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맞춤法의 再發見]〈88〉强추위의 反對말은 約추위가 아니다|동아일보

[맞춤法의 再發見]〈88〉强추위의 反對말은 約추위가 아니다

  • 東亞日報
  • 入力 2019年 1月 30日 03時 00分


코멘트
김남미 홍익대 국어교육과 교수
김남미 弘益大 國語敎育科 敎授
‘强추위’의 反對말은 뭘까? 이 質問 自體에 火를 내는 사람이 있으면 좋겠다. 누군가는 ‘强추위’의 反對말을 ‘約추위(×)’라 생각할까 봐 화낼 수 있다. ‘强추위’의 ‘강’은 漢字(强·江)가 아닌데 그렇게 생각할까 봐 憂慮하는 것이다. ‘强추위’는 純우리말로 ‘눈도 오지 않고 바람도 불지 않으면서 몹시 매운 추위’라는 意味다.

누군가는 거꾸로 ‘約추위(×)’를 떠올리면서 問題 될 것도 없는 것을 問題 삼으려 하는 學者然한 態度를 批判할 수도 있다. ‘强추위’의 ‘강(强)’을 漢字로 보는 사람들이다. 두 가지는 모두 이 單語를 理解하는 데 도움을 준다. 맨 처음의 質問부터 풀어 보자. ‘强추위’의 反對말은 ‘무더위’다.

●半의 關係
江↔무
추위↔더위

‘强추위’는 ‘강+추위’로 構成되었으니 그 反對말 亦是 같은 構造를 가져야 제대로 된 半의 關係가 생긴다. ‘추위’와 ‘더위’의 關係는 쉽다. 그 말 앞에 붙은 ‘강’과 ‘無’의 關係를 풀어야 할 次例다. ‘無’는 ‘물’에서 온 말이다. ‘물’에서 ‘ㄹ’이 없어진 것은 言語의 歷史와 關聯된다. 우리 周邊에서 같은 理由로 ‘ㄹ’이 없어진 말들을 만날 수 있다.

●무소(물+소), 마소(말+소), 소나무(솔+나무),
여닫다(열+닫다), 바느질(바늘+質)

‘무더위’의 ‘無’가 ‘물氣 많은’의 意味라면 그 反對말인 ‘강’에는 ‘물氣 없는’이라는 意味가 들었음이 분명하다. ‘無’가 固有語로부터 왔듯 ‘강’ 亦是 固有語에서 왔을 것이다. ‘강’과 ‘無’의 意味를 풀어보니 ‘무더위’와 ‘强추위’에는 우리의 高溫多濕한 여름 날씨와 寒冷乾燥한 겨울 날씨가 그대로 들었다. 그래서 ‘强추위’는 半의 關係에서 類推한 대로 ‘물氣 없는 추위’라는 意味로 널리 使用된다.

●全國 맑지만 强추위 持續(最近 新聞記事 題目)

그런데 異常한 일이 생겼다. 濕氣가 많은 데도 ‘强추위’라는 單語가 登場하는 것이다.

●强추위 속에서 눈을 그대로 맞던 ○○○ 氏는
(最近 뉴스 속 例文)

結局 事前에서조차 이런 傾向을 받아들여 ‘强추위’와는 다른 標題語로 ‘강(强)추위’를 事前에 넣고 ‘눈이 오고 매운바람이 부는 甚한 추위’로 풀이하고 있다. 어떻게 이런 일이 생기는가?

우리는 이미 ‘强추위’ 안에 든 ‘강’李 어디서 왔는가를 알지 못한다. 反面 ‘강(强)-’은 다른 말 앞에 붙어 ‘매우 센, 호된’의 意味를 덧붙이는 말로 살아 있다. 그래서 앞의 ‘강’을 뒤의 ‘강(强)’으로 混同하는 일이 잦아지다가 及其也 새로운 말을 만들어 내기에 이른 것이다. 말의 意味는 때로 이런 方式으로 바뀌는 境遇도 있다. 重要한 것은 우리가 어떤 脈絡에서 이 單語를 쓰고 있는가이다. 單語를 둘러싼 다양한 關係들은 그 單語를 쓰는 脈絡을 보여준다. 事前 속에 標題語 두 個라는 事實보다 脈絡을 통해 發見하는 意味가 더 重要한 境遇도 많다. 우리가 더 一般的으로 쓰고 있는 意味를 反映하기 때문이다. 關係를 제대로 읽어야 單語를 제대로 理解하는 것이라고 强調하는 理由이기도 하다.
 
김남미 弘益大 國語敎育科 敎授
#맞춤法 #强추위 #約추위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