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當身과 아이들 너무나 그립소 함께할 날만 손꼽아…”|동아일보

“當身과 아이들 너무나 그립소 함께할 날만 손꼽아…”

  • 入力 2009年 7月 27日 02時 57分


‘매클레인 대위 판문점 도착’ 보도윌리엄 매클레인 대위가 정전협정으로 풀려난 뒤 1953년 9월 5일 판문점에 도착해 중공군 트럭에서 내리는 모습이 고향 오하이오 영스타운의 지역신문 ‘영스타운 빈디케이터’에 소개됐다. 그는 이 순간이 “인생에서 가장 행복한 순간이었다”고 회고했다. 사진 출처 영스타운 빈디케이터
‘매클레인 大尉 板門店 到着’ 報道
윌리엄 매클레인 大尉가 停戰協定으로 풀려난 뒤 1953年 9月 5日 板門店에 到着해 中共軍 트럭에서 내리는 모습이 故鄕 오하이오 영스타運의 地域新聞 ‘영스타韻 빈디케이터’에 紹介됐다. 그는 이 瞬間이 “人生에서 가장 幸福한 瞬間이었다”고 回顧했다. 寫眞 出處 영스타韻 빈디케이터
오늘 停戰協定 56周年… 6·25 參戰 美軍捕虜 매클레인 大尉의 ‘收容所 便紙’

鴨綠江邊 收容所서 34個月

1953年 9月 美 家族품으로

박대헌 寧越冊博物館腸 올해初 購入… 本報에 公開

《“當身과 아이들, 家族 모두가 너무나도 그리워. 나는 우리 家族이 함께할 날만을 손꼽아 기다리고 있다오. 돌아가면 할 것이 너무나도 많잖아. 내가 얼마나 많은 計劃을 짜고 있는지…. 나는 잘 지내니 내 걱정은 말아요.”(1952년 9月 22日) 便紙 한 通 한 桶에는 戰爭 中 捕虜로 붙잡힌 軍人의 외로움과 家族을 向한 그리움이 고스란히 묻어 있었다.》

數十 年間 戰爭資料를 蒐集해 온 寧越冊博物館 박대헌 館長이 7月 27日 停戰協定 56周年을 맞아 올 初에 어렵게 求한 한 美軍 捕虜의 便紙 10餘 通過 回顧錄 等의 資料를 26日 동아일보에 公開했다. 半世紀가 넘는 歲月을 보여주듯 바스러질 것 같은 便紙에는 捕虜收容所에서 고단한 時間을 보내며 戰爭이 끝나고 家族이 기다리는 집으로 돌아갈 날만을 기다렸던 한 軍人의 34個月 捕虜生活이 오롯이 담겨 있었다.

누렇게 色이 바랜 便紙의 主人公은 6·25戰爭에 參戰했던 美軍 大尉 윌리엄 매클레인(1921∼2004). 아내 엘리자베스와의 사이에 딸 베티 앤과 아들 빌리, 爐底를 두고 있던 그는 1950年 6·25戰爭 勃發 當時 제1기병사단 所屬으로 日本에서 勤務하고 있었다. 上部의 命令이 떨어지자 7月 12日 日本을 떠나 7月 18日 浦項에 上陸하면서 6·25戰爭에 參戰했다.

그의 部隊는 7月 20日 嶺東 防禦線에 投入된 後 洛東江戰鬪 等 여러 戰鬪에 參加했다. 1950年 9月 仁川上陸作戰에도 投入됐다. 部隊는 9月 28日 서울 奪還 後, 10月 19日 平壤을 占領下高度 繼續 北進했다. 鴨綠江을 確保하는 것이 部隊의 任務였다. 하지만 敵의 反擊도 만만치 않았다.

後날 집으로 돌아가 整理한 ‘나의 祖國, 나의 家族, 나의 삶’이라는 題目의 回顧錄에서 그는 “밤이면 悲鳴과 휘파람 소리가 恐怖感을 刺戟했다. 어둠 속에선 모든 것이 엉망이었고 아침에 일어나보면 敵들은 또 四方에서 칼을 겨누고 있었다. 戰友들의 屍體는 자꾸 쌓여 갔다”고 當時의 狀況을 傳했다. 戰鬪를 벌이던 매클레인 大尉는 11月 5日 中共軍에게 붙잡혔다. 그가 끌려간 곳은 鴨綠江 近處에 있는 碧潼捕虜收容所 第2캠프였다.

美軍 大尉에서 中共軍 捕虜 身世가 된 그에게 捕虜收容所 生活은 하루하루가 苦難이었다. “그들은 우리를 마치 돼지처럼 取扱했다. 特히 1950年에서 1951年으로 넘어가는 겨울은 가장 힘든 瞬間이었다. 飮食도 없고, 毯요나 옷도 없었다. 四方에선 이가 내 몸을 向해 달려들었다.”(매클레인 大尉의 回顧錄 中) 그는 세 番이나 脫出을 試圖했지만 番番이 붙잡혔다.

