흰 머리카락의 痕跡이 남아 붙어 있었다고 한다. 지토 天皇의 遺骨은 化粧되어 銀으로 만든 遺骨函에 담겨져 있었지만, 遺骨函만 盜掘犯이 훔쳐가고 遺骨은 近處에 아무렇게나 내버려졌다. 후지와라노 사다이에 의 日記 《메이게쓰키》(明月記)에 盜掘의 顚末이 실려 있다. 또한 도굴당했을 때 作成된 《亞후노야마僚友키》(阿不幾乃山陵記)에 石室의 모습이 실려 있다.

業績 [ 編輯 ]

統治 開始의 抱負 [ 編輯 ]

《日本書紀》에 따르면 妊娠의 亂이 勝利로 끝난 直後에도 덴무 天皇은 덴지 天皇의 宮이 있던 오미의 오쓰노미야가 아니라 아스카의 옛 首都로 向해 갔다. 덴무 2年(673年) 尹6月에 倭國에 到着한 耽羅 (耽羅)의 使臣 앞에서 天皇은 8月 25日, 「卽位를 祝賀하는 使節은 받겠지만 先王(덴지 天皇)에 對한 弔問 使節은 받지 않겠다」는 條를 내렸다고 한다. 妊娠의 亂으로 「새롭게 天下를 平定하고, 처음으로 卽位」했다고 告함으로써, 덴지 天皇의 後繼者가 아닌 새로운 王統의 創始者로서 自身을 評價하려고 했던 것이다. 事實 生存의 威脅을 느끼고 거의 쫓기다시피 내려간 요시노에서 隱居하다가 몇 안 되는 側近을 거느리고 도고쿠로 向해, 금세 數萬의 君을 일으켜 不過 半年만에 勝利를 얻어 天下를 움켜쥔 덴무 天皇의 立志傳的인 삶은 當時 사람들에게는 强烈한 印象을 주었다.

日本에서 君主가 처음으로 「天皇」을 稱한 것은 덴무 天皇이 最初라는 說이 오늘날에는 가장 有力하다. 一說에는 이 呼稱이 처음에는 덴무 天皇이라는 이 偉大한 君主 單 한 名만을 위해 바쳐진 尊稱이었고, 後代의 天皇들이 그의 强力한 카리스마를 이어받고자 「天皇」을 君主의 稱號로 삼아 只今까지 傳해지게 되었다고 한다. [12]

治世 동안에 單 한 名의 代身度 두지 않고 法官, 病鼎冠 等을 自身의 直屬으로 두어 스스로 政務를 보았던 덴무 天皇은 朝廷의 要職에 皇族을 登用했는데(황친정치) [13] 그렇다고 해서 皇族이 旣存의 貴族 勢力을 제치고 國家를 掌握하게 된 것은 아니었으며(덴무 天皇 自身도 그것을 바라지 않았다) 權力은 어디까지나 天皇 個人에게 集中되어 있었다. 重臣에게 政務를 맡기는 일도 없이, 臣下의 合意나 同意에 依支하는 일도 없이, 天皇 스스로가 君臨하고 統治함으로써 그는 日本 歷史上 보기 드문 最高度의 權力 集中을 이루어냈다. 天皇의 剛한 카리스마는 古代 日本의 歷史에서 天皇 前提의 頂點이 되었다.

하지만 아무리 天皇 中心의 前提政治家 高度化로 이루어졌다 해도, 中國이나 韓國에서 한 것과 같은 草野로부터의 大大的인 人事 拔擢은 一切 이루어지지 않았고, 妊娠의 亂에서 功을 세운 功臣이라 해도 地方 出身者는 如前히 旣存의 貴族層 아래에 놓여진 채로 있었다. 妊娠의 亂이 本質的으로 같은 王室 內部의 王位繼承 다툼의 範疇를 벗어나지 못했던 탓이기도 하지만, 덴무 天皇이 推進한 이 高度의 專制君主化도 結局 貴族制的人 限界를 넘지는 못했다는 指摘이 있다.

管制改革 [ 編輯 ]

卽位하고 얼마 되지 않은 덴무 2年( 673年 ) 5月 1日, 天皇은 처음으로 宮廷에서 일할 사람을 大使인(大舍人)으로 하여, 才能에 따라 職務를 맡기는 制度를 準備했다. 아울러 婦女로서 바라는 사람에게는 모두 宮에 들어와 勤務할 수 있도록 許諾했다. [14] 덴무 5年( 674年 ) 1月 25日에는 基나이 (畿內) · 미치노쿠 (陸奧) · 나가토 (長門) 以外의 고쿠市는 다이산(大山) 以下로만 임명하도록 定했다(이는 棺위相當의 端初가 되었다). 또한 基나이 以外의 다른 拘泥의 오미(臣) · 무라치(連) · 道모노 미야쓰코(伴造) · 舊니노 미야쓰코(國造)의 子孫과 才能이 뛰어난 庶民이 宮에 出勤하는 것을 許諾했다. 7年( 678年 ) 10月 26日에는 每年 管理의 姑洗(考選, 勤務評價制)을 行하여 그에 따라 位階를 올려주는 制度를 定하고, 그 事務를 法官, 法官의 管理는 代辯館(大弁官)이 맡도록 했다. 14年( 685年 )에는 새로운 棺위를 定했다 [15] .

덴무 10年(681年) 2月 25日, 天皇은 律令을 定하고 法式을 고치는 大事業에 着手했다. 이는 官吏들에게 分擔시켜 進行되었지만 天皇이 살아있는 동안에는 完成을 보지 못하고, 지토 3年( 689年 ) 6月 29日에야 영(令)만 發布되었다(아스카 기요미하라 令). 官位 制度는 덴지 天皇이 定한 다이치(大織)에서 쇼켄(小建)까지의 棺위 26階梯를 踏襲했다. 덴무 天皇 當時를 살았던 臣下들이 받은 官位는 미노 王(美濃王)과 다이마노 도요하마(當麻豊浜)가 받은 쇼쟈(小紫)가 記錄上 보이는 가장 높은 것이다 [16] . 이와 竝行해 덴무 4年( 675年 ) 3月 16日에 처음 보이는, 여러 皇族을 對象으로 하여 4,5位 等 數字에 '위'를 붙이는 位階도 만들어졌다. 記錄上 덴무 當時의 皇族들이 받은 慰勞서는 3位에서 5位까지가 보이고 있다 [17] . 덴무 14年(685年) 1月 21日에 새로운 官位 48層制를 定했다. 皇族과 臣下에서는 다른 位階가 마련되어 있었고 皇太子에게도 下賜되었다. 實際로 하사할 수 있었던 가장 높은 位는 구사카베 皇子에게 내려진 세이코이치(淨廣壹)이다 [18] .

