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各自圖生’보단 ‘節전지훈’[육동인의 業]〈30〉|東亞日報

‘各自圖生’보단 ‘節전지훈’[육동인의 業]〈30〉

  • 東亞日報
  • 入力 2019年 12月 31日 03時 00分


코멘트
육동인 강원대 초빙교수·직업학 박사
육동인 江原大 招聘敎授·職業學 博士
‘節전지훈(折箭之訓)’이란 사자성어가 있다. 每年 初 最高經營者(CEO)나 政治人들의 新年 人事에 자주 登場하는 말이다. 옛날 中國 南北朝 時代에 선비족이 세운 吐谷渾이란 나라의 王 아시가 죽으면서 王子 20名에게 남겼다는 敎訓이다. ‘화살 한두 個는 쉽게 꺾이지만, 여러 個 묶어놓으면 꺾기 힘들다’는, 쉽게 말해 ‘協同’의 重要性을 强調하는 뜻이다. ‘화살 꺾기’ 敎訓은 글로벌하다. 日本에선 ‘세 個의 화살’이란 慣用句가 요즘도 자주 쓰인다. 아베 신조 總理의 經濟 政策을 說明할 때 使用되기도 했다. 16世紀 戰國時代 英雄 모리 모토나리가 세 아들에게 當付했던 말이라고 한다. 우리도 高句麗 大莫離支 淵蓋蘇文이 죽기 前 아들들에게 節電지훈을 强調했다는 逸話가 내려온다.

世界에서 가장 有名한 유대人 家門 中 하나인 로스차일드 패밀리를 象徵하는 文樣은 아예 화살 5個를 묶은 것이다. 화살 5個는 5名의 아들을 象徵한다. 貸金業者였던 메이어 로스차일드는 아들들이 獨逸, 英國, 프랑스, 오스트리아, 이탈리아에 살면서 서로 緊密하게 協力하도록 했다. 1815年 英國과 프랑스 사이에 벌어진 워털루戰鬪에서 英國이 勝利했다는 情報를 가장 먼저 안 이들은 英國이 졌다고 所聞을 퍼뜨린 後 英國 國債가 暴落하자 이를 歇값에 大量으로 사들여 招待박을 터뜨린다. 요즘 基準으로 보면 明白한 證券市場 公示 違反이겠지만, 어쨌든 兄弟들의 協同이 莫大한 富의 源泉이 된 셈이다.

유대人 成功 祕訣을 흔히 돈에 對한 肯定的인 思考方式과 剛한 敎育熱에서 찾는다. 그러나 核心은 協同心이다. 冷酷한 비즈니스 世界에서는 더욱 그렇다. 오랜 苦難과 逼迫을 거치면서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는 생각이 뿌리 깊게 박혀 있는 탓이다. 20世紀 初 全 世界에 흩어져 있던 유대人들은 이스라엘로 移住해 키부츠라는 集團農場을 통해 國家의 틀을 잡아 나갔다. 키부츠라는 말이 바로 協同을 뜻하는 히브리어다.

實際 유대人들이 모여 사는 洞네에 가난한 사람이 있으면 그건 그 사람 잘못이 아니라, 그를 도와주지 못한 이웃들 잘못이라 생각한다. 그래서 가난한 사람을 積極 도와준다. 그 사람이 가난을 면하면 周邊의 다른 가난한 사람을 돕는 式이다. 勿論 유대人들의 協同은 主로 自己들만의 協同을 의미해 이웃들과 不便한 關係가 많은 것도 否認할 수 없다.

교수신문이 올해를 象徵하는 사자성어로 ‘公明志操(共命之鳥)’를 選定했다. 한 몸통에 머리가 두 個 달린 새의 두 머리가 서로 嫉妬하다가 結局 모두 죽게 된다는 슬픈 얘기다. 自己만 살려고 하지만 어느 한쪽이 사라지면 自己도 죽게 되는 것을 모르는 現在 韓國社會에 對한 안타까움이 選定의 理由라고 한다. 우리는 元來 두레나 품앗이 等 協同의 傳統을 가진 民族이다. 그런데 요즘엔 ‘同業은 亡한다’는 認識이 더 자연스럽다. 實際 共同으로 創業하거나 經營하는 比率도 外國보다 顯著히 낮다. 그야말로 ‘各自圖生’의 時代다. 2020年 새해엔 우리 社會가 화살 꺾기 敎訓을 새겨봤으면 한다. 너 죽고 나 살기는 共滅뿐이다.
 
육동인 江原大 招聘敎授·職業學 博士
#各自圖生 #節전지훈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