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單獨]普信閣 鐘지기 後孫 “180年 家業 잇게 해달라”… 서울市 “公共 文化財 管理, 世襲하기 어렵다”|동아일보

[單獨]普信閣 鐘지기 後孫 “180年 家業 잇게 해달라”… 서울市 “公共 文化財 管理, 世襲하기 어렵다”

  • 東亞日報
  • 入力 2023年 12月 6日 03時 00分


코멘트

市, 該當 자리 다른 公務員 採用
打鐘 傳受받은 後孫 “繼續 挑戰”

2020년 서울 종로구 보신각에서 열린 3·1절 기념타종에서 5대 종지기 신철민 씨가 타종하고 있다. 신철민 씨 제공
2020年 서울 鍾路區 普信閣에서 열린 3·1節 記念打鐘에서 5代 鐘지기 신철민 氏가 打鐘하고 있다. 신철민 氏 提供
서울 鍾路區 普信閣 鐘지기職을 代代로 이어온 家門의 後孫이 “180餘 年 前부터 해온 家業을 잇게 해달라”고 나섰다. 하지만 서울市는 “普信閣은 公共 文化財인 만큼 特定 家門이 管理를 世襲하긴 어렵다”는 立場이어서 이달 31日 除夜의 種 打鐘 行事도 鐘지기 家門의 關與 없이 進行될 展望이다.

4日 서울市 等에 따르면 普信閣 鐘지기의 歷史는 1840年代 鐘지기를 맡은 고 조재복 氏(1代)에서 始作된다고 한다. 當時 普信閣 樓閣에 불이 나 종로구 관철동 土박이였던 조 氏가 집 안뜰에 普信閣鐘을 保管하면서 鐘지기를 맡게 됐다는 것이다. 鐘지기는 普信閣鐘을 淸掃하고 管理하며 打鐘 行事를 準備하는 役割을 한다.

조氏 家門에서 普信閣鐘은 ‘종님’으로 불렸다. 3代 鐘지기였던 故 조한이 氏는 英親王의 扈衛軍官 出身으로 6·25戰爭 때도 避亂 가지 않고 種을 지키다 夫人이 한 손을 잃었다. 問題는 4代 鐘지기를 맡았던 故 조진호 氏가 일흔 넘은 나이에 癌으로 2006年 世上을 뜨면서 생겼다. 집안 事情으로 代를 이을 수 없게 되자 弟子 格이던 신철민 氏(48)에게 鐘지기 役割을 이어가 달라고 付託한 것이다. 申 氏는 서울市에 任期制 公務員으로 任用돼 5代 鐘지기가 됐다.

그런데 지난해 조진호 氏의 孫子인 財源 氏(27)가 “家業을 잇겠다”고 손을 들었고, 文化財 關聯 實務 經歷 1年이 있어야 支援이 可能하다는 要件을 채우기 위해 지난해 1月부터 打鐘을 管理하는 서울市 外注業體에서 일을 始作했다. 지난해 3·1節 打鐘에도 參與하며 申 氏로부터 他宗法을 傳受 받았다고 한다.

하지만 그 무렵 서울市 안팎에선 “公開 採用으로 任用해야 하는 公務員 자리를 特定 家門에 맡기는 게 맞느냐”는 論難이 불거졌다. 結局 申 氏가 “조 氏에게 물려주겠다”면서 물러난 자리에는 조氏 家門과 關聯이 없는 사람이 採用됐다. 豫算 不足을 理由로 外注業體 일을 그만둔 조재원 氏는 다른 業體에서 ‘實務 經歷 1年’ 要件을 채운 뒤 다시 鐘지기에 挑戰하겠다는 立場이다. 하지만 該當 자리가 다른 公務員으로 채워진 다음이라 언제 鐘지기가 될 수 있을지는 未知數다. 曺 氏는 “집안에서 普信閣鐘을 管理하는 일은 명예로운 일이라 언제가 되든 鐘지기 일을 하고 싶다”고 했다.

서울市 關係者는 “現在 文化財政策과 文化財管理要員이 鐘지기를 맡고 있는데 該當 職位는 地方公務員法上 公開 採用해야 하는 자리”라며 “한 家門에서 普信閣 打鐘과 管理를 이어간다고 하면 獨占 世襲 問題가 提起될 수 있다”고 指摘했다.


손준영 記者 hand@donga.com
전혜진 記者 sunrise@donga.com



#普信閣 鐘지기 #家業 世襲 #公共 文化財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