덴무 天皇이 確立한 여러 制度는 後代의 多耳壺 律令 이나 要路(養老) 律令과는 微妙하게 다른 部分이 있지만 實質的인 意義나 內容은 같으며, 이는 律令館麟蹄의 骨格을 이루고 있다. 또한 덴무 天皇 當時의 管制는 明確히 알려지지 않고 있지만, 政務를 論議하는 여러 名의 納言(納言)으로 構成된 태정官 (太政官), 그 아래에 民官(民官) ? 法官(法官) ? 病鼎冠(兵政官) ? 大將(大?) ? 移管(理官) ? 刑官(刑官)의 6官과 나머지 다른 官舍가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學者에 따라 덴무條가 가지는 意義를 다르게 評價하기도 하지만, 덴무 政權 아래서 日本 律令體制의 基礎가 定해졌다는, 덴무弔意 意義를 높게 評價하는 이들이 大多數다.

氏族 및 民政 問題 [ 編輯 ]

中央集權國家의 建設을 向한 새로운 政策을 積極的으로 推進했던 天皇은 豪族과 지샤가 土地와 人民을 私的으로 支配하는 것을 一切 否定하고, 여러 豪族을 天皇 中心의 管理 秩序에 짜넣어 國家의 支配를 貫徹하려는 政策을 펼쳤다. [19] 于先 덴무 4年( 675年 ) 2月 15日, 先代 덴지 3年( 664年 )부터 모두에게 認定되었던 部曲과, 皇族 · 臣下 · 社員에게 認定되었던 山澤 · 섬과 浦口 · 林野 · 蓮못을 다시 거둬들인다는 條를 내렸다.

日本에서 가장 오래된 貨幣로 認定받고 있는 不本錢(富本錢)

나아가 現地의 有力者가 私的으로 支配하는 것을 否定하고 官位나 官職, 功績에 따라 個人에게 封號(食封)를 주는 形式으로 轉換했다. 이러한 封號 導入 自體는 덴무 天皇 以前부터의 것이지만, 內膜의 轉換은 段階的으로 進行되었다. 于先 5年(676年) 5月 14日에 西쪽 地方에 있는 封號의 貰를 거두어 도고쿠로 옮기고, 한 사람을 長期間 같은 場所에 封하는 것으로 생겨나는 피烽子와 現地와의 主宗的 關係를 끊으려고 했다. 8年(679年) 8月 2日에 쇼킨(小錦) 以上의 皇族과 臣下에게 一括的으로 食封을 支給함으로써 新制度로의 轉換은 完了되었다. 이를 전후해 8年( 679年 ) 4月 5日, 寺刹의 食封 調査를 命하고 9年(680年) 4月에 그 年限을 30年으로 限定했다. 11年( 682年 ) 3月 28日에 이르러 食封을 없애긴 하지만, 實際로는 그 뒤로도 封號가 繼續 이루어졌다. 뭔가 制度 改正(아마 食封의 管理에의 關與를 禁止하는 措置)李 이루어진 것은 아닐까 여겨진다. 天皇의 意圖는 貴賤의 差異를 自身이 定한 秩序대로 定하려 한 것이었고, 寒微한 氏族의 街바네 (姓)을 승진시켜 優待하는 措置를 取하며 덴무 13年( 684年 ) 10月 1日, 古代의 街바네 制度를 定해 全面的으로 再編成했다. 이것이 야쿠私奴 街바네 (八色之姓)이다. 皇族에 準하는 가바네를 마히吐(眞人), 旣存의 오미(臣)를 아손(朝臣), 무라치(連)는 스쿠네(宿?) 等으로 삼고, 여기에 妊娠의 亂에서 세운 功績도 加味하여 카바네를 定했다. [20]

日本 最初의 貨幣로 여겨지는 不本錢(富本錢)李 鑄造된 것도 덴무 天皇의 時代다. [21] 다만 不本錢은 呪術用日 뿐 實際 市場에서 去來된 貨幣는 아니었다는 설, 不本錢보다 앞서 無紋銀錢(無紋銀錢)李 通用되고 있었다는 說도 있다. [22]

肅淸 그리고 威脅 [ 編輯 ]

덴무 天皇은 高位 皇族 臣下에게 流配 以下의 處分을 많이 내렸다. 이는 덴무 4年( 675年 ) 4月 8日에 조참(朝參)李 禁止된 다이마노 히로마로(當摩廣麻呂)와 舊누노 마로(久努麻呂)를 始作으로, 4月 23日에 이나바 에 유배당한 3位 皇族 오미 王(麻?王) 같은 高官에까지 이르렀다. [23] 11月 3日에는 宮의 東쪽의 山에 올라가 '妖妄한 말'을 지껄이고 自殺한 사람이 나왔다. [24] 5年( 676年 ) 9月 12日에는 지쿠시다자이(筑紫大宰)였던 皇族 野街키 王(屋垣王)李 道士(土左) 에 流配되고, 6年( 677年 ) 4月 11日에는 區利他노 나쿠라(?田名倉)가 이즈誤섬 (伊豆島)에 유배당했다. [25]

威脅的인 兆도 여러 次例 내렸다. 4年(675年) 2月 19日, 天皇은 君臣·白醪와 天下의 人民을 向해 "모든 惡을 하지 말라!"는 條를 내리고 있다. 6年( 677年 ) 6月에는 야마道노아야(東漢) 집안이 政治 謀議에 參加했던 過去를 數十 年前의 日까지 끄집어내 꾸짖으면서, "큰 恩惠를 내려 容恕하겠지만 앞으로는 容恕하지 않는다"는, 야마道노아야 집안으로서는 威脅的인 言辭를 던지고 있다. 8年( 679年 ) 10月 2日에는 "王卿(王卿) 等이 태만하여 惡人을 看過하고 있다!"며 警告하기도 했다.

