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朝鮮의 잡史|東亞日報

連載 포인트

連載

朝鮮의 잡史

記事 65

購讀 1

人氣 記事

날짜選擇
  • [조선의 잡史]〈65·끝〉여성이 운영권 가졌던 ‘채소전’

    [朝鮮의 잡史]〈65·끝〉女性이 運營權 가졌던 ‘菜蔬田’

    “내가 오랫동안 民間에 있으면서 보니, 農家에서는 菜蔬를 全혀 심지 않아 파 한 抛棄, 부추 한 段도 사지 않으면 얻을 수 없다.” ―정약용, 牧民心書 朝鮮時代에 아무리 먹을 것이 貴했다지만 菜蔬 程度는 실컷 먹었을 거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 朝鮮時代 農夫들은…

    • 2018-09-04
    • 좋아요
    • 코멘트
  • [조선의 잡史]〈64〉침선비의 솜씨가 제법이군

    [朝鮮의 잡史]〈64〉針線婢의 솜씨가 제법이군

    “官廳의 餘種이나 妓生에게 바느질을 시키면 안 된다. 不得已 남의 손을 빌려야 한다면 침비(針婢)를 부르거나 침가(針家)에 가져가서 삯을 주고 맡겨라.” ―정약용 ‘牧民心書’ 官廳 所屬 餘種과 妓生은 本然의 業務가 있으므로 私的인 일을 시키면 안 된다. 바느질감이 있거든 ‘…

    • 2018-08-28
    • 좋아요
    • 코멘트
  • [조선의 잡史]〈63〉정승도 ‘돗자리 짜기’ 창업

    [朝鮮의 잡史]〈63〉政丞도 ‘돗자리 짜기’ 創業

    “시골 선비는 젊어서 過去 工夫를 하다가 合格하지 못하면 吟風弄月을 일삼고, 조금 나이가 들면 돗자리를 짜다가 마침내 늙어 죽는다.” ―김낙행 ‘돗자리 짜는 이야기(織席說)’ 職場人의 終着地가 치킨집人 것처럼, 朝鮮時代 선비의 終着地는 짚신 삼기 아니면 돗자리 짜기였다. 밑천…

    • 2018-08-21
    • 좋아요
    • 코멘트
  • [조선의 잡史]〈62〉사채업자 ‘식리인’의 폐해

    [朝鮮의 잡史]〈62〉私債業者 ‘殖利人’의 弊害

    “近來 百姓들의 弊端이 한두 가지가 아니지만 社債(私債)가 特히 甚합니다. 凶年에 가난하고 憔悴한 百姓들이 먹고살 길이 없어 마침내 모두 富者집으로 몰려가서 私債를 빌려 두 倍의 利子로 갚고 있습니다. … 萬若 갚지 못하고 本人이 먼저 죽으면 期必코 다시 그의 子孫과 親族에게 거둡니다…

    • 2018-08-14
    • 좋아요
    • 코멘트
  • [조선의 잡史]〈61〉불가능을 연기한 환술사와 차력사

    [朝鮮의 잡史]〈61〉不可能을 延期한 幻術士와 借力師

    “주머니를 열고는 더듬어 보게 하였으므로 손을 넣어 더듬었더니 銅錢 다섯 닢만 있었는데 조금 있다가 맨손으로 그 주머니를 열고 움켜 낸 銅錢이 쉰 닢에 가까웠습니다. 그 돈을 다시 거두어 주머니에 넣게 한 뒤 사람을 시켜 다시 더듬게 했더니 또 다섯 닢만 있었습니다.” ―英祖實錄 39…

    • 2018-08-07
    • 좋아요
    • 코멘트
  • [조선의 잡史]〈60〉도량이 컸던 ‘짚신 재벌’

    [朝鮮의 잡史]〈60〉度量이 컸던 ‘짚신 財閥’

    “土亭 李之菡이 고을 使道가 되자 큰 집을 지어서 빌어먹는 百姓을 모여 살게 하고 手工業을 가르쳤다. 가장 손재주 없는 사람은 볏짚을 주고 짚신을 삼게 했다. 하루에 열 켤레를 만들어 팔아 하루 糧食을 마련하고 남는 것으로는 옷을 지어주니, 몇 달 만에 먹고 입을 것이 넉넉해졌다.” …

    • 2018-07-31
    • 좋아요
    • 코멘트
  • [조선의 잡史]<59>유목민의 피가 끓던 ‘백정’

    [朝鮮의 잡史] <59>遊牧民의 피가 끓던 ‘白丁’

    “서울의 푸줏間과 閭閻집에서 不法으로 屠殺하는 것과 郊外(郊外)와 江가 浦口의 푸줏間에서 하루에 잡는 소가 몇百 마리나 됩니다. 八道(八道)를 통틀어 計算하면 하루에 잡는 소가 數千 마리는 될 것입니다.” ―1858年 忠淸兵營界록(忠淸兵營啓錄) 白丁은 高麗時代 楊水尺(楊水尺), …

    • 2018-07-24
    • 좋아요
    • 코멘트
  • [조선의 잡史]<58>소금장수 ‘염상’은 큰돈을 벌었나

    [朝鮮의 잡史] <58>소금장수 ‘念相’은 큰돈을 벌었나

    “鹽田에 가서 소금꾼들과 約定을 하되, 30兩을 鹽田에 맡겨놓고 3年 동안 소금을 받아다가 장사를 하고 3年 後에는 맡겨놓은 돈을 찾아가지 않겠다고 하면 소금꾼들이 틀림없이 좋아라고 應할 것입니다. 소금을 지고 100里 안쪽을 두루 돌아다니되, 값을 當場 받아낼 일이 아니라 외상을 남…

