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旅行]泰國의 高度 치앙마이…왓 프라탓 도이수텝寺院|東亞日報

[旅行]泰國의 高度 치앙마이…왓 프라탓 도이수텝寺院

  • 入力 1996年 11月 6日 20時 49分


「신현훈記者」 올해로 程度(定都) 7百年을 맞은 泰國 第2의 都市 치앙마이. 北方特有의 魅力이 흘러 넘치는 海拔 3百35m의 高山都市다. 이 치앙마이는 「北方의 薔薇」로 불린다. 原始와 현대의 共存, 덥지 않은 氣候, 獨特한 文化遺産, 類달리 佛心이 깊은 住民들, 아름다운 女人들 때문이다. 게다가 郊外로 나가면 코끼리와 뗏木을 타고 密林을 누비며 原始的 自然을 經驗할 수 있고 高山族들과도 만날 수 있는 곳이다. 때묻지 않은 太古的 自然과 文化 遺跡地가 살아 숨쉬는 古都 치앙마이를 案內한다. 진흙탕 蓮못 속에서 핀 蓮꽃 한송이로도 極樂淨土를 느낄 수 있는 佛心이 있다면 그것은 前生에 쌓은 業으로 因緣된 最高의 幸福이 아닐까. 佛家의 나라 泰國에서도 그 깊은 佛心이 旅行者들을 감동시키는 치앙마이. 그곳의 도이수텝 山에 오르면 그같은 치앙마이의 佛家的 傳統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다. 그 山의 꼭대기(海拔 1,056m)에 자리 잡은 왓 프라탓 도이수텝 寺院으로 발길을 옮겼다. 부처님 眞身舍利를 모신 이 寺院이 이곳 사람들의 信仰 中心地인 것은 더 말할 나위가 없다. 거기에 그치지 않고 그들은 이 山마저도 靈山으로 稱한다. 「도이」는 산, 「수텝」은 神仙을 意味한다. 그래서 도이수텝의 왓 프라탓社員은 「신선산」에 있는 寺院을 뜻한다. 泰國 사람들이 平生 單 한番이라도 치앙마이에 오고 싶어하는 理由는 그 이름에서도 찾을 수 있다. 또 「치앙마이에 오면 밥 먹는 것보다 먼저 도이수텝에 오르라」는 말도 거기서 연유한다. 山에 오르는 것이 바로 부처를 만나는 것으로 생각하는지도 모를 일이다. 절로 向한 3百餘 階段에 한숨부터 나는 것은 亦是 불自家 아닌 탓. 層階 代身 便하게 오를 수 있는 모노레일로 자꾸 눈이 갔다. 海拔 1千56m의 頂上에 있는 절 入口에 다다르니 爽快한 바람이 땀에 젖은 몸을 식혀 준다. 고개를 돌리니 치앙마이 市內가 한눈에 들어온다. 그절의화려함은언어 表現의 限界 밖에있다. 金빛으로塗色된 높이 20m의 巨大한 舍利塔과 社員內 곳곳의 黃金佛像들은 極樂의 華麗함 그 自體인 듯 하다. 구슬땀에도 아랑곳 없이 法堂에 머리를 조아리고 佛供을 드리는 泰國人들. 黃色 袈裟를 걸치고 讀經하는 스님들의 우렁찬 목소리가 寺院 곳곳에 메아리쳤다. 境內를 돌다 한 구석에서 빛바랜 닭 寫眞을 發見했다. 境內에 신발을 신고 들어 오는 無賴漢의 발을 그 섬뜩한 부리로 쪼았다는 靈物 닭의 肖像이었다. 이렇듯 境內에서는 地位高下를 莫論하고 누구든 신발을 벗고 맨발이 되어야 한다. 무릎이 보이는 짧은 바지나 치마를 입고서는 境內에 조차 들어갈 수 없다. 泰國에서 最高의 尊敬을 받는 國王도, 佛子가 아닌 外國人이라도 例外일 수 없다. 世俗의 身分이나 귀천, 貧富도 여기서는 아무런 意味가 없다. 도이수텝山의 왓 프라탓寺院에서 그들은 부처를 만난다. 그 부처에게 自身의 所願을 비는 것은 그들이 바라는 最大의 바람이다.가는 길位置는 市內에서 16㎞ 거리. 舊市街地 北쪽의 窓푸악문에서 도이수텝으로 가는 송테우(트럭의 一種)를 타면 30分만에 갈 수 있다. 料金은 30바트(藥 1千원). 入場料는 10바트.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