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람이 춤추고 서늘한 소나무 숲길… 그 끝에서 부처를 만나다|동아일보

바람이 춤추고 서늘한 소나무 숲길… 그 끝에서 부처를 만나다

  • 東亞日報
  • 入力 2018年 7月 11日 03時 00分


코멘트

[유네스코 世界文化遺産, 韓國의 山寺를 가다]
<1> ‘佛敎文化財의 報告’ 梁山 通度寺

부처의 진신사리를 모신 통도사 금강계단. 가운데 종 모양의 부도 안에 진신사리가 있다. 송광사, 해인사와 더불어 3보 사찰로 꼽히는 통도사는 국보 제290호인 대웅전과 금강계단을 포함해 보물 18점, 경남유형문화재 50점을 보유한 불교 문화재의 산실이다. 양산=박경모 기자 momo@donga.com
부처의 眞身舍利를 모신 通度寺 金剛戒壇. 가운데 鐘 模樣의 浮屠 안에 眞身舍利가 있다. 松廣寺, 海印寺와 더불어 3報 寺刹로 꼽히는 通度寺는 國寶 第290號인 大雄殿과 金剛戒壇을 包含해 寶物 18點, 慶南有形文化財 50點을 保有한 佛敎 文化財의 産室이다. 量産=박경모 記者 momo@donga.com

《 ‘山寺(山寺), 韓國의 山地僧院’ 7곳이 지난달 30日 유네스코 世界文化遺産으로 登載됐다. 이 寺刹들은 1000年 넘는 歷史를 이어오는 信仰·水道·生活 機能이 이어진 綜合僧院이자 各種 文化財가 가득한 文化遺産의 報告다. 동아일보는 韓國의 13番째 世界文化遺産으로 登載된 査察 7곳의 아름다운 모습과 숨은 歷史를 시리즈로 紹介한다. 》
 
통도사 대웅전에는 다른 사찰과 달리 불상이 없다. 그 대신 부처의 사리를 모신 금강계단을 볼 수 있도록 한쪽 벽면을 유리로 만들었다. 양산=박경모 기자 momo@donga.com
通度寺 大雄殿에는 다른 査察과 달리 佛像이 없다. 그 代身 부처의 舍利를 모신 金剛戒壇을 볼 수 있도록 한쪽 壁面을 琉璃로 만들었다. 量産=박경모 記者 momo@donga.com

장맛비가 오락가락 내린 9日 慶南 梁山市 通度寺. 入口에 들어서자 鬱蒼한 소나무 숲길이 가장 먼저 人事를 건넨다. ‘無風한송로(舞風寒松路)’라는 이름처럼 바람이 춤추고 서늘한 소나무가 가득한 길. 시끌벅적한 바깥世上과 斷絶되는 듯한 奧妙한 氣分을 膳賜한다.

길의 끝자락에 다다르면 通度寺에 施主한 이들의 이름을 새겨 넣은 바위 조각들이 오른쪽에 쌓여 있다. 쉽사리 지나치기 쉽지만, 檀園 金弘道(金弘道·1745∼?)와 그의 스승인 김응환(金應煥)의 이름도 새겨져 있다. 歷史 속 이름을 찾아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숲길을 지나 一柱門을 건너 四天王門 사이로 들어섰다. 通度寺 전각과 영축산 戰警이 한 눈에 들어온다. 通度寺는 크게 賞·中·下 盧前으로 나뉜다. 646年 新羅 慈藏律師가 創建한 뒤 高麗와 朝鮮時代를 거치며 持續的으로 重建·重修되면서 規模가 繼續해서 커졌기 때문이다.

東西로 이어지는 移動 軸을 따라 가장 먼저 하노전이 登場한다. 오른便에 位置한 極樂寶殿에는 ‘반야龍船(般若龍船)’이란 壁畫가 그려져 있다. 僧侶와 百姓이 배를 타고 極樂世界로 떠나는 모습을 담았다. 仔細히 보면, 뱃사람 가운데 한 名만 뒤를 돌아보고 있다. 俗世에 未練이 남아 이승을 바라보는 것. 寺刹은 이런 ‘숨은 코드’를 찾아보는 즐거움이 있다.

下노전의 中心 殿閣人 영산전(寶物 第1826號)에는 釋迦牟尼의 一生을 그린 八相도(보물 第1041號)가 걸려 있다. 通度寺는 팔상도를 비롯해 佛敎繪畫 作品만 600餘 點을 所藏한 寶物倉庫. 이날 同行한 文化財委員會 委員인 明法 스님은 “通度寺에는 예부터 有名 和承(畵僧)들이 系譜를 이을 程度로 文化·藝術의 價値를 重視했던 寺刹”이라고 說明했다.

本堂에 들어서는 마지막 門인 不二門(不二門)을 지나면 寺刹의 가운데 空間인 重노전이 登場한다. 여기엔 스님들이 實際 遂行을 하는 空間인 ‘원통방(圓通房)’이 있다. 每日 午前 6時 通度寺 스님들이 다같이 鉢盂供養을 드리고, 經典 工夫 等을 進行한다. 內部로 들어가 보니 寺刹의 가장 큰 어른인 방장(方丈) 스님부터 막내 스님의 자리까지 壁面에 位置가 標示돼 있다.

明法 스님은 “日本의 山社들은 外形的 傳統은 維持하고 있지만 僧侶들이 出退勤을 하면서 生活 機能을 잃었고, 中國은 文化大革命 等 굴곡진 現代史를 거치면서 傳統 佛敎의 命脈이 끊기다시피 했다”며 “通度寺는 1000年이 넘는 時間 동안 傳統的인 信仰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한 佛敎의 살아있는 歷史를 보여주는 空間”이라고 말했다.

마지막 床奴前으로 가면 通度寺의 代表 文化財인 大雄殿과 金剛戒壇(國寶 第290號)을 만날 수 있다. 通度寺 大雄殿은 다른 寺刹의 中心 전각과 달리 佛像이 없다. 부처의 眞身舍利(眞身舍利)를 모셔 놓은 金剛戒壇을 바라볼 수 있게 한쪽 壁面을 뚫어놨기 때문이다. 四角形 2重 基壇으로 構成된 金剛戒壇은 소나무 숲과 大雄殿에 둘러싸여 아늑하다. 볼록한 鐘 模樣으로, 古代 印度의 不渡와 같은 모습이다.

잠깐 발걸음과 숨소리를 멈췄다. 소나무 숲에선 딱따구리가 ‘똑똑똑’ 나무를 두드리는 소리가 들려왔다. 마침 正刻마다 遂行을 알리는 木鐸소리도 함께 퍼져나갔다. 自然과 文化遺産, 살아있는 信仰의 어울림을 한자리에서 確認할 수 있는 곳. 世界遺産의 品格을 지닌 通度寺다.
 
量産=유원모 記者 onemore@donga.com
#유네스코 世界文化遺産 #山寺 #量産 通度寺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