6·25 參戰 美軍捕虜 매클레인 大尉의 ‘收容所 便紙’

“捕虜協商 길어질 것 같은데… 當身이 더 힘들겠지?”

“4個月前 答狀 오늘 받았소 아이들 데리고 苦生 많지…”

“中共軍은 우리를 돼지 取扱, 세番 脫出試圖… 番番이 잡혀”

回顧錄에 當時 慘狀 생생

지루하고 不安한 捕虜收容所에서 하루하루를 버티게 해 준 것은 家族에게 보내는 便紙였다. “中共軍은 捕虜들의 歡心을 사기 위해서였는지는 몰라도 便紙 쓰기를 許諾했다. 便紙를 받는 것은 자유롭지 않았지만 쓸 수 있는 것만도 큰 膳物이었다.”

그는 戰爭이 끝나기를 기다리는 마음, 가끔 찾아오는 두려움과 외로움을 故鄕 오하이오의 영스타運에 있는 아내 엘리자베스와 아이들에게 보내는 便紙에 담았다. “가끔 協商에 對한 消息을 들을 때가 있어. 제발 그들이 早晩間 成功的으로 協商을 끝낼 수 있었으면…. 當身은 내가 얼마나 집에 돌아가고 싶어 하는지 모를 거야. 그 外에 다른 건 머릿속에 들어오지도 않아.”(1952년 2月 12日)

그리움과 함께 家族에 對한 未安함도 傳했다. “協商이 相當히 길어질 것 같은데 기다리는 일이 나보다 當身이 더 힘들겠지? 當身은 아이들까지 責任져야 하니까. 사랑하고 애들한테도 아빠가 正말 사랑하고 자랑스러워하고 있다고 傳해줘요.”(1952년 6月 19日)

아내 엘리자베스度 男便에게 아이들의 安否와 사랑을 담아 答狀을 보냈다. 아내가 보낸 答狀은 大部分 ‘搬送’을 뜻하는 손模樣의 消印이 찍혀 되돌아왔지만 몇 通은 間或 收容所에 갇혀 있는 大尉의 손에 어렵사리 들어갔다. 그 便紙는 그에게 삶의 原動力이었다.

“當身이 지난해 11月에 쓴 便紙를 이제야 받았어. 어찌나 기쁘던지. 세 아이를 데리고 苦生이 많을 텐데 새로운 집도 救하고 대견해.”(1953년 3月 3日)

매클레인 大尉의 便紙 쓰기는 停戰協定과 함께 捕虜收容所에서 풀려나면서 끝이 났다. 그는 捕虜 交換의 막바지인 1953年 9月 5日 自由의 몸이 됐다. 捕虜가 된 지 34個月 만의 일이었다. “우리는 板門店에 到着했다. 그때의 氣分이란…. 도무지 믿어지지 않았고 모든 것이 꿈같았다.”(회고록 中)

그는 배를 타고 美國으로 되돌아가 家族과 相逢했다. 그를 반긴 건 家族뿐이 아니었다. 한동안 行方이 杳然하다 34個月의 捕虜生活을 마치고 生還한 그는 이미 마을의 스타가 되어 있었다. 그가 板門店에서 美軍에게 넘겨지는 場面과 故鄕에 돌아와 家族과 抱擁을 하는 寫眞 및 記事가 故鄕 오하이오 영스타運의 地域新聞인 ‘영스타韻 빈디케이터’에 실렸다. 마을에 온 뒤에도 地域放送의 인터뷰 要請이 이어졌다. 美國 政府는 그에게 1955年 同性武功勳章을 授與했다.

그가 使用한 便紙는 別途의 封套 없이 접은 後 붙이면 봉인되는 形態의 것으로 便紙 겉封에는 ‘世界平和를 위한 前 中華人民共和國聯合體’ 捕虜收容所에서 보낸 것으로 돼 있다. 封套 오른쪽에는 테이프 자국이 있는데 이는 捕虜收容所에서 檢閱을 마친 表示다. ‘朝鮮人民軍 軍事郵便’ 小人과 함께 ‘美空軍郵便局’의 接受人(印)도 찍혀 있었다.

數十 年 前부터 6·25戰爭 關聯 記錄을 蒐集해 온 朴 館長은 “매클레인 大尉의 後孫이 한 競賣사이트에 내놓은 便紙를 發見하고 後孫에게 6·25戰爭 資料 蒐集家라고 說明한 뒤 어렵게 資料를 넘겨받았다”며 “韓國을 위해 싸운 異國 兵士의 苦惱와 家族에 對한 그리움 等을 보면 平和가 왜 必要한지 切實하게 느낄 수 있다”고 말했다.

張允瀞 記者 yunju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