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룸/전승민]人工知能이라는 單語의 무게|東亞日報

[뉴스룸/전승민]人工知能이라는 單語의 무게

  • 東亞日報
  • 入力 2018年 4月 23日 03時 00分


코멘트
전승민 동아사이언스 수석기자
전승민 동아사이언스 首席記者
얼마 前 平素 親分이 있는 人工知能(AI) 分野 敎授 한 사람이 아침 일찍부터 電話를 해 왔다. 4日(現地 時間) 英國 파이낸셜타임스 等 外信에서 “57名의 海外 科學者가 KAIST와 어떤 共同硏究도 하지 않겠다고 宣言했는데, 이를 알고 있느냐”는 內容이었다.

이 뉴스는 밤사이 일어났던 뉴스를 체크하며 記者도 이미 살펴봤던 것이다. 그때는 ‘誤解 같은데 解明을 하면 되는 일 아닌가’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電話를 해 왔던 敎授의 意見은 달랐다. 그는 “이番 일은 信用과 關聯된 것이므로 허투루 넘겨선 안 된다”고 했다.

勿論 이들의 보이콧 宣言은 해프닝으로 끝났다. 事態의 發端은 이랬다. 한 英文媒體가 올해 2月 ‘KAIST-韓華시스템 國防人工知能融合硏究센터’ 開所 事實을 傳하면서 ‘AI 武器를 開發하는 곳’이라는 解說을 달았고, 이를 본 外國 科學者들은 狀況을 深刻하게 받아들였다.

KAIST도 對應에 나섰다. 신성철 總長이 57名 全員에게 ‘人間을 攻擊하는 武器를 開發하는 곳이 아니다’라고 反駁 e메일을 보냈고, 國內 言論을 對象으로도 說明 資料를 냈다. 結局 그들을 代表하는 토비 月始 뉴사우스웨일스大 敎授가 “誤解가 풀렸고 KAIST와 다시 協力할 수 있게 돼 반갑다”고 答信을 보내왔다. 事態는 一段落됐지만, 都大體 왜 이런 誤解를 받았는지는 짚어볼 問題다. 單純히 記事 하나를 보고 많은 科學者들이 集團行動을 했을 理는 萬無하기 때문이다.

먼저 國際的으로 國內 AI 硏究에 對한 疑惑이 컸다. 韓國은 이 問題에서 이미 ‘前科者’ 取扱을 받는다. 武器를 開發할 때 射擊 決定을 機械裝置의 判斷에 맡기는 것을 대단한 禁忌로 여긴다. 그런데 韓華시스템과 같은 그룹 系列社인 한화테크윈(舊 삼성테크윈)은 自動으로 判斷하고 射擊할 수 있는 警戒로봇을 實際로 開發한 바 있다. 이는 ‘代表的 킬러로봇 開發 事例’로 아직도 關聯 學會에서 빠짐없이 擧論된다. 이런 韓華가 KAIST와 손잡고 ‘國防+AI’를 融合하는 硏究를 하겠다니, 海外 科學者들이 보기엔 적잖이 憂慮됐을 것이다.

國內에서 AI라는 單語의 무게를 너무 가볍게 생각하는 것도 問題다. 4次 産業革命이 始作되면서 國家 硏究開發投資도 여기 傍點이 찍히는 듯하다. 그러니 國內 科學者들은 自身의 硏究課題에 너도나도 ‘AI’라는 말을 너무도 쉽게 가져다 붙인다. 政府硏究課題 選定에서 조금이라도 더 유리해지려는 意圖로 理解된다. 이런 無分別한 單語選別이 쌓이면 國內 硏究界의 信用을 떨어뜨리는 原因이 된다. 國防人工知能融合硏究센터의 이름을 ‘國防技術融合硏究센터’ 程度로 지었다면 果然 이런 해프닝이 일어났을까.

技術的으로도 完璧한 AI 開發은 아직 풀어야 할 宿題가 많은 未知의 領域이다. 이런 單語를 움직이는 機械裝置, 그것도 國防技術에 가져다 붙이려면 그만한 當爲性과 苦悶이 꼭 必要하다. 이를 自覺하지 못한다면 國內 硏究界의 信賴는 漸漸 더 낮아질 것이다.
 
전승민 동아사이언스 首席記者 enhanced@donga.com
#人工知能 #kaist #警戒로봇 #킬러로봇 #4次 産業革命 #國防技術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