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버려진 땅 取扱받던 달동네, ‘삼양동’이 더 以上 부끄럽지 않은 곳이 됐으면”|동아일보

“버려진 땅 取扱받던 달동네, ‘삼양동’이 더 以上 부끄럽지 않은 곳이 됐으면”

  • 東亞日報
  • 入力 2018年 8月 16日 16時 56分


코멘트
10일 서울 강북구 삼양동에서 심재억 씨가 도로(삼양로)가 처음 생겼을 때 찍은 사진을 비교해 보이며 미소를 짓고 있다. 지금은 건물 대부분이 새로 지어졌지만 전봇대와 일부 상가는 그대로 남아 있다. 전영한 기자 scoopjyh@donga.com
10日 서울 江北區 삼양동에서 심재억 氏가 道路(삼양로)가 처음 생겼을 때 찍은 寫眞을 比較해 보이며 微笑를 짓고 있다. 只今은 建物 大部分이 새로 지어졌지만 電報대와 一部 商街는 그대로 남아 있다. 전영한 記者 scoopjyh@donga.com

무엇이 부끄러웠을까. 가게 門을 닫고 鍾路3街에서 택시를 타면 “삼양동 가주세요”라는 말이 입 밖으로 나오질 않았다. 代身 바로 옆인 미아동으로 가 달라고 했다. 택시에서 졸다 눈을 뜨면 택시는 이미 집과는 距離가 먼 미아동에 到着해 있었다.

서울 江北區 삼양동에서 태어나 平生을 살아온 심재억 氏(55·寫眞)의 15年 前 記憶이다. 삼양동에 사는 게 곧 가난함을 證明했던 時節의 이야기다. 모두가 어려웠던 1960, 70年代 남들보다 더 힘들었던 洞네였다. 朴元淳 서울市長이 三陽洞의 한 屋塔房에 한 달間 臨時 公館을 꾸리면서 最近에는 서울에서 가장 注目받는 洞네로 거듭났다.

10日 三陽洞의 한 大型마트(옛 삼양市場) 앞에서 만난 沈 氏는 “開發을 거치며 많이 바뀌었지만 아직 저녁이면 옆 洞네 親舊를 불러 막걸리 한盞 할 수 있는 정겨운 곳”이라며 웃었다.

● 共同 水道 쓰던 山洞네

서울 강북구 삼양동역 자리. 자전거를 좋아하는 고재영 학생이 자전거쇼를 보이고 있다.
서울 江北區 三陽洞驛 자리. 自轉車를 좋아하는 고재영 學生이 自轉車쇼를 보이고 있다.
三陽洞이라는 이름은 1940年代 末 當時 京畿 高陽郡 숭인면 미아리 一帶가 서울 성북구로 編入되면서 지어졌다. ‘三角山 아래 陽地 바른 南쪽 洞네’라는 뜻이다. 以後 行政區域 改編으로 도봉구와 江北區를 거치면서 미아1, 2洞으로 바뀌고 三陽洞이라는 이름은 사라졌다. 삼양동은 2008年 다시 이름을 되찾았다.

三陽洞에는 1950年代 末 本格的으로 사람이 몰렸다. 후암동(용산구) 新設洞(동대문구) 往十里(성동구) 等에 살던 이들이 再開發 撤去와 洪水에 떠밀려 쫓기듯 자리를 잡기 始作한 것이다. 빈손으로 쫓겨난 이들은 急한 대로 合板이나 現場에 남은 資材로 板子집을 지었다. 어떤 사람들은 시멘트 ‘反네로’(패널의 日本語式 表現)를 求해다 壁을 세우고 天幕을 쳤다. 땅을 洞窟처럼 ‘ㄴ’字로 파낸 다음 壁과 기둥으로 삼아 집을 올렸다. 이른바 ‘삼양동 달동네’의 始作이다.

沈 氏의 父母님도 이맘때 신설동을 떠나 이곳에 자리를 잡았다. 沈 氏의 집은 그래도 事情이 나아 집에 우물까지 팠다. 아버지는 三輪車 서너 臺를 굴리며 돈을 벌었다.