이러한 處罰은 韓國이나 中國의 專制君主와도 別般 다를 것이 없었다. 天皇이 이러한 肅淸이나 威脅的인 條를 내리는 時期는 主로 덴무 4年(675年)부터 6年(677年)에 몰려있는데, 그 무렵 天皇은 部曲과 山澤을 豪族으로부터 거두어들여 國家公靈化하는 條를 내리고 한창 食封 改革을 進行시키고 있었다. 天皇의 政策으로 被害를 보게 된 旣存 旣得權層의 反撥을 사서 處罰이라는 方法으로 누를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또한 妊娠의 亂의 戰後 處理를 봐도, 高官에게 死刑을 宣告한 것은 없다. 處罰만큼이나 恩師도 자주 내려서 8年( 679年 ) 12月 2日의 은사에 依해 그때까지 流配된 사람도 赦免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外交 [ 編輯 ]

덴무 天皇이 妊娠의 亂을 일으킨 것은, 熊津都督府 (熊津都督府) 將軍의 資格으로 왜에 派遣되었던 黨의 獅子 곽무종(郭務悰)李 5月 30日에 歸國하고 나서 約 한 달이 지난 6月 22日의 일이었다. 백강구 戰鬪 敗戰 뒤, 韓半島에서는 新羅가 黨을 몰아내기 위한 戰鬪를 벌이는 한便으로 日本과의 通交가 이루어져 外交的인 與件은 若干 好轉되고 있었다. 記錄된 것만 보면 덴무 天皇은 新羅와 여러 次例 使臣을 주고받은 反面 黨과는 別로 使臣을 주고받지 않았다. [26] 新羅뿐 아니라 耽羅에서도 使節이 왔는데, 11年(682年) 7月 25日에는 난세이 制度의 다네(多?, 只今의 多네가섬 ), 야쿠(掖玖), 아마네(阿麻?)의 섬 사람들에게 綠이 내려졌다. 도호쿠에서는 11年(682年) 4月 22日에 考試(越)의 에미視 (蝦夷)의 땅 이코키나(伊高岐那)에 高오리(評)를 두었다.

普通 親백제的 性向의 兄인 덴지 天皇과는 달리 親新羅的 性向을 가졌던 것으로 評價받는 덴무 天皇이긴 하지만 그렇다고 新羅系 渡來人을 優待하지도, 百濟系 渡來人을 푸待接하지도 않았다. 덴무 2年(673年) 尹6月 6日에 舍宅疏明(沙宅昭明), 3年(674年) 1月 10日에 구다라勞苦니키詩 사이쇼(百濟王昌成)에게 棺위를 追贈했으며, 14年(685年) 10月 4日에는 옛 백제의 僧侶 賞휘(常輝)에 對한 封號 30號 支給 等 백제인에 對한 많은 惠澤을 주고 있다. 그리고 韓半島로부터 歸化한 渡來人에게는 自身의 元年(674)부터 10年(681)까지 課稅를 免除하고, 10年이 지난 8月 10日에는 入國할 때에는 아이였던 者들에게도 免除해주었다.

軍事 [ 編輯 ]

덴무 4年(675年) 10月 20日, 여러 오키美(王) 以下 初位(初位) 以上의 官印의 武裝이 義務化되었다. 5年( 676年 ) 9月 10日에는 實際로 武器를 檢査했다. 8年( 679年 ) 8月에 的見驛(迹見驛)의 집에서 王卿(王卿)들의 말을 달리게 하고, 11月에는 닷打(?田) 産科 오사카(大坂) 山에 棺을 두고, 나니와에는 外壁을 쌓아 올리게 했다. 9年( 677年 ) 9月 9日에는 나가라(長柄) 神社에서 대산位 以下 官人들의 말을 調査한 뒤 記事(騎射)를 해보이게 시켰다. 그 後 12年( 683年 ) 11月 4日에 여러 쿠니에 進法을 가르치도록 命했으며, 13年( 684年 ) 윤 4月 5日에는 "政治의 要點은 軍事이다"라 宣布하고, 文武 官印과 여러 사람에게 傭兵과 乘馬를 배우되 再次 武裝이 不足한 사람은 處罰한다는 條를 내렸다. 그리고 이듬해 14年( 685年 ) 8月 11日, 實際로 쿄와 基나이 地域의 人夫들의 武器를 檢査하고 있다. 11月 4日에는 軍隊에서 쓰는 指揮用 道具와 大型 武器를 高오리의 役所에 納入하게 했다.

律令制下에서 國軍 主力의 位置에 있던 軍團은 이 時代에는 아직 設置되어 있지 않았다. 덴무 天皇은 官印과 基나이의 武裝 强化를 特別政策으로 삼았지만, 이러한 管理 武裝 政策은 덴무·지土調 以後로는 보이지 않는다. 官印의 武裝化는 軍團 創設 以前의 事情에 對應한 것으로 指揮用 道具를 高오리에 거두게 한 것 等 當時의 全國的인 兵制에 對해서는 學說이 나뉘고 있다. 高오리의 地方官이 引率하는 兵士들이 있었다는 說이나 後代의 軍團과 거의 같은 것이 成立해 있었다는 說, 傳統的으로 구니노미야쓰코가 支配해오던 現地 人民을 모아 編成한 구니노미야쓰코군이 그대로 維持되었다고 보는 說이 있다.

새로운 宮闕과 首都 [ 編輯 ]

妊娠의 亂이 끝난 뒤에도 덴무 天皇은 한동안 미노에 머물렀다. 9月이 되어 天皇은 오카모토 宮(아스카 오카모토 宮)에 들어갔고 이 해에 새롭게 宮室을 지어 거기로 옮겨 살았다. [27] 이때 덴무 天皇이 새로 지은 宮은 그가 죽기 두 달 前인 슈初 元年(685年) 7月 20日에 아스카 기요미하라 宮으로 命名되었다. 現在 日本의 考古學 發掘調査 結果 아스카 宮(아스카 利他부키 宮) III-B機에 該當하는 建物 遺跡軍이 이곳으로 여겨지고 있다. 사이메이 天皇 때의 아스카 오카모토 宮을 그대로 使用하면서 에비노코곽(郭)을 追加한 것이 主要簿를 이루고 있다는 것이 考古學의 說明이다. 에비노코곽에는 큰 建物터가 하나 있고 當時에는 이곳이 對極前으로 쓰였다. [28]

