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岐路에 선 車勞組의 慣性罷業[現場에서/김도형]|동아일보

岐路에 선 車勞組의 慣性罷業[現場에서/김도형]

  • 東亞日報
  • 入力 2019年 12月 20日 03時 00分


코멘트
기아자동차 광주공장에서 셀토스를 생산하는 모습. 기아자동차 제공
기아자동차 光州工場에서 셀토스를 生産하는 모습. 起亞自動車 提供
김도형 산업1부 기자
김도형 産業1部 記者
기아자동차 勞動組合이 結局 罷業 카드를 꺼내 들었다. 18日 晝夜間組 2時間씩의 部分 罷業에 이어 19日에는 4時間씩의 部分 罷業을 벌였다. 罷業은 勞動者의 正當한 權利다. 熱心히 일한 만큼 그에 걸맞은 待遇를 要求할 수 있고, 協商이 제대로 안 되면 節次에 따라 罷業할 수 있다. 하지만 起亞車의 이番 罷業 決定 過程을 보면 論理나 正當性 面에서 首肯하기 어려운 게 많다.

起亞車 勞組와 社側은 10日에 2019年 賃金協商 暫定 合意案을 만들었다. 基本給 4萬 원 引上(號俸 昇給 包含) 等 거의 모든 條件이 兄弟死因 현대自動車와 同一한 水準이었다. 그래서 合意를 한 것이다. 하지만 13日 組合員 贊反 投票에서 이 合意案은 否決됐다. 勞組 執行部는 結果가 이렇게 나오자마자 갑자기 ‘組合員들이 執行部를 審判한 것’이라고 했다. 賃金協商에서 努力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고 交涉으로 整理하는 모습을 보였다는 自我批判과 함께 말이다. 그리고 뭔가 보여주려는 듯 罷業 카드를 꺼내 들었다. 勞組 執行部는 “社側의 傲慢放恣한 行動에 强力하게 對應하라는 것이 組合員의 意見이고 組合員의 뜻을 無視하는 社側의 行動에 警告할 것”이라고 主張했다.

그런데 뭐가 無視高, 뭐가 傲慢放恣한 것일까. 當初에 마련된 合意案은 勞使가 함께 만든 것이었다. 年內 賃金協商 마무리를 公約으로 내걸고 當選된 새 勞組 執行部가 同意한 內容이다. 組合員 投票에서 合意案이 否決됐다고 해서 執行部가 社側에 對해 ‘無視’ ‘傲慢放恣’를 외치기엔 느닷없다. 合意案이 만들어지는 過程에서 다른 雜音이 別로 없었다는 點에서 더 그렇다.

起亞車 안팎에서는 合意案이 否決되자 ‘또 罷業하겠군’이라는 展望이 自然스레 나왔다. 合意案이 否決됐으니 罷業으로 實力을 行使해야 다시 協商 테이블에 앉았을 때 힘을 얻는 게 只今까지의 慣例였던 것이다. 實際로 勞組는 이틀間 罷業 뒤 20日에 다시 交涉에 나서기로 했다. 이쯤 되면 必要에 依한 罷業이 아니라 ‘學習된 罷業’ 아닌가 싶은 생각도 든다.

合意案이 否決되면 새 協商을 進行하면 된다. 많은 會社에서 그렇게 한다. 會社와 마주 앉기도 前에 罷業 旗발을 一旦 들고 보는 것은 名分도 說得力도 없다.

韓國 自動車 産業의 맏兄으로 꼽히는 現代車 勞組는 올해 8年 만에 紛糾 없이 賃金 및 團體協約 協商을 마무리 지으며 큰 拍手를 받았다. 올해 새로 當選된 現代車 勞組 執行部는 ‘뻥罷業’, ‘묻지 마 鬪爭’을 이제 組合員들도 食傷해한다고 分析했다. 無條件 罷業으로 對應하는 旣存 鬪爭 方式이 地域社會와 國民들에게 더 以上 呼應을 얻지 못한다는 冷靜한 現實 認識의 結果다. 習慣的 罷業은 武器로서의 威力도 떨어진다.

自動車 産業이 사느냐 죽느냐의 轉換期에 들어선 건 周知의 事實이다. 單純히 産業만이 아니라 그 産業에 屬한 企業의 勞組 亦是 慣性에 따를 것인지, 새롭게 變化할 것인지의 갈림길에 서 있다.

김도형 産業1部 記者 dodo@donga.com
#起亞自動車 #勞動組合 #賃金協商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