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現地人에 精神的 에너지 供給하는 ‘靈魂의 쉼터’ 자리매김”|동아일보

“現地人에 精神的 에너지 供給하는 ‘靈魂의 쉼터’ 자리매김”

  • 東亞日報
  • 入力 2019年 1月 21日 03時 00分


코멘트

[宗敎人 新年 인터뷰]〈4·끝〉圓佛敎 獨逸 쾰른 敎堂 李源祚 敎務

이원조 교무가 독일 쾰른 교당 행사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이원조 교무 제공
李源祚 敎務가 獨逸 쾰른 敎堂 行事에서 人事말을 하고 있다. 李源祚 敎務 提供
圓佛敎 쾰른敎堂과 一圓圓佛敎禪센터는 獨逸의 由緖 깊은 都市 쾰른에서 東洋의 선(禪)과 佛敎를 傳하는 象徵的인 空間이다. 垈地 3305m²(藥 1000坪)에 周邊에 1萬3223m²(藥 4000坪)의 自然숲이 들어서 있다. 30分 以內의 距離에 쾰른大聖堂과 벤스베르크性, 市廳舍 建物이 있다. 2007年 赴任한 李明姬 敎務(66)가 道場 再建築과 整備를 했고, 2008年에는 姊妹인 李源祚 敎務(60)가 合流했다. 地域 敎堂의 敎務와 圓佛敎新聞 記者로 活動하다 나이 五十에 海外 布敎에 나선 李源祚 敎務를 e메일을 통해 만났다.

―現地 活動은 어떻게 進行되나.

“2008年 先센터 開院式을 가진 뒤 現地人 敎化(敎化)를 위해 다양한 그룹을 對象으로 한 冥想프로그램을 年中無休로 進行한다. 宗敎聯合祝祭, 마을祝祭, 女性 및 障礙人 團體와 結合된 行事도 開催한다.”

―西洋에서 佛敎는 宗敎라기보다는 冥想으로 여겨진다.

“쾰른 敎堂은 獨逸 現地人을 敎化 對象으로 삼고 있다. 現在 敎堂에 入敎한 사람은 25名 程度다. 처음에는 冥想프로그램에 對한 好奇心으로 接近하다 나중에는 圓佛敎 敎導로 活動하는 境遇가 大部分이다.”

―海外 布敎의 가장 큰 어려움은 무엇인가.

“言語 問題다. 글을 읽고 쓰고 말하는 데 不便함이 없는 것 같았는데, 獨逸 땅을 밟는 瞬間 文盲이 됐다. 僑胞들조차 ‘왜 그렇게 어려운 길을 擇했느냐’라고 한다. 뒤집어 생각하면 ‘말이 다 통하는 韓國 사람들은 다 敎化가 됐느냐’고 反問할 수 있다. 眞實한 마음으로 信賴感을 얻을 수 있다면 말이 좀 서툰 것은 도움을 받으며 풀어갈 수 있는 問題다.”

―뒤늦게 始作한 海外 布敎의 어려움을 알 수 있는 에피소드가 있나.

“아주 추운 날 燃料로 쓰는 가스桶이 비어 注文을 했더니 보름 만에 午前 6時에 配達이 됐다. 추위에 떨다 ‘이러다 얼어 죽으면 누가 와서 볼 사람은 있나’ ‘굶어죽으면 누가 올까’ 하는 생각도 해봤다.”

―海外 布敎의 原則은 무엇인가.

“于先 敎法精神을 充實하게 익히고 實踐하는 것, 다양한 文化에 對한 受容과 理解, 自身의 몸과 마음을 잘 管理하는 것이 基本이다.”

―쾰른 敎堂의 向後 計劃은….

“獨逸 現地人들은 이곳에서 文化 逆現象이 일어난다고 評價한다. 韓國人이 獨逸文化를 익히는 게 아니라 自身들이 이곳에 와서 韓國과 圓佛敎의 文化를 받아들인다는 意味다. 이미 地域 內에서 精神의 새 에너지를 供給하는 主要 場所로 여겨지고 있다. 유럽 內에서 時代精神을 이끌어가는 圓佛敎禪센터로 발전시키고 싶다.”

―經典 中 좋아하는 句節이 있다면….

“圓佛敎 敎祖 소태산(박중빈·1891∼1943)께서는 이미 100年 前에 ‘物質이 開闢되니 精神을 開闢하자’고 하셨다. 10%의 사람이 世上 物質의 90%를 차지하고, 90%의 사람이 남은 10%의 財貨를 나눠 쓴다. 그 까닭에 수많은 難民이 發生하고 飢餓와 疾病, 戰爭의 苦痛이 到處에 있다. 저를 包含한 世上 사람들이 開闢精神으로 거듭날 수 있기를 念願한다.”
 
김갑식 文化專門記者 dunanworld@donga.com
#靈魂의 쉼터 #圓佛敎 #李源祚 敎務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