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벨賞 타려면 ‘盧 벨’하라[육동인의 業]〈27〉|東亞日報

노벨賞 타려면 ‘盧 벨’하라[육동인의 業]〈27〉

  • 東亞日報
  • 入力 2019年 10月 29日 03時 00分


코멘트
육동인 강원대 초빙교수·직업학 박사
육동인 江原大 招聘敎授·職業學 博士
每年 10月은 노벨賞 發表 시즌. 우리는 올해도 客席에서 拍手만 쳐야 했다. 이웃 日本은 지난해에 이어 連續 受賞者를 輩出했다. 그래서인지 最近 韓國科學技術硏究院(KIST) 國政監査場에선 自然스럽게 노벨賞 얘기가 나왔다. 關心事는 亦是 우리는 왜 노벨賞을 못 타는가. 한 議員이 叱責했다. “科學技術人들의 努力이 不足하고 마음가짐이 잘못됐기 때문”이라고. 政府에서 長官職까지 지낸 官僚 出身인 그가 指摘한 ‘잘못된 마음가짐’은 科學者들이 硏究 成果를 내는 데 集中하지 않고 管理者가 되려고 血眼이 돼 있다는 것이다.

우리 科學水準을 그래도 이만큼이나 발전시키는 데 크게 貢獻했다고 自負하는 KIST 사람들이 이런 말을 들으며 무슨 생각을 했을까. 속마음은 時體말로 “너나 잘하세요”다. 政府가 豫算은 쥐꼬리만큼 주면서, 시시콜콜한 規制와 干涉이 너무 많다는 不滿이다. 그런 狀況에서 硏究에 集中하고 싶은 마음이 들겠냐는 것이다.

科學界엔 이런 유머가 있다. 政府가 充分한 資金과 時間을 주지도 않으면서 하루가 멀다 하고 硏究 進度가 어떻게 되었는지 確認하는 ‘벨(bell)’을 누르는데, 最小限 그 벨만 없애도, 다시 말해 ‘盧 벨(No Bell)’하면 노벨賞을 받을 수 있다는 얘기다. 食堂에서 從業員 부르는 벨을 必要 以上으로 너무 자주 누르면 從業員들이 서비스 質을 높이려 努力하기보다는 짜증만 낼 것이라는 論理와 같다.

노벨賞을 가장 많이 받는 사람들은 유대人들이다. 歷代 受賞者 中 유대人 比率은 20∼22% 線이다. 特히 經濟學賞 受賞 比率은 40%에 이른다. 유대人 人口는 約 1500萬 名. 世界 人口 比重의 0.2%에 不過하다는 點을 勘案하면 正말 놀랄 만한 比率이다. 政治하는 사람들은 學者들을 다그치기 前에 유대人들이 노벨賞을 많이 타는 理由가 무엇인지 먼저 살펴봤으면 한다. 그래야 우리에게 무엇이 必要한지 答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유대人의 노벨賞 祕訣은 첫째도 둘째도 셋째도 敎育을 最優先視하는 風土다. 그것도 創意 敎育이다. 勿論 그들이 생각하는 創意性은 우리와 判異하다. 우리는 ‘남보다 뛰어남’을 强調하는 데 비해 그들은 ‘남과 다름’을 創意性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自身만의 長點을 찾아 발전시키려고 努力한다. 한 學級에 30名이 있을 境遇, 남보다 뛰어남이 基準이면 1等은 1名밖에 없지만 남과 다름을 追求할 境遇 30名 모두가 自己 分野에서 1等이 될 수 있다. 人口가 적은 유대人들 사이에 1等 數字가 많은 까닭이다.

經濟學賞을 많이 받는데도 분명한 理由가 있다. 돈에 對해 매우 肯定的인 마인드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유대人들은 數千 年 동안 나라 없이 떠돌면서 ‘돈이 목숨을 救한다’ ‘모든 것은 돈으로 얘기한다(money talks)’는 생각을 뼛속 깊이 새기게 됐다. 돈을 重視하는 만큼 돈을 다루는 經濟에 關心이 많다. 金融界 等에서 世界的인 유대人 富者들이 많은 것도 같은 脈絡이다.

世上에 空짜는 없다. 노벨賞을 願하면 그에 걸맞은 投資를 해야 한다. 부러우면 지는 거다.
 
육동인 江原大 招聘敎授·職業學 博士
#노벨賞 #노 벨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