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직 前進만 可能한 체스板의 卒개 ‘폰’… 우리도 所望의 저便에 다다를 수 있을까|동아일보

오직 前進만 可能한 체스板의 卒개 ‘폰’… 우리도 所望의 저便에 다다를 수 있을까

  • 東亞日報
  • 入力 2014年 2月 6日 03時 00分


코멘트

[이달에 만나는 詩]

체스板 兩 끝에 堵列한 두 무리의 軍隊. 그 最前線에는 동그란 머리를 가진 卒개 ‘폰’이 가지런히 閱兵해 있다. 東洋 將棋의 卒(卒)에 該當하는 이 말은 앞으로밖에 나갈 수 없지만 맞은便 체스板의 끝에 到達하면 主敎나 記事로 變身할 수 있다. 普通 다음 數를 위해 犧牲되는 이 卒이 果然 所望해 온 저便 끝에 다다를 수 있을까.

이달에 만나는 詩 2月 推薦作은 손미 是認(32·寫眞)의 ‘폰(Pawn)’이다. 2009年 문학사상 新人文學賞을 받으며 登壇한 詩人의 첫 詩集 ‘洋파共同體’(민음사)에 실렸다. 第32回 金洙暎文學賞 首相詩集이기도 하다. 推薦에는 김요일 손택수 이건청 利原 장석주 詩人이 參與했다.

‘폰’은 詩人이 西洋將棋 체스에서 8個가 한 벌을 이루는 卒개 말에서 時狀을 떠올려 쓴 詩다. 詩人은 “限定된 板 위에서 오직 前進만 可能하고 對角線에 있는 相對 말만 攻擊할 수 있는 法則에 매여 있고, 그 法則을 벗어나면 卽時 反則이 되는 運命의 폰이 우리 삶의 모습과 무척 닮았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詩人의 說明을 듣고 보니 이番 媤집엔 ‘체스’나 ‘체크 메이트’, 또는 ‘죽은 말은 다시 使用할 수 없다’처럼 체스에서 길어 온 듯한 詩 題目이 유난히 자주 눈에 뜨인다.

3聯의 “그리운 것은 언제나 地平線 아래 있습니다”라는 句節에 對해선 “平素 北極을 憧憬했고 琉璃로 만든 폰에서 얼음 이미지를 떠올려 詩 속에서 폰의 目的地를 北極으로 삼았는데, 정작 所望한 곳에 到達해도 所望해 온 對象과 만날 수 없는 슬픔의 情緖를 드러내려 한 것”이라고 說明했다.

推薦委員인 김요일 詩人은 “輕快한 리듬, 透明하지만 깊은 傷處로 아프게 버무려진 이 詩集 속의 破片들은 우리가 아직 냄새 맡지 못한 우리 詩의 새로운 美學으로 오래 展示될 것이다”라고 評했다. 손택수 詩人은 “把握된 것은 더 以上 存在하지 않는다. 把握되기를 두려워하지 않으면서 未知의 領域으로 自身을 追放한 者의 視線이 외따롭다. 詩는 늘 變更으로부터 變更을 宣布하는 方式으로 생생해진다는 걸 알겠다”고 評했다.

장석주 詩人은 나희덕 詩集 ‘말들이 돌아오는 時間’(문학과지성사)을 推薦하며 “나희덕의 詩들은 恒常 맑고 淡淡하다. 淡淡함은 辛酸苦楚를 다 끌어안고 삭이며 스스로 깊어짐의 結果인데, 이 淡淡함에 母性의 至極함과 女性의 多感함이 겹쳐져 깊이를 만든다”고 썼다.

이건청 詩人은 江해림 詩人이 7年 만에 낸 세 番째 詩集 ‘그냥 한番 불러보는’(시인동네)을 推薦하며 “消滅됐거나 破滅된 것들 속에서 根源을 透視해내는 强한 精神을 만난다. 그리고 懸隔하게 다른 層位의 이미지들이 結合된 詩篇들이 突發的 光輝를 創出해 보여준다“고 했다.

利原 詩人의 選擇은 신경림 詩人이 6年 만에 낸 詩集 ‘寫眞館집 二層’(創批)이었다. “그 흔한 比喩나 搜査 하나 없는 簡明한 詩篇들이다. 이 ‘純眞無垢’로 가난과 過去를 復元시킨다는 點은 더 경이롭다. 詩人의 脈搏과 言語의 搏動 數가 늘 一致하고 있었다는 證據다.”

우정렬 記者 passion@donga.com
#폰 #손미 #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