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열린 마음이 이끄는 새로운 宇宙[이기진 敎授의 만만한 科學]|東亞日報

열린 마음이 이끄는 새로운 宇宙[이기진 敎授의 만만한 科學]

  • 東亞日報
  • 入力 2021年 1月 1日 03時 00分


코멘트
이기진 서강대 물리학과 교수
이기진 西江大 物理學科 敎授
인터넷으로 講義를 했던 지난 1年이 지나갔다. 大學에선 줌을 통한 인터넷 講義가 익숙한 方法으로 자리 잡았고, 學問的인 面에서도 이제는 줌을 통해 國內外 學者들과 自然스럽게 交流하고 있다. 飛行機를 타지 않고도 世上 곳곳의 學者들을 便安한 時間에 만날 수 있다.

한 學生이 “저희는 줌을 통해서 親舊들과 함께 술도 마셔요. 재미나요”라고 이야기한다. 나 亦是 멀리 地方에 있는 同窓들과 畫像으로 오래간만에 술 한盞했다. 컴퓨터 모니터 앞에서 술 한 盞을 놓고 서로 웃고 떠들고 이야기하는 風景을 누가 想像이나 했겠는가.

日常的으로 해오던 慣性에서 벗어나게 되면 처음에는 生疏하고 不便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덤으로 새로운 재미를 發見하기도 하고 可能性을 찾기도 한다. 이런 變化에 對해 恒常 門을 열어 놓아야 한다. 그 變化에 柔軟해야 한다. “한番 해보지, 뭐!” 하는 마음과 好奇心이라는 열린 마음, 이런 肯定的인 마음가짐이 우리를 새로운 世上으로 이끈다.

지난해 新種 코로나바이러스로 온 地球가 停止했던 것처럼 보이지만 科學界는 얼음 밑의 江물처럼 悠悠히 흐르고 있었다. 地球의 挑戰은 宇宙로 向했다.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는 民間 有人 宇宙船 ‘크루드래건’을 쏘아 올려 國際宇宙停車場과의 도킹에 成功했고 더 나아가 火星에 有人 宇宙船을 보내는 프로젝트도 推進 中이다. 이제는 어느덧 火星에 宇宙船을 着陸시킬 수 있는 段階가 되었다. 美國, 유럽聯合, 러시아, 印度뿐 아니라 中國, 아랍에미리트도 活潑한 火星 探査에 挑戰하고 있다. 머지않아 火星은 地球와 가장 친숙한 行星이 될 것이다. 小行星 ‘流口’에 着陸한 日本 探査船은 表面이 아닌 深層土壤을 採取해 地球로 가져왔고, 小行星 ‘베누’에 着陸한 美國 探査先導 土壤을 採取해 地球로 오고 있다. 中國은 달 土壤을 採取해 地球로 돌아왔다. 이는 옛 蘇聯에 이어 두 番째다. 우리는 이 같은 外界 行星 硏究로 太陽系 形成의 祕密에 漸漸 다가가고 있다.

살아가기도 힘든데 왜 宇宙 硏究에 投資해야 하는가라는 質問을 던질 수 있다. 하지만 只今 우리가 이렇게나마 누리고 있는 것은 不足했던 時節 未來를 보고 基礎科學에 投資했던 結果다. 半導體, 배터리, 디스플레이, 自動車 等. 科學 發展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질 수 없다. 코로나 백신 開發도 마찬가지다. 先進國의 例로 確認할 수 있듯 基礎科學에 對한 持續的인 投資家 뒷받침돼야 可能한 일이다. 只今 우리가 先進國의 宇宙開發 硏究를 無關心하게 바라봐서는 안 되는 것도 이런 理由 때문이다.

地球上에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주어진 時間은 어디까지나 똑같은 時間이다. 相對的으로 느리고 빠르게 느껴질 수는 있지만 1分은 1分이고, 한 時間은 한 時間이다. 얼마나 所重한 時間인가. 어려운 時期이지만 未來를 위한 基礎科學에 時間을 投資해야 한다는 것이 그 무엇보다도 重要하다고 꾹꾹 눌러 적어본다. 새해 아침이다.

이기진 西江大 物理學科 敎授
#줌 #스페이스x #코로나 #宇宙 #基礎科學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