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敎授님 오늘은 어디 계세요?]“休…休… 敎授님 또 休講이래”|동아일보

[敎授님 오늘은 어디 계세요?]“休…休… 敎授님 또 休講이래”

  • 入力 2005年 11月 29日 03時 01分


코멘트
《서울 所在 大學에서 勤務하다 最近 地方대로 옮긴 A 敎授는 職銜이 많다. 그는 學會와 協會 4곳에서 會長 또는 副會長 職을 맡고 있다. 大統領諮問委員會를 包含해 2個의 政府 委員會에서도 活動하고 있다.

그러나 이른바 ‘社會 스타’인 A 敎授에 對한 學生들의 反應은 싸늘하다. 2週日에 한 番쯤은 아무 말도 없이 休講을 하기 때문. 그의 別名은 ‘밑줄 쫙∼’. A 敎授는 授業 時間의 折半假量을 自身이 지은 冊을 그대로 읽으면서 重要한 대목에 밑줄을 치라는 敎育方式을 固執하고 있다. 그의 期末考査 問題는 몇 年째 비슷하다. 學生들에게 期末考査를 代身해 自身이 所屬한 團體의 行事 參觀記를 쓰도록 한 적도 있다.

서울大 B 敎授는 大學院 授業時間에 主로 學生들에게 發題를 맡기는데 自身이 定한 敎材의 內容조차 把握하지 못하는 境遇가 적지 않다. 그는 지난 學期 期末考査 代身 原書를 飜譯해 오도록 했다. 그는 이 願書의 飜譯을 準備하고 있었다.

1990年代 後半 以後 많은 大學이 ‘評價와 競爭’ 原理를 導入하는 等 熾烈한 生存競爭을 벌이고 있지만 한便에선 變化를 拒否하는 少數의 이른바 ‘농땡이 敎授’들이 남아 있다. 評價는 있지만 ‘信賞必罰’이 없는 탓이다. 》

“一週日에 딱 하루 學校에 나오는 敎授들이 있다”는 서울대 정운찬(鄭雲燦) 總長의 發言을 契機로 本報는 ‘놀고먹는’ 敎授들의 實態를 알아보기 위해 숙명여대 言論情報學部 조정열(趙正烈) 敎授팀에 依賴해 設問調査를 實施했다.

24, 25日 全國 103個 大學生 528名을 對象으로 한 調査에서 應答者의 62.1%인 328名이 鄭 總長 發言에 同意한다고 對答했다.

調査 結果에 따르면 500名(94.7%)의 大學生이 거의 모든 講義가 한 番 理想 休講을 했다고 答했다. 應答者의 折半이 넘는 296名(56.1%)은 補充講義(補强)가 없었다고 對答했다. 學校 行事(179名, 33.9%) 等 公的인 理由보다 敎授 個人 事情(310名, 58.7%)으로 因한 休講이 훨씬 많았다.

特定 敎授 때문에 受講을 抛棄했거나 忌避한 적이 있는 學生도 269名(50.9%)으로 折半이 넘었다. 46%(243名)는 1年 동안 單 한 番도 敎授와 面談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講義 等 敎授 本然의 活動에 對한 學生들의 不滿이 澎湃해 있지만 敎授들의 對外活動은 어느 때보다 活潑하다.

지난해 17代 總選 때 出馬한 敎育者(大部分이 敎授)는 103名으로 16代 總選(55名)에 비해 크게 늘었다. 88個 政府 委員會의 委員 1282名 가운데 現職 敎授는 40%에 이르는 508名이다.

서울大 敎授 200餘 名은 벤처企業에 參與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50名은 벤처企業의 代表를 맡고 있다. 社外理事로 活動하는 敎授도 50名이나 된다. 지난해 學期 中 外遊 規定(20日)을 넘겨 外國에서 滯留한 敎授도 40名에 이른다.

無斷 休講이나 느슨한 講義 等이 좀처럼 容認되지 않는 先進國과는 너무나 對照的인 일들이 이른바 一流 大學에서도 버젓이 이뤄지고 있다.

李在明 記者 egija@donga.com

정세진 記者 mint4a@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