“집 하나하나에 番地數가 없어서 무더기로 모아서 몇 番地, 몇 樊紙 하는 式으로 불렀어요. 집들은 다닥다닥 붙어 있어 옆집에서 말하는 소리가 다 들릴 程度였고, 골목은 좁아서 雨傘 하나 지나가기가 힘들었고요.”

어린 沈 氏는 親舊들과 몰려다니며 놀았다. 近處 빨래골에서 가재를 잡거나 汽車놀이를 하며 놀았다. 無料 給食으로 나오는 국수를 얻어먹겠다고 몰래 줄을 섰다 들켜 쥐어박히기도 했다. 집집마다 만들어 놓은 鐵製 빗물通을 몰래 떼어 古鐵로 팔아먹는 고약한 장난도 해봤다. 下校길에는 每日 집에 있는 물桶을 들고 삼양市場 앞으로 갔다. 高地帶까지 水道물이 供給되질 않아 共同水道에서 물을 받아야 했기 때문이다.

10餘 年 前 없어진 삼양市場에 對한 옛 記憶도 또렷하다. 洞네 할머니들은 市場에서 配達을 했다. 언덕이 많아 배추나 煉炭을 가지고 가기 어려운 집에 짐을 가져다주고 몇 百 원씩을 받았다. 리어카도 없어 고무 대야에 짐을 담아 머리에 지고 경사진 길을 올랐다. 나중에 다시 만난 할머니들 中 무릎이 성한 사람은 많지 않았다. 모두가 힘든 時節이었다.

● “남은 가난은 걷어내고, 鄭은 남았으면”

서울 강북구 삼양동 우이신설선 솔샘역 롯데마트 앞길에서 과거 흑백사진으로 동네 설명하는 주민 심재억 씨. 전영한 기자 scoopjyh@donga.com
서울 江北區 삼양동 牛耳新設線 솔샘驛 롯데마트 앞길에서 過去 黑白寫眞으로 洞네 說明하는 住民 심재억 氏. 전영한 記者 scoopjyh@donga.com
1970年을 前後로 腕章을 찬 撤去 팀이 나타나 洞네를 들쑤셨다. 덩치가 큰 靑年들이 洞네 막걸리집에 죽치고 앉아 撤去에 反對하는 住民들을 威脅했다. 撤去 팀을 나무라는 洞네 할머니에게 입에 담기도 힘든 辱說을 내뱉기도 했다.

“밤 10時만 되면 무서워서 밖을 다니질 못했어요. 누군가 門을 세차게 두드리면 ‘强制 撤去를 하러 왔나’ 싶어 不安해하곤 했죠.”

‘버려진 땅’ 取扱을 받던 삼양동은 1980年代부터 變貌하기 始作했다. 처음에는 2層짜리 甓돌집이 올라가기 始作했다. 1990年代 들어서는 外地人들이 들어와 땅을 買入해 빌라를 짓기 始作했다. 只今은 一般住宅과 아파트 團地가 섞인 住居地域으로 바뀌었다.

가난의 그늘은 아직 남아 있다. 서울市에 따르면 삼양동에 居住하는 1萬2400餘 家口 中 1500餘 家口가 基礎生活保障受給者이거나 次上位 階層인 것으로 把握된다. 沈 氏는 “아직도 연탄보일러를 쓰는 집이 남아 있다. 洞네가 깨끗해지고 治安은 좋아졌지만 아직 開發이 더 必要하다”고 말했다.

“요즘 우리 洞네에 쏟아지는 關心이 좋으면서도 한便으로는 ‘가난한 곳’이라는 偏見이 걱정돼요. 우리 아이들이 어른일 때는 ‘삼양동’이 더 以上 부끄럽지 않은 자랑스러운 곳이 되면 좋겠어요. 가난은 걷어내고 鄭(情)은 남아야죠.”

권기범 記者 kaki@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