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朝鮮의 잡史] <51>목숨 걸고 山을 누빈 채三軍|東亞日報 </51>

[朝鮮의 잡史] <51>목숨 걸고 山을 누빈 채三軍

  • 東亞日報
  • 入力 2018年 5月 29日 03時 00分


코멘트
심마니 망태기. 인삼박물관 제공
심마니 網태기. 人蔘博物館 提供
“山蔘을 캐는 사람은 許可證을 받고 山에 들어가 풍찬노숙하며 가을과 겨울을 보낸다. 犯, 이리, 곰, 멧돼지를 만나서 여러 番 죽을 고비를 넘기고 온갖 苦生을 겪는다. 山에서 나오면 官員이 주머니와 품속을 뒤진다. 山蔘이 한 조각이라도 나오면 容恕하지 않는다. 모조리 歇값으로 빼앗아 官廳에 들이고, 進上한다는 핑계로 全部 제 주머니를 채운다.”―목민심서

심마니는 반드시 무리 지어 다닌다. 山속에서 며칠, 몇 달 동안 먹고 자며 山蔘을 찾는 일은 혼자서는 不可能하다. 疊疊山中에서 山짐승보다 더 무서운 것은 사람이다.

許可 없이 山蔘을 캐는 行爲는 不法이다. 密輸꾼으로 看做하여 逮捕된다. 山蔘은 全部 沒收되고, 死刑까지 當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온갖 징크스가 생겼다. 山蔘을 캐러 갈 때는 家族에게도 알리지 않는다. 入山 前부터 沐浴齋戒하고 飮食을 가리며 女子를 가까이하지 않는다. 山에 到着하면 祭祀부터 지낸다.


심마니 無理는 徹底한 階級社會였다. 老鍊한 심마니가 ‘어인(御人)’이라는 우두머리 노릇을 하고, ‘소댕이’로 불리는 初步者는 雜일을 도맡았다. 自己들끼리만 통하는 말을 써서 普通 사람들은 알아듣지 못했다.

山蔘을 캐는 時期는 處暑(8月 末)부터 韓로(10月 初)까지다. 山蔘을 發見하면 ‘심봤다’라고 외친다. 山蔘은 무리 지어 자라므로 周圍에 또 다른 山蔘이 있을 可能性이 높다. ‘심봤다’라고 외친 사람이 優先權을 갖는 것이다. 그가 搜索을 마쳐야 나머지 심마니들의 次例가 온다.

元來 우리나라 山蔘은 慶北 慶州 一帶에서 나는 ‘羅衫(羅蔘)’을 으뜸으로 친다. 그러나 나삼은 朝鮮後期에 오면 씨가 말라버린다. 그 다음이 平安道 江界의 ‘江蔘(江蔘)’, 咸鏡道의 ‘北蔘(北蔘)’이다. 中國産 ‘호삼(胡蔘)’은 最下品이다.

山蔘이 많은 곳은 平安道와 咸鏡道의 國境地帶이다. 國境을 넘으면 더 많지만, 發覺되면 死刑이다. 潛入하는 데 成功하더라도 또 다른 難關이 기다리고 있다. 中國 심마니다. 銃과 활로 武裝하고 數十 名씩 무리 지어 다녔다. 朝鮮軍과 戰鬪를 벌이거나 民家를 掠奪하는 일도 서슴지 않았다. 朝鮮 사람도 國境을 넘어 山蔘을 캐다가 죽거나 다치곤 했다. 外交 問題까지 되기도 했다. 山蔘은 이 모든 危險을 무릅쓸 價値가 있었다.

中國 심마니 말고도 操心해야 할 것이 또 있다. 同僚 심마니다. 영평(現在의 京畿道 抱川)의 심마니 金 氏는 同僚 두 사람과 山蔘을 캐러 白雲山에 들어갔다가 絶壁에 버려졌다. 同僚들은 金 氏가 캐어서 올려 보낸 山蔘만 챙겨 달아났다. 金 氏는 남은 山蔘을 먹으며 예닐곱 날을 버티다 느닷없이 나타난 구렁이에게 매달려 絶壁을 올라왔다. 山을 내려가던 金 氏는 屍身 2具를 發見했다. 毒草를 먹고 죽은 同僚 심마니였다. ‘靑邱野談(靑邱野談)’에 나오는 이야기다. 國家의 保護조차 받지 못하고, 同僚조차 믿을 수 없는 심마니는 목숨을 건 職業이었다.

苦生해서 山蔘을 캐도 심마니에게 돌아가는 몫은 別로 없다. 人蔘 商人은 歇값에 山蔘을 사들여 使臣段을 따라 中國에 가서 팔거나 東來 倭館의 日本人들에게 팔아 엄청난 利益을 보았다. 예나 只今이나 危險을 무릅쓰는 사람과 利得을 보는 사람은 따로 있다.
 
장유승 檀國大 東洋學硏究원 責任硏究員
#심마니 #채三軍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