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冊의 香氣]日 卑下로 엿본 韓國의 콤플렉스|東亞日報

[冊의 香氣]日 卑下로 엿본 韓國의 콤플렉스

  • 東亞日報
  • 入力 2020年 1月 4日 03時 00分


코멘트

[그때 그 베스트셀러]1994年 綜合베스트셀러 1位 (교보문고 基準)
◇日本은 없다/전여옥 지음/352쪽·6000원·지식공작소

신동해 웅진씽크빅 단행본사업본부 편집주간
신동해 熊進씽크빅 單行本事業本部 編輯主幹
“요즘 女子들은 영 家庭生活에 神經을 쓰지 않는다. 아이들에게 따뜻한 도시락을 싸주는 代身 便宜店에서 쉽게 사서 먹인다. 게다가 外國 男子라면 아주 四足을 못 쓴다. 어찌나 名品을 좋아하는지 名品 會社의 社長이 每年 監査를 표할 程度다. 아이를 낳지도 않아서 나라의 未來가 不安하며, 男便이 停年이 되길 기다렸다가 離婚狀을 내밀기도 한다. 女子들만 問題가 아니다. 情이 刻薄해져서 모두 같이 밥을 먹고도 제各各 돈을 나눠 내는 文化가 一般化되었고 TV만 틀면 먹放이 亂離다. 이렇게 非人間化된 社會가 어찌 될까 걱정이다. 겉보기에만 잘사는 나라일 뿐, 先進國 技術을 베껴 써먹던 時代는 이제 지나가고 個性 있는 製品들로만 競爭할 수 있을 텐데 未來가 不透明하다.”

어디서 많이 듣던 얘기다. 우리나라 얘기 같지만 冊 ‘日本은 없다’에 나오는 日本 批判이다. 1993年 11月 當時 言論인이던 전여옥 氏가 出刊한 ‘日本은 없다’는 곧바로 밀리언셀러가 되면서 이듬해 綜合베스트셀러 1位에 오른다. 사람들은 “그럼 그렇지” 하며 日本에 對한 콤플렉스를 애써 눌렀다.

김진명 作家의 ‘無窮花꽃이 피었습니다’가 鬱憤의 民族魂을 小說 形式으로 吐해낸 것이라면 그 對象을 日本으로 돌렸을 때는 또 다른 베스트셀러가 나왔다. 이어령 先生의 ‘縮小志向의 日本人’을 筆頭로 ‘菊花와 칼’ ‘畿湖의 帝國’ 等 壁안(碧眼)을 통해서도 日本을 파헤쳐 보려 했다. ‘日本은 없다’가 히트를 친 後 곧바로 서현섭의 ‘日本은 있다’가 나온 것은 當然한 手順이었을 것이다. 우리는 至日 克日 反日 혐일의 錘를 오가며 日本을 消化해 내려 했다.

이제 그런 日本은 없다. 애써 日本과 우리를 여러 틀로 比較하고 우악스럽게 單純化하던 時節은 갔다. 앞서 말한 저 日本 批判을 그대로 우리 社會에 써먹는 ‘꼰대’의 存在가 反證하듯 日本性(日本性)을 찾아내려는―아울러 그 거울像(像)으로 우리 民族性을 찾아내려는―많은 試圖는 그저 허깨비 놀음일 뿐이다.

우리 社會의 名品 消費와 低出産과 ‘먹放’을 한데 묶어 批判할 수 있는 용자(勇者)는 많지 않을 것이다. 1990年代 日本 關聯 베스트셀러의 目錄은 當時 우리의 콤플렉스와 欲望을 보여줄 뿐이다. 日本을 仔細히 알게 되면 틀은 必要치 않다. 한 해 數百萬 名이 日本을 드나드는 오늘날 ‘있다’ 或은 ‘없다’로 ‘퉁 칠’ 수 있는 日本은 없다.

‘日本은 없다’는 以後 著者와 유재순 氏 間의 剽竊 論難으로 다시 한番 有名해진다. 以後 法院은 著者인 전여옥 氏가 一部 剽竊했음을 認定했다. 공교롭게도 ‘日本은 없다’가 出刊된 해에 日本에서도 ‘醜한 韓國人’이라는 嫌韓(嫌韓) 冊이 出刊돼 베스트셀러가 된다. 韓國人이 쓴 것처럼 꾸몄지만 著者가 日本人임이 밝혀져 이 冊 亦是 論難에 휩싸인다. 베스트셀러는 그 社會 欲望의 指標다.

신동해 熊進씽크빅 單行本事業本部 編輯主幹
#日本은 없다 #田麗玉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