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4回 黃金獅子機] 유창식 完封… 광주일고 黃金獅子 품다|동아일보

[64回 黃金獅子機] 유창식 完封… 광주일고 黃金獅子 품다

  • Array
  • 入力 2010年 3月 30日 07時 00分


광주일고 선수들이 잠실구장에서 열린 제64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결승전에서 1-0으로 장충고를 누르고 우승을 차지한 뒤 그라운드로 뛰쳐나와 기뻐하고 있다. 잠실 | 김재명 동아일보 기자 base@donga.com
광주일고 選手들이 잠실구장에서 열린 第64回 黃金獅子期 全國高校野球大會 決勝戰에서 1-0으로 장충고를 누르고 優勝을 차지한 뒤 그라운드로 뛰쳐나와 기뻐하고 있다. 蠶室 | 김재명 동아일보 記者 base@donga.com
第64回 黃金獅子期 全國高校野球大會(스포츠동아·동아일보·대한야구협회 共同主催)에서 最後의 勝者는 광주일고였다.

광주일고는 29日 잠실구장에서 열린 장충고와의 決勝戰에서 1-0으로 勝利, 2年 만에 黃金獅子氣를 품에 안았다.

광주일고의 優勝은 左腕 에이스 유창식(寫眞)의 勝利나 마찬가지였다. 選拔을 自願해 9이닝을 3安打 3볼넷 無失點으로 막고 완봉승을 따내 28年 만에 열린 黃金獅子機 蠶室 決勝戰 主人公으로 떠올랐다. 유창식의 壓倒的 球威에 눌린 장충고는 7回 1社 2壘가 唯一하게 走者를 得點權에 갖다 놓은 것이었을 뿐이다.

유창식은 平均 時速 140km臺 中盤의 直球와 체인지업, 두 種類의 슬라이더를 섞어 던져 超高校級 投手의 威力을 誇示했다.

프로 스카우트들 사이에서는 “高校 左腕 全體 넘버원이다. 高校舞臺는 全力投球를 안 해도 못 친다”란 坪까지 나왔다. 지난해 꼴찌 韓華가 1次 指名을 內心 바라지만 메이저리그 進出 可能性이 끊이지 않고 있다.

장충고度 正다흰∼윤영삼의 械鬪를 앞세워 單 1失點으로 光州一考 打線을 막았지만 유창식의 威壓的 球威를 끝내 넘지 못했다. 유창식은 黃金獅子機에서 總 30이닝을 던져 三振 30個를 잡아냈고 防禦率은 0이었다.

광주일고는 3回 2死 1壘에서 1番打者 이현동의 右翼手쪽 打毬를 장충 外野手가 글러브 안에 넣었다 빠뜨려 2壘打를 만들어준 守備에 便乘해 唯一한 得點을 올렸다.

이로써 광주일고는 2年만이자 通算 5番째로 黃金獅子機 優勝을 차지했다. 또 東大門, 木洞, 蠶室 3個 球場에서 黃金獅子氣를 優勝하는 眞記錄을 세웠다. 장충고는 過去 두 次例 決勝에 올라 全部 優勝했던 決勝 不敗 神話가 깨졌다.

광주일고 허세환 監督은 “지난 겨울 莞島 地獄訓鍊을 견뎌준 選手들이 고맙다”고 했다. 最優秀選手賞을 殊常한 유창식은 “決勝戰은 책임지고 싶었다. 슬라이더가 잘 먹혔다. 류현진 先輩처럼 되고 싶다. 將來는 卒業하고 생각하겠지만 메이저리그 생각은 있다”고 말했다.

또 “키워줘서 고맙다”고 홀어머니에 對한 고마움을 잊지 않았다. 프로 스카우트들은 “投球폼을 가다듬으면 拘束이 더 威力的이 될 것”이라며 怪物投手의 出現을 豫告했다.

○第64回 黃金獅子機 主要 施賞 內譯

▲最優秀選手賞=유창식
▲優秀投手賞=
이정호(以上 광주일고)
▲감투상= 윤영삼(장충고)
▲殊勳上·打點上= 이현동
▲打擊上·홈런上·安打上= 虛日
▲得點賞= 백세웅(以上 광주일고)
▲盜壘賞= 김도현(振興고)
▲監督賞= 허세환(광주일고)
▲特別賞= 최현진(충암고)

蠶室 | 김영준 記者 gatzby@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