아스카氣요미하라노미야 周邊에는 미야코(京)로도 불리는 都市的인 擴大가 있었지만, 後代의 후지와라쿄 (藤原京)나 헤이조쿄 (平城京), 헤이안쿄 (平安京)와 같은 東西南北으로 區劃된 바둑판같은 길이 整然하게 直交하고 있는 形態의 都市計劃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宮闕의 北北東에는 아스카노이케 遺跡이라 불리는 國家工房이 있었고 弓과 官廳에서 쓰는 여러 가지 物件, 그리고 不本錢 等의 貨幣도 이곳에서 鑄造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이 宮에 滿足하지 않고 덴무 天皇은 國家의 '大變革'에 걸맞은 새로운 宮闕, 永遠히 이어질 首都를 建設할 抱負를 세우고서 걸맞은 땅을 찾았다. 그렇게 찾아낸 것이 神聖(新城), 後날 후지와라쿄라 불리게 될 새로운 首都의 工事가 덴무 5年( 676年 ) 始作되었다. 《만요슈》에 이 工事를 읊은 노래가 두 數 실려 있는데, 땅을 平平하게 고르고 道路마다 도랑을 파고, 이 때까지 防衛로 規制되어 있지 않던 旣存의 道路와 建物들을 撤去하고 南北으로 뻗은 大路를 主軸으로 하는 바둑板 模樣의 首都를 造營했지만, 遷都는 하지 못했다.

덴무 11年( 682年 ) 3月 1日, 天皇은 美盧盧 오오키미 等에게 明解 地形을 踏査하게 하고, 16日에는 그 自身도 直接 이곳을 찾았다. 이듬해 12年( 683年 ) 7月 18日에 미야코를 세울 땅을 둘러본 뒤, 13年( 684年 ) 3月 9日에 宮室을 지을 敷地를 定했다.(수정된 都市計劃으로 工事가 再開된 것도 그 때였다) 이 새로운 首都의 建設은 天皇의 죽음으로 中斷되었지만, 天皇의 陵은 새로운 首都의 中心軸이 되는 線을 南쪽으로 延長한 바로 앞에 쓰였다. 덴무 天皇은 事後 卽位한 지土 天皇에 依해 새로운 首都의 建設은 다시 再開되어 마침내 完成되었고, 이곳은 日本 最初의 本格的인 '都城'으로 評價받고 있다. 또한 天皇은 모름지기 首都란 2,3個는 더 必要하다고 생각했고(부도제) 새로운 首都의 建設計劃이 한창 進行되던 12年(683年) 12月 17日에 나니와쿄(難波京)를 副首都로 設置했는데, 이곳의 建物은 선대 고토쿠 天皇이 지은 나니와노미야(難波宮)을 그대로 이어받은 것이었다. 이듬해 2月 28日에는 시나노에도 副首都를 만들 敷地를 살펴보기 위한 目的으로 推測되는 使臣을 또 派遣했지만, 이것은 一旦 實行에는 옮겨지지 않았다.

文化 [ 編輯 ]

덴무 天皇은 日本 古代의 傳統的인 文藝·全勝을 發掘하는 데에 힘을 쏟았다. 外來의 것이 排斥된 것은 아니지만, 덴무 以前과 以後의 여러 天皇들과 比較해볼 때, 日本 土着 文化의 發掘과 整頓을 向한 그의 努力은 顯著하다. [29] 야마토(倭)라는 國號를 '日本'으로 定하고, 君主의 呼稱을 '天皇'으로 稱한 것은 덴무 天皇이 最初라는 것이 有力하다. [30]

또한 덴무 天皇은 그 前까지 民間에서 傳해지던 習俗을 積極的으로 包容해 그것을 國家 單位의 祭祀로 소급시키는 데에 成功한다. 오늘날 大部分의 歷史學者들은, 後述할 信徒의 祭祀를 包含해 後代에까지 傳統으로 傳해진 主要 宮廷 意識의 大部分은 덴무 天皇에 依해 創始(或은 集大成)되었다고 推定하고 있다. 高細緻老마이(五節舞) [31] 는 그 確實한 例로 꼽히며, 니이나메노마쓰리(新嘗祭) [32] 를 國家祭祀로 昇格시켜 다이죠사이(大嘗祭) [33] 를 마련한 것도 덴무 天皇이었다. 藝術的으로도, 덴무 4年( 675年 ) 2月 9日에는 基나이와 그 周邊 地域에서 노래에 뛰어난 男女·난쟁이·基因들을 宮廷에 모으도록 命하고, 4月 23日에 그들에게 祿을 주었다. 6年( 677年 )에 처음으로 詩賦(詩賦)를 지었다. [34] 14年( 685年 ) 9月 15日에는 뛰어난 노래와 피리 演奏를 子孫에게 傳하도록 命했고 이듬해 15年( 686年 ) 1月 18日에는 俳優와 가인(歌人)들에게 褒賞을 내렸다는 記錄이 남아 있다.

政治的으로는 덴무 10年(681年) 3月 17日에 皇太子와 여러 臣下들에게 歷史冊을 編纂하도록 命했다. 後날 完成되는 《日本書紀》 編纂 事業의 嚆矢로 여겨지고 있다. 또한 히다노 아레(稗田阿?)로 하여금 歷代 天皇의 系譜와 先代로부터 傳해지는 驅使(舊辭) 等의 記錄을 暗誦하도록 命했는데, 이것이 오노노 야스마로에 依해 成文化된 것이 바로 《古事記》이다. 모두 天皇 死後에야 完成되었으며, 오늘날 現存하는 日本 最高의 司書로 꼽힌다. [35] 한便 天文에도 造詣가 깊었던 덴무 天皇은 在位 4年( 675年 ) 1月 5日에 日本 最初의 天文觀測氣球人 粘性臺(占星臺)를 세우게 하기도 했다.

덴무 4年 4月 17日(西紀 675年 5月 19日), 天皇은 '肉食禁止令'을 내렸는데, 그것은 4月 1日(5月 3日)부터 9月 30日(10月 27日) 동안 어린 물고기를 잡거나 먹지 말고 保護할 것과 다섯 種類의 家畜(소·말·개·원숭이·닭)의 고기를 먹는 것을 禁止하는 것이었다. 律令國家를 目標로 한 政策의 一環으로 덴무 11年( 681年 )에는 旣存의 日本 固有의 머리 模樣이었던 雙상투를 바꾸도록 命하고 있다. [36] 以後 日本人들의 머리 模樣은 冠을 쓰기에 적합한 形態로 바뀌게 되었다. 또한 덴무 12年( 682年 )에는 位階를 나타내기 위해 冠帽의 色깔을 區別하던 것을 바꾸어, 冠帽가 아닌 朝服의 色깔로 區別하도록 變更했다.

