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수관 신바람 健康法④]팔-다리를 흔들자|동아일보

[황수관 신바람 健康法④]팔-다리를 흔들자

  • 入力 1997年 4月 17日 08時 23分


한 老人이 親舊 아들 結婚式에 갔는데 披露宴에서 新郞 하는 말이 傑作이었습니다. 『한가지 告白할게 있습니다. 저는 結婚 前에 많은 時間을 한 女子의 품속에서 幸福하게 지냈습니다』 한참 뜸을 들인 後 座中이 조용해지자 그 녀석은 『그 女子는 바로 저의 어머니입니다』고 말해 뜨거운 拍手를 받았습니다. 『바로 저거다』라고 무릎을 친 老人은 며칠 後 마누라 回甲잔치에 그 말을 써먹기로 作定했습니다. 드디어 그날이 됐습니다. 잔치 雰圍氣가 무르익자 그 老人이 벌떡 일어나 큰 소리로 말했습니다. 『여보 나 告白할게 하나 있어. 이제사 하는 말인데 結婚 前에 나는 수많은 날을 딴 女子의 품에서 지냈다오. 그런데 가만있거라…. 그 女子가 누구더라』 老人은 繼續 더듬거리다 여러 사람앞에서 톡톡히 亡身을 當했습니다. 요즘 社會問題로 떠오른 老人性 癡呆(老妄)를 素材로 한 유머입니다. 若干 誇張이 있지만 그런대로 癡呆의 深刻性을 잘 보여줍니다. 老人들이 中風(腦卒中)보다 더 무서워 하는 病이 바로 癡呆입니다. 患者 自身뿐 아니라 家族까지 줄줄이 苦生하고 特效藥도 없기 때문이지요. 癡呆와 健忘症은 다릅니다. 假令 大門 열쇠가 어디 있는지 잊어버리는 것은 健忘症이고 열쇠를 보고도 그것을 어디에 使用하는지 모른다면 癡呆입니다. 成人의 腦細胞는 1百40億個쯤 되는데 이것이 하루에 10萬個씩 죽습니다. 여러가지 理由로 腦細胞가 이보다 더 빠르게 많이 죽어 腦機能이 低下되면 癡呆라는 끔찍한 「不請客」이 찾아옵니다. 우리나라 癡呆 患者는 65歲 以上 老人의 9.5%라고 합니다. 이中 다른 사람의 도움이 꼭 必要한 重症 患者는 3.4%程度입니다. 그러나 癡呆 老人을 쉬쉬하고 숨기는 집이 많아서 일찍 病院에 가면 고칠 수 있는 것도 治療時機를 놓쳐 狼狽를 當하는 境遇가 許多합니다. 癡呆하면 大槪 美國의 레이건 前大統領이 걸린 알츠하이머病을 聯想하는데 癡呆도 頭痛처럼 수많은 原因이 있습니다. 西洋에서는 알츠하이머病이 全體의 50%를 차지하지만 東洋에서는 血管性癡呆가 50%이고 알츠하이머病은 20%에 不過합니다. 血管性 癡呆는 腦血管이 動脈硬化나 血栓(피 찌꺼기)으로 막혀 腦細胞가 損傷되고 自身도 모르는 사이에 記憶力이 떨어지고 言語障礙나 知能障礙가 오는 것입니다. 어느 程度 豫防과 調節이 可能하다는 點에서 알츠하이머病에 비해 希望的입니다. 巷間에는 花鬪나 카드놀이가 癡呆豫防에 도움이 된다고 해서 奬勵하는 雰圍氣입니다. 이들 놀이가 머리를 쓴다는 側面에서 多少 說得力이 있지만 노름은 大部分 吸煙 飮酒 스트레스를 同伴하기 때문에 勸할 만한 것은 못됩니다. 旺盛하게 社會活動을 하고 폭넓은 人間關係를 維持하면서 하루 한時間 以上 讀書를 하고 思索을 즐기는 것이 癡呆豫防에 좋습니다. 바둑 將棋 같은 健全한 娛樂도 도움이 됩니다. 積極的인 癡呆豫防法으로는 頭腦에 酸素를 充分히 供給해주는 運動이 最高입니다. 腦를 단련시키려면 손과 발, 팔 다리 運動을 꾸준히 해야 합니다. 運動을 즐거운 마음으로 하는 것이 腦細胞 減少를 豫防하는데 가장 좋은 方法입니다. 늙기도 서럽거늘 老妄이 들어 子息들에게 弊를 끼쳐서야 되겠습니까. 황수관(연세대醫大敎授)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