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31원 愚弄’ 정신영 할머니 徵用被害者 損害賠償 一部 勝訴|東亞日報

‘931원 愚弄’ 정신영 할머니 徵用被害者 損害賠償 一部 勝訴

  • 뉴시스
  • 入力 2024年 1月 18日 11時 23分


코멘트

光州地法 "미쓰비시, 被害者 4名에 總 3億8400餘萬 원臺 損害賠償"
日年金 脫退手當 99엔 보내 公憤 일기도…소송 4年餘 만에 1審 判決

日帝에 强制로 끌려가 苦楚를 겪고도 日本 政府로부터 厚生年金 脫退手當 931원(99엔)을 받은 生存 被害者 정신영(94) 할머니와 다른 被害 遺族들이 戰犯 企業을 相對로 낸 損害賠償 請求 訴訟에서 一部 勝訴했다.

光州地法 第13民事部(裁判長 임태혁 部長判事)는 18日 鄭 할머니 等 4名이 미쓰비시重工業을 相對로 낸 損害賠償 請求 訴訟에서 ‘被告人 미쓰비시는 原稿(被害者)들에게 各各 1億 원, 1億 원, 1億 6666萬 6666원, 1818萬 1818원씩 總 3億 8484萬 8484원을 支給하라’며 原告 一部 勝訴 判決했다.

다만 裁判部는 訴訟費用 等 原告 側 나머지 請求는 棄却했다.

鄭 할머니는 지난 1944年 5月 滿 14歲 나이에 ‘日本에 가면 좋은 學校도 다니게 해주고 밥도 잘 준다’는 말에 속아 미쓰비시중공업 나고야 航空機 製作所로 끌려갔다.

鄭 할머니는 當時 劣惡한 環境에서 페인트 補助 作業을 反復해야만 했다. 이番 裁判 過程에서는 “다친 손을 治療받지 못했고, 食事가 제대로 提供되지 않아 飮食物 쓰레기를 주워 먹어야만 했다”고 證言하기도 했다.

每日 攻襲 警報가 울려 이불을 뒤집어 쓰고 두려움에 떨었고, 防空壕를 찾아 逃亡다녀야만 했다. 度난카이 地震으로 工場 壁이 무너져 韓國에서 함께 건너간 親舊 7名이 숨지기도 했다.

鄭 할머니를 비롯한 强制動員 被害者들은 1945年 도야마 미쓰비시 工場으로 옮겨 일하다 光復을 맞아 故鄕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그러나 以後에도 鄭 할머니는 家族들의 將來에 支障이 될까 싶어 徵用 避해 事實을 털어놓지 못했다.

지난 2022年 7月에는 日本 厚生勞動省 傘下 일본연금기구가 鄭 할머니의 計座에 ‘厚生年金 脫退手當’으로 931원(99엔)을 送金해 公憤이 일기도 했다. 貨幣 價値 變動을 保全하지 않고 當時 基準 77年 前 額面價만 支給하면서 當時 ‘惡意的인 侮辱’, ‘高齡의 被害者에 對한 愚弄’ 等의 聲討가 잇따랐다.

鄭 할머니를 비롯한 被害 遺族들의 損害賠償 訴訟도 2020年 1月부터 4年餘 동안 空轉하기도 했다. 國際 送達로 보낸 訴訟 書類를 日本 政府가 미쓰비시 側에 傳達하지 않고, 미쓰비시 側이 意圖的으로 出席하지 않으면서 裁判이 遲滯됐다.

이날 午前에는 또 다른 徵用 被害者 遺族들이 미쓰비시重工業을 相對로 2019年 光州地法에 提起한 損害賠償 訴訟도 進行됐다. 早晩間 宣告가 내려질 것으로 보인다.

한便, 올해 1月까지 强制動員 被害者들이 各 日本 戰犯企業을 相對로 提起한 損害賠償은 總 63件이다. 2018年 大法院 첫 原稿(被害者) 勝訴 以來 總 9件의 確定判決이 내려졌는데 法院은 모두 被害者들의 손을 들어줬다.

후지코시勤勞挺身隊 等 3件은 大法院에 繫留 中이다. 抗訴審 裁判 中인 損害賠償 訴訟은 9件(서울 8件·廣州 1件)이다. 나머지 42件(서울 28件·廣州 14件)은 1審 裁判이 進行되고 있다.

[光州=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