宗敎 政策 [ 編輯 ]

信徒(神道) [ 編輯 ]

日本의 傳統的인 土俗神에 對한 祭祀를 重視했던 덴무 天皇은 地方에서 行해지던 祭祀의 一部를 國家 單位의 祭祀로 昇格시켰다. [37]

二世 진구. 內宮(內宮)

덴무 天皇이 特別히 重視한 것은 二世 神宮이었다. 일찍이 妊娠의 亂 때, 軍士를 거느리고 二世 를 찾았던 그는 세키타가와(迹太川) 附近에서 아마테라스 오오미카미가 있는 方向을 向해 절을 올렸는데, 이는 具體的으로는 二世 神宮에서 모시고 있는 神이기도 한 아마테라스에게 全勝을 祈願한 것으로 보인다. 그렇게 亂을 勝利로 이끈 뒤, 天皇은 딸인 誤오쿠노 히메미코를 二世 진구에 보내어 사이오(齋王)로서 二世 진구를 섬기게 했다. 덴무 4年( 675年 ) 2月 13日에는 딸 度오치노 히메미코(十市皇女)와 조카(덴지 天皇의 딸) 아베盧 히메미코(阿閉皇女, 後날의 겐메이 天皇 )가 二世 神宮에 參拜했다. 二世 진구의 모든 神殿을 20年에 한 番씩 다시 짓는다는 詩키넨센구(式年遷宮)의 制度를 처음 發案한 것도 덴무 天皇이다. [38] 二世 神宮을 이스즈 江(五十鈴川)街의 現 位置에 세운 것도 덴무 天皇으로, 그 以前에는 미야가와(宮川) 上流의 多키하라 宮(?原宮)에 元來의 二世 神宮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 아마테라스 誤미카미 '라는 神格을 처음으로 創造한 것은 다름 아닌 덴무 天皇이었다는 說도 있다. [39] 사이吳라는 것도 《고지키》나 《日本書紀》에 따르면 유랴쿠 天皇 때부터 始作해 스이코 天皇 때까지 있었다고 하나, 實際로는 덴무 天皇의 딸인 誤오쿠노 히메미코가 最初의 사이吳라는 說이 있다(고대사학자 兼 軍馬 大學 名譽敎授 모리타 테이森田悌의 설).

그 밖에, 덴무 3年(674年) 8月 3日에는 이消奴카미 神宮 (石上神宮)에 오사카베盧 미코(忍壁皇子)를 보내어 그곳에서 所藏하던 信保(神寶)를 다듬게 했다. 이듬해 1月 23日에 여러 晉쟈에 祭祀드린것을 두고 기넨노사이(祈年祭) [40] 의 始初로 보기도 한다. 4月 10日에는 닷打(?田)의 風神(風神)을 모시기 위해서 미노 王 等을 派遣하고, 히로세(廣?)의 大氣神을 모시기 위해 下視히吐노 오오카이(間人大蓋) 等을 獅子로 派遣했다. [41]

佛敎 [ 編輯 ]

이미 卽位 前에 요시노로 落鄕하기에 앞서, 僧侶로서 出嫁했던 經歷이 있었던 天皇은 在位 2年( 673年 ) 3月에 가와라데라(川原寺)에서 《 一切經 》(一切經)을 筆寫하게 하는 大規模 死境作業을 行했다. 5年( 676年 )에는 全國에 獅子를 派遣해 《金光明經》(金光明經)과 《仁王經》(仁王經)을 說法하게 했으며, 8年( 679年 )에는 宮中 및 야마토쿄(倭京)의 24個 節에서 《金光明經》을 說法하게 했다. [42]

야쿠시지(藥師寺). 元來는 후지와라쿄에 있었으나 와도 (和銅) 3年( 710年 )에 헤이조쿄로 옮겨졌다.

社員 建立에 있어서는 《一切經》寫經을 命했던 덴무 2年(673年) 12月 17日에 美盧盧 五五키미와 기노 街타마로(紀訶多麻呂)를 祖考時代史社(造高市大寺司)에 임명하고, 先代 兆메이 天皇이 지었던 百濟大使(百濟大寺)를 다케치(高市)로 옮겨 다카이치노오테라(高市大寺)로 삼았다. 9年(680年) 11月 12日에 皇后의 甁에 臨해 야쿠시지 (藥師寺) 建立을 祈願하기도 했으며, 그 自身의 病에 즈음해서도 여러 가지로 佛敎에 依支하는 等의 方式으로 快癒를 바랐다.

덴무 14年(685年) 3月 27日, 天皇은 집집마다 佛寺(佛舍)를 짓고 禮拜·供養하라는 條를 내렸다.(여기서의 '집'李 어느 程度의 人員數의 單位인가는 不明하지만, 佛敎를 널리 布敎하기 위한 目的이었다.) 이 무렵까지 基나이를 除外하고 다른 地方에 佛敎 寺刹의 數는 적었지만, 덴무·지土兆에 이르러 全國에 우지데라(氏寺) [43] 이 活潑히 築造되었다. 遺跡에서 發掘된 기와를 통해, 中央에 位置한 少數의 寺刹마다 地域을 分擔해 建設을 指導하는 等 政策的인 支持가 이루어졌음을 想定할 수 있다(불교사학자 다무라 엔츄田村圓澄설).

그러나 이러한 天皇의 佛敎 保護는 僧尼들에게 査察에 틀어박혀 天皇이나 國家를 위한 祈禱에 專念할 것을 要求하는 것으로, 佛敎를 國家에 종속시키기 爲한 것이기도 했다. 國家信徒가 너무 勢力이 强盛해지는 것도 願하지 않았던, 國家信徒를 牽制하기 위한 天皇의 '國家佛敎'인 셈이다. 덴무 4年에 여러 寺刹에 내려졌던 山林과 天澤을 거두어들이고 8年에는 食封을 내리는 等 査察의 收入을 國家가 管理하기도 했다. 中央統制機關으로는 스이코 天皇 때에 設置되었다가 廢止되었던 僧正·僧徒 등을 부활시켜 勝强制를 整備했다. [44] 天皇의 佛敎 理解나 그 對하는 姿勢도 來世보다는 現世에서의 利益을 追求한 皮相的인 것이었다는 指摘이 있다. 代表的인 例로 天皇이 首都와 各 地方의 査察에서 說法하게 한 것은 《金光明經》이나 《仁王經》같은 護國佛敎的 思想에서 重視하는 經典으로, 個人의 救濟나 佛敎的인 깨달음을 얻는 것에는 별다른 關心을 가진 痕跡이 없다. 덴무 天皇 個人의 立場에서 佛敎에 要求한 것은 皇后와 自身의 病 治癒였지 佛敎의 自我不正이나 利他 思想을 實現하고자 한 것은 아니었던 것이다.