    • 2018-07-17
    • 좋아요
    • 코멘트
  • [조선의 잡史]<57>호랑이 잡는 특공대 ‘착호갑사’

    [朝鮮의 잡史] <57>虎狼이 잡는 特攻隊 ‘捉虎甲士’

    “甲紗(甲士) 朴타내(朴他乃)가 窓을 가지고 나아가서 잘못 찌른 까닭에 虎狼이에게 물려 거의 죽게 되었다. 都承旨 新免에게 命하여 極盡히 藥으로 救護하도록 해 宮闕로 돌아왔으나, 이튿날 縛打내가 죽었다.” ―世祖實錄 38卷 韓半島는 世界的으로 有名한 虎狼이 사냥터였다. 元나라는…

    • 2018-07-10
    • 좋아요
    • 코멘트
  • [조선의 잡史]<56>늙은 형수를 봉양한 약초꾼

    [朝鮮의 잡史] <56>늙은 兄嫂를 奉養한 藥草꾼

    “只今 서울 사람은 걸핏하면 湯藥을 지어 먹지만, 먼 山골짜기에 사는 百姓은 議員과 藥房이 있는 줄도 몰라서 病에 걸리면 누워서 앓기만 하다가 죽기도 하고 살기도 한다.” ―利益 ‘星湖僿說’ 1123年 考慮를 訪問한 宋나라 사람 徐兢에 따르면 高麗 사람들은 病에 걸려도 藥을 …

    • 2018-07-03
    • 좋아요
    • 코멘트
  • [조선의 잡史]<55>19세기 말 전국 보부상이 25만명

    [朝鮮의 잡史] <55>19世紀 末 全國 褓負商이 25萬名

    새우젓 思慮 조개젓 사려, 初봄에 담은 쌀새우는 細蝦젓이요, 移越 오사리는 오젓이요, 五六月에 담은 젓은 六젓이요, 갈에 담은 젓은 秋젓이요, 겨울 山새우는 冬柏젓이오.―보부상의 새우젓 타령 담바고를 사시오 담바고, 平壤에는 一秒요, 江原道라 寧越草요, 平安 成川의 瑞草요, 입맛 …

    • 2018-06-26
    • 좋아요
    • 코멘트
  • [조선의 잡史]<54>잠녀, 고단한 바다의 노동자

    [朝鮮의 잡史] <54>潛女, 고단한 바다의 勞動者

    “미역을 캐는 女子를 潛女(潛女)라고 하는데, 2月부터 5月 以前까지 바다에 들어가 미역을 採取한다… 顚覆을 잡을 때도 이와 같이 한다. 이들은 顚覆을 잡아 官家에서 附與한 驛에 應하고 그 나머지를 팔아서 意識을 마련하였다. 그러므로 潛女 生活의 諫鼓(艱苦)함은 이루 다 말할 수 없었…

    • 2018-06-19
    • 좋아요
    • 코멘트
  • [조선의 잡史]<53>사기장의 사기가 낮았던 이유는

    [朝鮮의 잡史] <53>沙器匠의 士氣가 낮았던 理由는

    “우리나라 陶瓷器는 質樸하고 堅固하지만 中國과 日本에 비하면 水準이 몹시 떨어진다. 中國 陶瓷器는 또 日本 陶瓷器만큼 精巧하지 못하다. 日本 陶瓷器는 종이처럼 얇고 白玉처럼 희며 潤氣가 흐르는 듯하다.” ―‘五洲衍文長箋散稿(五洲衍文長箋散稿)’ 沙器匠은 陶瓷器를 만드는 匠人이…

    • 2018-06-12
    • 좋아요
    • 코멘트
  • [조선의 잡史]<52>집한채 값 시계를 분해하다니

    [朝鮮의 잡史] <52>집한채 값 時計를 分解하다니

    “自鳴鐘이 처음 들어왔을 때, 東來 사람들이 倭人에게 胎葉 감는 法을 배워 서울에 傳했다. 그러나 仔細하지 않아 時計가 있어도 쓸 줄 몰랐다.(중략) 내 叔父 이민철이 조용한 곳에 自鳴鐘을 들고 가 時計 祝 도는 것을 凝視하고는 螺絲를 모두 뽑아 분해했다. 보던 이들이 모두 驚愕했으나…

    • 2018-06-05
    • 좋아요
    • 코멘트
  • [조선의 잡史]<51>목숨 걸고 산을 누빈 채삼군

    [朝鮮의 잡史] <51>목숨 걸고 山을 누빈 채三軍

    “山蔘을 캐는 사람은 許可證을 받고 山에 들어가 풍찬노숙하며 가을과 겨울을 보낸다. 犯, 이리, 곰, 멧돼지를 만나서 여러 番 죽을 고비를 넘기고 온갖 苦生을 겪는다. 山에서 나오면 官員이 주머니와 품속을 뒤진다. 山蔘이 한 조각이라도 나오면 容恕하지 않는다. 모조리 歇값으로 빼앗아 …

    • 2018-05-29
    • 좋아요
    • 코멘트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