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光化門에서/김창혁]도청의 그늘|東亞日報

[光化門에서/김창혁]도청의 그늘

  • 入力 2005年 9月 30日 03時 07分


코멘트
김대중(金大中) 政權 末期이던 2002年 10月 25日 동아일보가 1面 머리記事로 國家情報院의 携帶電話 盜聽 事實을 告發했을 때 筆者는 그 記事의 寫實性을 半信半疑(半信半疑)했다.

筆者는 當時 政治部 次長으로 있었다. 그 記事를 特種 報道한 社會部 최영훈(崔英勳) 次長이 이듬해 6月과 7月 檢察에 召喚돼 12時間, 10時間씩 調査를 받을 때도 筆者는 國精院 盜聽을 政權 變動期에 나도는 ‘陰謀論’의 하나쯤으로 생각했다.

김대중 政權 사람들은 마치 마른하늘에 날벼락이라도 떨어진 것처럼 길길이 뛰었다. “大統領님은 가톨릭 信者다. 알지 않느냐. 나도 가톨릭 信者다. 大統領님이 거짓말하는 것 봤느냐. 나도 限平生 거짓말은 모르고 살았다.” 核心 實勢는 가톨릭까지 들먹였다.

“자네가 言論界 後輩라서 그래도 나가라는 소리는 않겠다. 하지만 率直히 얼굴도 쳐다보기 싫다.” 言論社 出身의 與圈 人士는 取材次 事務室을 訪問한 筆者의 面前에서 이런 말을 서슴지 않았다. “노벨 平和賞을 받은 大統領님이다. 盜聽이라니… 꿈도 못 꿀 일이다.”

그들은 疑心하는 마음이 오히려 죄스러울 程度로 執拗하게 潔白을 呼訴했다. 10年 넘게 政治部 記者 生活을 한 筆者의 判斷을 마비시킬 程度였다. 筆者의 귀는 얇아질 대로 얇아졌고, 名色이 동아일보 政治部 次長이 동아일보의 1面 머리記事를 疑心하는 地境에 이르렀다. 있을 수 없는 道德的, 職業的 危機였다.

그러나 동아일보 報道는 事實이었다. ‘盜聽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道廳 裝備가 있을 理 없다’던 김대중 政權 時節의 國精院도 盜聽을 했음이 하나 둘씩 드러나고 있다. 그리고….

정작 陰謀論의 捕虜는 筆者였음도 분명해졌다. 東亞日報와 讀者들께 罪悚하다.

道廳의 그늘은 아직도 깊다. 그 濕한 그늘은 R-2니, 카스(CAS)니 하는 도·감청 裝備에 있지 않다. 김영삼(金泳三) 政權이니, 김대중 政權이니 하는 ‘내 탓, 네 탓’에 있지 않다. 國政調査를 해야 하느냐, 特檢을 實施해야 하느냐에도 있지 않다.

道廳의 그늘은 自覺하든, 自覺하지 못하든 人間性을 破壞한다는 데 있다. 사람들을 疏外(疏外)의 深淵에 가둔다는 데 있다.

國精院의 自體 調査 結果 發表가 있은 뒤 김대중 政府 當時 國精院의 責任者들이었던 李鍾贊, 임동원, 新件 氏가 金昇圭 現 國精院長을 만나 또 다른 陰謀論을 提起했다. 本質은 김영삼 政權 時節 國家安全企劃部가 밥 먹는 자리의 對話를 ‘錄音’한 것인데 國精院이 ‘電話 盜聽 問題를 끼워 넣어’ 김대중 政權을 贖罪羊처럼 만들고 있다는 것이다. 聲東擊西(聲東擊西), 그러니까 東쪽(YS 政權)을 치는 척하면서 實際로는 西쪽(DJ 政權)을 치려고 한다는 것이다.

背德者(背德者)의 自愧에 빠져 허우적대는 筆者에 비하면 그들의 지칠 줄 모르는 陰謀論이 부럽기까지 하다. 묻고 싶다. 그래서 어디로 가려는가?

國精院 職員들이 名譽를 毁損당했다며 동아일보를 相對로 訴訟을 냈을 當時의 院長이던 新件 氏에게 特히 묻고 싶다. 部下 職員들에게 訴訟을 내도록 直接 指示를 했건 안 했건 結果的으로 그들의 人格을 破壞하고, 疏外의 深淵으로 밀어 넣었다는 事實을 아는가?

김창혁 國際部 次長 cha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