道敎 [ 編輯 ]

덴무 天皇의 宗敎觀에서 가장 두드러져 보이는 것은 道敎的인 要素이다. 天皇이 制定하게 한 야쿠私奴 가바네의 最上位는 마히吐(眞人)이며, 天皇 自身의 日本式 諡號는 '아마노누나하라오키노마히토(天渟中原瀛眞人)'에서 '오키(瀛)'는 道敎에서 東海 바다 위에 있다는 三神山의 하나이며 마히吐는 先人의 上位 階級에 屬한다. 日本式 諡號를 놓고 볼 때 天皇의 諡號는 '하늘의 한가운데, 瀛州山에 살고 있는 眞人(眞人)'으로서 道敎의 最高委 神이라는 풀이가 可能하다. 《日本書紀》에서 덴무 天皇 스스로 造詣가 깊었다고 傳하는 天文遁甲은 道敎的인 機能이다. 또한 덴무 天皇의 무덤에 使用된 八角分(八角墳)은 東西南北의 四方에 北東·北西·南東·南西를 더한 八方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것도 道敎的인 防衛館에서 나온 것이라는 解釋이 있다. [45]

人物像 [ 編輯 ]

덴무 天皇은 宗敎나 超自然的인 힘에 關心이 많고 神佛에 對한 믿음도 두터웠다. 《古事記》에는 덴무 天皇이 꿈 속에서 들은 노래의 內容을 풀이하여 한밤中의 물에 던져, 自身이 皇位에 오를 것을 알았다고 적고 있다. 《日本書紀》에는 天文遁甲에 뛰어났다는 記錄을 남기고 있으며, 妊娠의 亂에서는 스스로 點을 쳐서 將次 天下가 兩分될 徵兆를 豫測했다거나 여러 神들에게 祈禱하여 腦性暴雨를 그치게 하는 等의 活躍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모두 道敎的인 機能이다. 卽位 뒤에도 宗敎나 意識에 對한 關心은 잦아들지 않았으며, 運勢의 活用이나 神佛에 對한 起源을 통해 目的을 達成하려는 모습이 많이 登場한다. 그의 이러한 豫言者的 能力은 後世에 天皇이 사람들 사이에 神이나 다름없는 카리스마性을 몸에 지니게 하는 結果를 낳았다.

덴무 天皇이 읊은 와카는 후지와라 婦人과 주고 받은 것으로 보이는 것과 요시노의 '요시'를 反復하는 노래, 그리고 요시노의 외로운 길을 노래하는 어두운 雰圍氣의 노래 等이 傳해지고 있으며, 漢詩를 읊었다는 史料는 없다. [46] 天皇의 趣味는 수수께끼 내기와 같은 庶民的인 모습이 많았는데, 덴무 14年( 674年 ) 9月 18日에 皇宮 代案戰에서 바쿠치(博?) 大會를 열기도 하는 等의 유협的인 모습도 지녔다. 위에서 든 各種 藝能者에게 對한 後代도 天皇의 記號와 無關하지 않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를 통해 天皇이 民心을 살피는 데에 뛰어났다고 評價하기도 한다. 분랴쿠 2年( 1235年 )에 덴무·지토 合掌陵이 도굴당했을 때의 調査記錄人 《亞후노야마僚友키》(阿不之山陵記)에는 生前 덴무 天皇의 體格을 엿볼 수 있는 記錄이 남아있는데, 盜掘視 外部에 露出된 덴무 天皇의 遺骨은 머리가 普通 사람보다 조금 크고 검붉은 色을 하고 있었으며, 정강이뼈는 한 자 여섯 치(48 cm), 팔꿈치 길이가 한 자 네 치(42 cm)였다는 것이다. 이것으로 推定한 天皇의 키는 175 cm 程度로 當時로서는 꽤 큰 便이었다고 보인다. 當時의 舊敎였던 후지와라노 社다이에의 日記인 《메이게쓰키》에는 무덤의 遺骨에 뼈와 흰 머리카락까지 그대로 남아있었다고 하는데, 그때는 덴무 天皇의 死亡에서 大略 7百年 程度가 지난 뒤였다.

家族 關係 [ 編輯 ]

