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8個 部處 2月부터 段階的 交替 可能性|東亞日報

5~8個 部處 2月부터 段階的 交替 可能性

  • 入力 2005年 11月 23日 03時 05分


코멘트
李海瓚 國務總理가 21日 來年 初 改閣 可能性을 밝힘에 따라 改閣 時期와 幅에 關心이 쏠리고 있다. 黨 復歸나 來年 地方選擧 出馬를 노리는 長官들과 마찬가지로 入閣을 準備하는 政治權 人士들도 바빠지고 있다. 大統領人事首席室에서는 每달 ‘長官 承繼計劃(succession plan)’ 報告書를 作成해 2個 部處 程度의 候補群을 大統領에게 報告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改閣을 앞두고 別途의 人物 物色 作業을 벌일 必要가 없다는 것이다.

▽改閣 時期는=개각 時期에 影響을 미치는 變數는 △定期國會 日程 △來年 2月 18日 열린우리당 全黨大會 △來年 2月 25日 노무현 大統領 就任 3周年 △來年 5月 31日 地方選擧 等 크게 네 가지.

22日 靑瓦臺의 한 關係者는 “于先 定期國會가 마무리돼야 하며 地方選擧 出馬者들이 대충 輪廓이 잡혀야 本格的인 改閣의 틀을 짤 수 있다”고 말했다. 열린우리당 全黨大會 以後 指導部 構成 結果에 따라 地方選擧 出馬者들이 나설 것이라는 點에 비춰 보면 改閣은 2月 下旬頃 이뤄질 可能性이 높다.

이에 따라 改閣이 一括的으로 이뤄지지 않고 來年 2月을 前後로 段階的으로 있을 것이라는 觀測도 나온다. 黨 復歸가 旣定事實化된 鄭東泳(鄭東泳) 統一部 長官과 김근태(金槿泰) 保健福祉部 長官이 全黨大會 前 黨에 돌아오면서 小幅 改閣이 있은 뒤 全黨大會 結果에 따라 後續 改閣이 이뤄질 것이라는 觀測이다.

現在까지 改閣 幅은 5∼8個 部處 程度일 것으로 豫想되고 있으나 年末 國務調整室의 部處 業務實績 評價 結果 等에 따라 더 擴大될 可能性도 있다.

盧 大統領이 來年 初부터 2月 25日 사이 發表하겠다는 ‘未來 國政構想’도 改閣 時期나 幅과 密接한 關聯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이番 改閣부터는 國務委員 人事聽聞會 日程도 考慮해야 한다.

▽누가 擧論되나=정 長官 後任에는 열린우리당 임채정(林采正) 문희상(文喜相) 議員, 秋美愛(秋美愛) 前 民主黨 議員, 이종석(李鍾奭) 國家安全保障會議(NSC) 事務次長 等이 擧論되고 있다.

保健福祉部 長官 候補로는 유시민(柳時敏) 議員이 物望에 오른다. 劉 議員의 立脚說에 對해서는 本人이 뜻이 있고 大統領도 拒否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觀測이지만 黨內 反撥도 만만치 않다.

이 外에 金振杓(金振杓) 敎育部總理와 李在鎔(李在庸) 環境部, 吳巨敦(吳巨敦) 海洋水産部, 오영교(吳盈敎) 行政自治部 長官 等은 地方選擧 出馬 때문에, 汚名(吳明) 科學技術副總理 等은 任命된 지 2年 가까이 돼 該當 部處의 改閣이 擧論되고 있다. 後任 敎育副總理 또는 科技副總理에는 김우식(金雨植) 前 大統領祕書室長 起用說이 있다.

千正培(千正培) 法務部 長官과 윤광웅(尹光雄) 國防部 長官은 留任 可能性이 높은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정동채(鄭東采) 文化관광부 長官이 黨으로 돌아올 境遇 黨에서는 李美卿(李美卿) 김부겸(金富謙) 議員 等이 後任으로 擧論되고 있다.

丁世均(丁世均) 黨議長의 境遇 經濟部處 立脚說이 있으나 全黨大會까지 議長職을 물러날 수 없다는 限界가 있다.

정연욱 記者 jyw11@donga.com

장강명 記者 tesomio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