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날씨 이야기]겨울비에 갇힌 고갱과 고흐|東亞日報

[날씨 이야기]겨울비에 갇힌 고갱과 고흐

  • 東亞日報
  • 入力 2019年 11月 30日 03時 00分


코멘트
차상민 케이웨더 공기지능센터장
차상민 케이웨더 空氣知能센터長
날씨 때문에 집 안에 갇히면 답답함은 말할 것도 없고, 사람들과 함께 지내는 時間이 길어질수록 豫想치 못한 葛藤과 苦痛에 直面하게 된다. 가장 가깝다고 여겼던 親舊나 甚至於 家族까지도 갑작스러운 環境 變化로 같은 空間에서 지내다 보면 익숙지 못한 狀況과 낯선 모습에 서로 부딪치며 種種 傷處를 주기도 한다.

우리는 살면서 暴雨에 갇히기도 하고 暴雪로 꼼짝달싹 못 하기도 한다. 요즘에는 微細먼지가 우리의 발목을 잡는다. 이제 곧 겨울이 本格的으로 始作되는 12月인데, 언제부턴가 우리는 추위보다 微細먼지 때문에 野外活動이 힘든 겨울을 더욱 걱정하게 됐다.

날씨에 갇힌 狀況에서 賢明하게 生活하는 智慧를 示唆하는 두 가지 對立되는 에피소드가 있다.

後期 印象主義의 代表的 畫家인 고갱과 고흐는 1888年 겨울 프랑스 南部의 아를에 있는 ‘노란집’이라 불린 作業室에서 두 달間 함께 生活한 적이 있다. 畫家들의 共同體를 만들어 함께 創作하고 生活하는 것을 꿈꾸어 왔던 고흐는 平素 尊敬했던 고갱을 自身의 作業室로 招待했다. 남프랑스 都市 아를은 1年에 300日 以上 太陽이 灼熱하는 곳이었지만 이들이 함께 生活한 11月 初에서 12月 23日 사이에는 無慮 20日 넘게 비가 내렸다. 겨울비에 갇힌 이들은 作業室에서 함께 作業에 沒頭하면서 서로의 모습을 그려주기도 하고 自畫像을 獻呈하기도 했지만 漸次 서로의 作品에 干涉하면서 葛藤의 골이 깊어졌다. 特히 契機가 된 것은, 고갱이 그린 ‘해바라기를 그리는 고흐’에 對해 고흐가 非難을 퍼부으면서 둘 間의 關係는 돌이킬 수 없게 惡化됐다. 及其也 고흐는 面刀칼로 自身의 왼쪽 귀를 잘라버리는 發作을 일으켰다.

英國의 代表的인 浪漫派 詩人인 바이런과 셸리는 1816年 여름 스위스 제네바의 ‘디오다티 別莊’에서 함께 지냈다. 그해 여름은 겨울 날씨와 같았고 차가운 비가 쉴 새 없이 내려 이들 一行은 別莊에 갇히게 된다. 一行에는 바이런의 主治醫 존 폴리道理, 셸리의 婦人인 메리가 있었는데 바이런은 이들에게 怪奇小說을 쓸 것을 提案한다. 이들은 서로에게 干涉하기보다는 自身의 作品 世界에 沒入했다. 고갱과 고흐가 서로를 直接 마주보며 人格의 민낯을 드러냈다면 바이런과 셸리 一行은 各自의 作品을 통해 間接的으로 交感하면서 서로의 人性과 感情이 直接 부딪치는 것을 避했다. 으스스한 날씨에 갇혀 이들이 만들어낸 作品들은 後에 드라큘라 伯爵, 프랑켄슈타인 等으로 發展해 世上에 알려지게 된다.

微細먼지가 憂鬱症과 自殺을 誘發할 수 있다는 硏究 結果들이 發表되고 있다. 憂鬱症에 作用하는 微細먼지의 醫學的 忌祭는 且置하더라도, 微細먼지로 인해 집 안에 머물며 비롯되는 사람들 間의 葛藤 關係에서는 賢明한 智慧가 必要한 季節이다. 國家氣候環境會議는 11日 ‘微細먼지 國民 參與 行動 勸告’를 통해 微細먼지가 ‘나쁨 狀態’(m³黨 36∼75μg)일지라도 正常的인 野外 活動을 할 것을 勸告하고 있으니 微細먼지에도 不拘하고 活潑한 頂上 生活을 維持하는 것이 좋겠다.
 
차상민 케이웨더 空氣知能센터長
#暴雨 #고흐 #고갱 #印象主義 #노란집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