  • 아버지 : 日本 第34代 죠메이 天皇 (舒明天皇, 593~641)
  • 어머니 : 日本 高校쿠 天皇 다카라老皇女(皇極天皇 ?皇女, 594~661)
    • 皇后 : 日本 第41代 지토 天皇 우노勞使라라노 皇女(持統天皇 ?野?良皇女, 645~703)
      • 次男 : 吳카노美야교右天皇 구사카베盧皇子(岡宮御宇天皇 草壁皇子, 662~689)
    • 비 : 誤打老皇女(大田皇女, ?~667) - 皇后 지토 天皇 (皇極天皇)의 동모 언니
      • 次女 : 오쿠노皇女(大?皇女, 661~701)
      • 3男 : 오쓰노황子(大津皇子, 663~686)
    • 비 : 오에老皇女(大江皇女, ?~699)
      • 7男 : 나가노皇子(長皇子, ?~715)
      • 9男 : 禹게노皇子(弓削皇子, ?~699)
    • 비 : 니이打베老皇女(新田部皇女, ?~699)
    • 否認 : 히카미노이라츠메(氷上娘, ?~682)
      • 딸 : 다지마노皇女(但馬皇女, ?~708)
    • 否認 : 이오에노이라쓰메(五百重娘) - 후지와라 氏(藤原氏)의 始祖인 후지와라노 카마타리 (藤原鎌足, 614~669)의 딸
      • 10男 : 니이打베老親王(新田部親王, ?~735)
    • 否認 : 五胡누노이라쓰메(大?娘, ?~724) - 소가노 아카에 (蘇我赤兄, 623~?)의 딸
      • 5男 : 호즈美親王(?積親王, ?~715)
      • 딸 : 기노황女(紀皇女)
      • 딸 : 다카타老皇女(田形皇女, 674~728)
    • 采女 : 累카打노왕(額田王) - 카가미노왕(鏡王)의 딸
      • 長女 : 度오치노皇女(十市皇女, 653?~678) - 古墳 天皇 (弘文天皇, 648~673)의 皇后
    • 빈 : 아마코노이라츠메(尼子娘) - 무나카타노 도쿠젠(胸形?善)의 딸
      • 長男 : 다케치노황子(高市皇子, 654?~696)
    • 宮人 : 가지히메노이라츠메(カヂ媛娘) - ?人大麻呂의 딸
      • 4男 : 오사카베盧皇子(忍壁皇子, ?~705)
      • 아들 : 시키老皇子(磯城皇子)
      • 딸 : 하츠세베老皇女(泊?部皇女, ?~741)
      • 딸 : 多키노皇女(託基皇女, ?~751)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日本의 天皇 및 皇族의 身分에 關한 事項을 記載하는 帳簿. 製作 形式은 日本의 皇室典範 및 黃通報令으로 定해져 있다. 天皇과 皇后, 皇太后에 關한 事項을 取扱하는 臺通報(大統譜)와 나머지 皇族에 關한 事項을 다루는 皇族譜(皇族譜)의 두 種이 있으며, 이것으로 皇室의 身分 關係(家族關係) 및 皇統을 公證한다.
  2. 덴지 天皇과 덴무 天皇은 實際 兄弟가 아니라는 비형除雪이나, 生母인 高校쿠 天皇이 兆메이 天皇과 婚姻하기 前에 婚姻했었던 다카무코 王(高向王)과의 사이에서 얻은 아야노 미코(漢皇子)와 덴무 天皇이 서로 同一 人物은 아닐까 하는 이부형설이 有名하다.
  3. 덴지 天皇에 對해서도 生年과 몰年에 對해서는 여러 說들이 存在하고 있다. 仔細한 것은 덴지 天皇 參照.
  4. 가이후 一族의 度모노 미야쓰코
  5. 《日本書紀》下쿠치 4年朝. 以下 事實도 基本的으로 《日本書紀》를 따라 記錄한다.
  6. 只今의 日本 오카야마현 東部에 該當하는 곳이다.
  7. 只今의 日本 후쿠오카시 이다.
  8. 皇后는 이미 妊娠의 亂 때부터 政治에 對한 여러 가지 事項을 그에게 助言했다
  9. 朝廷의 要職은 主로 皇族들이 맡았는데, 이것을 皇親政治라고 한다.
  10. 二世 神宮에 對해서는 妊娠의 亂을 勝利로 이끌게 도와주었다는 믿음을 갖고 있었던 것 같다.
  11. 덴무 天皇의 皇后도 덴지 天皇의 딸이었기에, 덴지 · 덴무 養鷄는 重疊的인 近親婚關係로 서로 엮인 셈이다.
  12. 그 根據로 《日本書紀》 지土器(持統紀)에, 그냥 「天皇」이라고 表記한 境遇 지토 天皇이 아닌 덴무 天皇을 가리키는 境遇가 있다는 것을 들 수 있다.
  13. 皇族은 官位 26階梯와는 別途로 皇族에게만 마련된 5位까지의 棺위를 지녔다.
  14. 《海東諸國記》에 따르면 처음으로 貸納言 (大納言) · 重納言 (中納言)을 둔 것은 이 해의 일이다.
  15. 이렇게 整頓된 官制도 胎生에 依한 差別을 否定하지는 않았다. 덴무 11年( 682年 ) 8月 22日에 天皇은 勤務評價에 있어서는 該當 人物의 族性을 제1기준으로 하도록 命하고 있다. 胎生의 귀천도 官僚制 안에 包含되었다.
  16. 死後에 追贈되는 官位는 이보다 높은 것으로도 下士되곤 했다.
  17. 皇子에게는 위가 내려지지 않았다.
  18. 메이(明)·세이(淨)·쇼(正)·지키(直) 等은 修飾語다. 모두 信徒에서 尊敬하는 價値로서 天皇 自身의 道德 및 宗敎觀을 反映한 것으로 보인다.
  19. 豪族의 私的인 支配를 否定한 것은 앞서 말한 것과 같이 天皇을 頂點으로 하는 國家支配體制의 樹立을 目的으로 한 것으로, 胎生의 貴賤에 依한 差別을 否定하거나 平等한 能力主義에 따른 官僚制를 志向한 것은 아니었다. 덴무 7年( 678年 ) 1月 7日에는 身分이 낮은 어머니를 두는 것을 禁止한다는 奇妙한 條를 내리고 있다.
  20. 덴무 天皇의 氏族 政策에 對해서는 妊娠의 亂의 덴무 天皇 支持 勢力과 關聯해 그 意圖가 여러가지로 主唱되었다. 하나는 中小 豪族을 糾合하여 旣存의 對豪族을 抑壓했다는 설이고, 다른 하나는 基나이 豪族을 優待하기 爲한 것이었다고 하는 說이다. 하지만 딱히 특정한 階層을 選別해 優待했다고는 볼 수 없다는 說도 있다.
  21. 《海東諸國記》에는 덴무 12年인 癸未年( 683年 )에 처음으로 수레 를 만들고, 銀錢(銀錢) 使用을 정지시키는 代身 銅錢(銅錢)을 使用하게 하였다고 했다.
  22. 日本의 貨幣經濟가 韓半島보다 앞섰던 點을 들어 日本의 社會發展이 韓半島보다 빨랐다고 主張하기도 하지만, 정작 古代에서 中世까지의 體制의 成功 要件은 中央政府의 統制體制의 整備에 있었고 中國의 境遇는 統一 帝國이 安定되어 가던 (漢) 時代부터 商人을 賤視하였다는 데에서, 貨幣經濟가 高大에 發達되었다는 뜻은 뒤집어보면 中央의 地方에 對한 統制가 제대로 되지 않았다는 뜻이 될 수도 있다.
