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人文社會]周圍 모든 것이 짐처럼 느껴진다면…´카르마´|동아일보

[人文社會]周圍 모든 것이 짐처럼 느껴진다면…´카르마´

  • 入力 2002年 9月 13日 17時 46分


◇카르마/박영한 지음/176쪽 7800원 이룸

낯선 사람에게서 내 속에 묻어 둔 어떤 이의 모습을 發見하게 될 때, 瞬間 아득하고 妙한 氣分에 휩싸여본 적이 있는지. 放心한 채 無心히 놓아둔 마음이 날카롭게 저며오거나 흐린 微笑로 입가를 스쳐 지나가거나.

小說家인 ‘나’는 親舊와 떠난 旅行길에서 우연찮게 江原道 深深山골, 그것도 외양間 곁房에 躊躇 않게 된다.

數年間 功들인 作業은 失敗로 끝나고 ‘輪廻의 길목’에 서 있는, 고개 숙인 自身의 모습을 確認한 그는 이제 움켜쥐고 있던 것을 다 놓았다. 비어버린, 또 무엇으로도 채우고 싶지 않은 사람이다. 世上은 虛無함으로 가득 찼을 뿐이다.

江原道 奧地마을에 혼자 떨궈진 ‘나’는 어머니를, 異服兄을, 親兄을 가슴 속에서 꺼낸다. 事實 ‘나’에게 家族은 꿈에서 마저 지워버리고 싶은 存在였다.

팔다리가 없는 몸뚱이로 기우뚱거리며 나오는 집主人 男子에게서 關節炎으로 起動이 不便해 팔꿈치로 房바닥을 기던 어머니를 떠올린다.

‘그 時節 어머니란 한時바삐 어디다 내다 버리고 싶은 귀찮은 짐 褓퉁이 같은 存在였다. 家族들의 삶을 구렁텅이로 몰고 간 어머니의 半平生이란 回想하기에도 끔찍한 그 무엇이었다. 그런데 이 山골마을에서 우연찮게도 어머니의 모습과 마주치게 되다니’.

뒷房에서 사는, 외양間을 지키는 집主人의 兄인 精神薄弱者 社內. ‘아홉 個의 구멍에서 汚物을 줄줄 흘리는 存在’와 다름없는 그 사내는 原始 狩獵人 같은 風貌를 지녔다. 사내의 눈매에서 ‘나’는 夭折한 둘째 兄, 妙한 狂氣로 눈이 반들거렸던 그 兄을 본다.

‘나’와 그 사내가 함께 꿩 사냥을 마치고 돌아온 날 저녁, 아리랑을 부르며 신명나게 춤을 추는 사내에게서는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小說 ‘希臘人 조르바’의 한 場面을, 또 불현듯 다 팽개치고 떠난 이福 兄을 본다.

‘이 집에는 내 어머니와 죽은 兄弟들의 환生態(還生態)가 살고 있다.’

子息들에게조차 외면당했던 擧動이 不便한, 孤獨한 어머니와 亦是 孤獨함으로 自身을 술로 해치고 있는 집主人 男子는 오버랩되며 ‘나’를 끊임없이 罪意識의 구덩이로 몰아간다. ‘나’에게 어머니와 兄弟들은 등짐처럼 陳 ‘카르마(업·業)’였던 것이다. ‘모든 것들이 結局은 輪廻 生死의 긴 過程에 끼여든 한 토막 揷畵였으며, 그 揷畵의 延長이 나를 비롯한 衆生들의 現在 모습임을 이 나이 되어서야 깨닫게 되다니…’.

‘나’는 쫓긴다. 逃避할 수도, 現實을 外面할 수도 없다. 幻想 속으로 건너뛸 수 밖에.

10日 서울 인사동에서 만난 作家 박영한(55). 그 또한 어느 겨울 한철을 江原道의 한 奧地마을에서 보냈다고 했다. 長篇 ‘長江(長江)’ 以後 6年만에 冊을 펴낸 그는 “글을 다 쓰고 서야 小說 속에 옹박힌 非正常的인 이들이 바로 主人公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이제는 卑賤한 것들에 對한 생각이 깊어진다. 휴머니즘的 關心으로부터 멀어져 佛敎的 生物學的 人類文化的 思惟에 마음이 모아진다. 아주 먼 時間 속으로 回歸해 간다”고 말했다.

“作業室 앞에 花壇을 만들어 남다른 손길로 ‘生命’을 돌본다”는 作家의 속내가 ‘作家의 말’에 고스란히 담겼다. 草綠잎에 건네는 그의 ‘사랑’李 마음을 끌어당긴다.

조이영記者 lycho@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