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즈 에티켓]戰略的 패션의 基本原則|東亞日報

[비즈 에티켓]戰略的 패션의 基本原則

  • 入力 2009年 5月 23日 02時 59分


머리부터 발끝까지 同一한 콘셉트 適用
세 가지 以上 色相 避해야…감색 正裝은 全天候 패션

神社들에겐 패션이 單純히 멋을 내는 手段이 아니라 비즈니스를 위한 ‘前略’이다. 勿論 값비싼 옷만 찾는 사람들이나 最新 패션만 追求하는 사람들이라고 해서 모두 뛰어난 戰略을 갖는 것은 아니다. 패션이 戰略으로 成功하려면 반드시 ‘他人이 나를 보는 눈’을 考慮해야 한다. 他人의 視線에 적합한 옷차림이란 때와 場所, 그리고 目的과 相對 等 條件과 어울리는 옷차림을 意味한다. 이를 흔히 ‘TPO(Time, Place, Occasion)’라 부른다. 이番 週엔 戰略的 패션을 위한 基本 原則과 스타일링 祕法에 對해 알아보자.

첫째, 衣裳의 ‘統一感’을 考慮해야 한다. 正裝을 입을 때 넥타이만 두드러지는 境遇가 많은데 戰略的인 패션은 머리부터 발끝까지 한 가지 콘셉트로 어우러지는 統一感이 必須 要素다. 衣服뿐 아니라 넥타이, 洋襪, 구두 等 액세서리도 모두 함께 神經 써야 한다.

둘째, 디자인보다 ‘素材’에 더 中心을 맞춘다. 本來 紳士服에는 破格的인 디자인 變化를 주기 어렵다. 또 너무 破格的인 디자인은 자칫 ‘부담스러운 趣向의 사람’이란 誤解를 살 수 있다. 所在 質感이나 패턴에만 작은 變化를 줘 다양한 演出을 試圖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男性 패션의 核心은 ‘브이존(V-zone·재킷의 V로 파이는 部分)’임을 꼭 記憶하자. 失敗 없는 브이존을 演出하려면 셔츠色과 正裝色을 비슷한 톤으로 맞추는 것이 좋다. 마지막으로 色相은 되도록 적게 使用하고 한 番에 세 가지 以上 色을 입는 것은 避하자. 아무리 비싼 正裝과 넥타이라도 세 가지 以上 色相이 들어가면 優雅하고 高級스러운 印象을 주기 어렵다.

때와 場所에 맞춘 스타일링 亦是 매우 重要하다. 殯所를 찾을 때 華麗한 옷을 입으면 非難을 받고 便安한 土曜日 모임에 검은色 正裝에 넥타이를 맨 채 오는 것 亦是 꼴不見인 理由다. 크게 公式的인 狀況, 비즈니스 狀況, 그리고 個人 餘暇 狀況으로 나누어 때에 맞는 스타일링을 規格化해 보자. ‘옷 입기 初짜’라도 스타일링 戰略을 갖게 된다.

冠婚喪祭를 비롯해 嚴肅한 자리 或은 파티 等 公式的인 狀況에선 어두운 色 正裝과 타이, 액세서리를 着用하는 것이 가장 安全하다. 間或 화이트 컬러로 色다른 스타일링을 演出할 수도 있지만 制約과 拘束이 많은 狀況인 만큼 津하고 어두운 色이 가장 演出하기 쉽다.

비즈니스用 衣裳으론 흰 셔츠를 基本으로 紺色과 灰色 正裝을 하나씩 準備해 두길 推薦한다. 紺色 正裝은 公式的인 狀況에도 잘 어울리기 때문에 活用度가 높은 아이템이다. 灰色 正裝은 부드럽고 品位 있는 感覺을 나타내기에 적합하다. 다만 光澤이 들어가 있다면 살쪄 보이거나 가벼운 印象을 줄 수 있으므로 注意하자.

個人的 餘暇 時間엔 個性을 充分히 發揮할 수 있는 自由로운 패션을 試圖해 보자. 勿論 스타일링이 決코 쉽진 않다. 가장 無難하게는 캐주얼한 디자인 셔츠에 포인트를 줄 수 있는 輕快한 느낌의 타이 等 小品을 매치할 수 있다. 靑바지에 재킷을 걸쳐 너무 가벼워 보이지 않으면서도 便安한 느낌을 주는 것 亦是 方法이다.

이지은 LG패션 닥스 神社 디자인室長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