  23. 오미 王에 對해서는 《만요슈》에 그를 同情하는 사람과의 노래 交換이 採錄되었다.
  24. '妖妄한 말'의 內容은 傳해지지 않지만 天皇의 政治를 批判한 것으로 보인다.
  25. 天皇을 非難했다는 것이 그의 罪目이지만, 이밖에 다른 사람의 處罰 理由는 傳해지지 않는다.
  26. 新羅에서 日本에 보내는 使臣의 官位는 6世紀 後半만 하더라도 級飡 (9月)에서 나마(奈末) (11位)· 大使(大舍) (12位)로, 덴지 天皇 때에도 級飡의 地位를 維持했다. 덴무 天皇이 在位하게 된 673年 무렵부터 一吉飡 (7位)李 派遣되기 始作했는데, 新羅 使臣의 官位가 오른 것을 두고 新羅가 日本에 低姿勢로 나온 것으로 解釋하기도 하지만 이것은 668年부터 700年 사이에 限定되어 있으며, 以後로는 다시 級飡에서 大奈麻로 使臣의 地位가 내려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27. 아스카 오카모토 宮은 元來 兆메이 天皇·사이메이 天皇의 宮으로, 오미 天道 以後에도 維持되고 있었다.
  28. 《日本書紀》에 따르면 오카모토 宮에는 代案展(大安殿)·外安全(外安殿)·內安全(?安殿)·向蘇展(向小殿) 等의 殿閣이 存在했지만, 그 殿閣들이 現在 發掘된 建物터 가운데 正確히 어디에 比定되어야 하는지에 對해서는 아직도 여러 意見이 衝突하고 있다.
  29. 萬若 妊娠의 亂이 失敗로 끝나 덴무 天皇이 卽位하지 못했다면, 《古事記》나 《만요슈》로 대표되는 土着的인 日本 文化는 《日本書紀》·《回風潮》로 대표되는 中國風 文化에 侵蝕되어 或은 傳해지지도 못하고 끝나버렸을지도 모른다고 하는 學者도 있다.
  30. 資料商으로 볼 때 스이코 天皇의 治世 때에도 위의 呼稱을 쓴 것이 더러 있기는 하지만 中國에서도 '天皇'이라는 呼稱이 唐 高宗 때에 이르러서야 처음으로 君主의 呼稱으로 쓰이고 있는 等 個個의 資料가 가진 性格에 따라 의심나는 것을 勘案할 때 덴무 天皇 때까지 훨씬 내려간다.
  31. 다이니이노마쓰리나 니이나메노 마쓰里에서 45名의 舞姬가 추던 舞踊.
  32. 陰曆 11月 23日에 天皇이 天地社稷의 神들에게 行하던 豐年祭의 一種.
  33. 日本에서 天皇이 卽位한 後에 아마테라스 오오미카미에게 지내는 첫 祭祀.
  34. 海東諸國記 》 天皇臺서(天皇代序) 中 天武天皇兆.
  35. 《古事記》와 《日本書紀》의 編纂을 서로 竝行하게 한 意圖에 對해서는 定해진 설이 없고, 內容은 多分히 天皇의 支配를 正當化하고 있다는 點에서 共通點을 지닌다. 中國風의 壯大한 漢文 文章으로, 一貫性없게 여러 說들을 죽 늘어놓은 《日本書紀》가 여러 編纂者들과의 合意 및 分擔으로 이루어진 것에 비해, 分量도 比較的 짧고 文體도 始終一貫 變함이 없는 《古事記》는 덴무 天皇 個人의 意志가 많이 反映되었을 可能性이 指摘되고 있다.
  36. 《海東諸國記》는 "11年 壬午에 비로소 管(冠)을 만들고, 國中(國中)에 命하여 男子는 모두 머리털을 묶게 하고, 女子는 모두 머리털을 풀어뜨리게 하였다."고 했다.
  37. 오늘날 그의 信徒 振興 政策은 外來 文化의 浸透에 맞서 日本의 民族意識을 高揚시키기 위해서였다고 評價받고 있다. 하지만 天皇의 努力이라는 것도 各地의 傳統的인 祭祀를 그대로 保存하기보다는 天皇家의 始祖로 여겨지던 太陽의 女神 아마테라스 오오미카미와의 關係에 따라 各地의 神을 評價해 階級을 매겨 天皇 中心으로 體系化시킴으로써, 窮極的으로는 天皇 權力의 强化로 이어지는 것이었다. 또한 各地에서 모셔지고 있던 現地 紳士와 여러 提議는 保護와 交換의 形態로 國家의 管理와 統制에 따랐으며, 古代의 國家 信徒가 形成되는 土臺가 되었다.
  38. 時키넨센구를 처음 行한 해에 對해서는 덴무 14年(685年)과 지토 2年(688年)이라는 두 個의 說이 傳해지고 있지만, 덴무 天皇의 發議로 이루어졌다는 것은 分明하다.
  39. 아예 있지도 않은 것을 創作했다는 것이 아니라, 그때까지만 하더라도 二世 地方 안에서 모시던 太陽神을 天皇家가 모시던 神과 同一化하여 아마테라스 오미카미라는 神格을 이루어냈다는 것이다(재야학자 쓰쿠시 노부자네筑紫申?의 설).
  40. 都市코이盧 마쓰里(としごいのまつり)로도 읽는다. 니이나메노 마쓰里와 같은 豐年祭로 每年 2月에 行해지며, 니이나메노 마쓰里가 大帝(大祭), 都市코이盧 마쓰里는 소제(小祭)로 規定되어 있다.
  41. 이는 後世까지 두 神을 모시기 위해서 勅使를 派遣한 制度의 始初로 여겨지고 있다(모리타 데이).
  42. 《金光明經》은 우리 나라나 中國에서도 護國3景의 하나로 꼽히던 護國佛敎의 象徵的 經典으로, 그 內容은 國王은 하늘의 아이이며 태어났을 때부터 部處 및 여러 身長의 守護를 받아 人民을 統治할 資格을 얻고 있다는 것을 骨子로 한다. 아마테라스 오오미카미의 例에 依한 아라히토가미(現人神) 思想과도 통하는 것으로 天皇의 君臨과 統治를 正當化하기 위한 目的이 깔려 있었다.
  43. 一族의 冥福을 빌기 위한, 一種의 特定 집안 所有의 個人 寺刹.
  44. 僧侶들의 威儀와 服裝까지도 規制하는 等, 모든 査察과 僧侶를 國家의 統制下에 두려는 試圖가 덴무朝에는 剛하게 이루어졌다.
  45. 이러한 道敎에 對한 關心은 非但 덴무 天皇만의 것이 아니라 그의 어머니 사이메이 天皇에게서도 顯著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덴무 天皇 死後에도 繼續되었다. 게다가 덴무 天皇과 그 以後의 日本 道敎는 信徒와는 떼놓기 어려울 程度로 密着되고 融合되어 獨立的으로 存在하고 있지 않았다는 데에서, 果然 道敎가 어느 程度까지 影響을 미쳤는가에 對해서는 여러 見解가 나뉘고 있다.
  46. 但只 記錄으로 傳하지 않는 것 뿐으로 보기도 하지만, 그냥 天皇의 趣向이 限時보다는 와카에 더 興味가 있었던 탓으로 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