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말이 世上을 바꿉니다/잊지 못할 말 한마디]사람이 울면서 살 수는 없다|동아일보

[말이 世上을 바꿉니다/잊지 못할 말 한마디]사람이 울면서 살 수는 없다

  • 東亞日報
  • 入力 2014年 12月 8日 03時 00分


코멘트

이스라엘 元老 彫刻家 微瑕 울만


안규철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안규철 (한국예술종합학교 敎授)
獨逸 베를린의 브란덴부르크 門에서 徒步로 10分 距離에 있는 훔볼트대학 맞은便, 국립오페라극장과 過去 大學圖書館 建物 사이에 廣場이 하나 있다. 얼핏 平凡해 보이는 이 廣場을 특별한 場所로 만드는 것은, 廣場 한복판의 有利 바닥 아래로 들여다보이는 地下 空間이다. 數千 卷의 冊이 들어갈 冊張이 빼곡히 둘러서 있는 이 하얀 房에는 冊이 한 卷도 없다. 그것은 사라진 冊들을 위해 永遠히 비워 놓은 記憶의 空間이기 때문이다.

1933年 5月 바로 이 廣場에서 나치黨員들은 ‘非獨逸的인 思想’을 담고 있다고 指目된 2萬 卷의 冊을 圖書館에서 끌어내 불태웠다. 프로이트와 마르크스, 토마스 만 같은 이들의 冊들이 火焰 속에서 불타오를 때 大學生들은 나치 口號를 외치며 歡呼했다. 慘酷한 나치獨逸 歷史의 序幕이자, 獨逸 知性史에 메울 수 없는 共同(空洞)으로 남게 된 事件이었다. 이 記念空間의 案內板에 적혀 있는 經句, ‘冊을 불태우는 곳에서는 結局 人間도 불태우게 될 것’이라는 詩人 하이네의 豫言은 아우슈비츠에서 그대로 現實이 되었다.

記念碑로서 이것은 破格的인 作品이다. 群衆 앞에 우뚝 서서 熱情的으로 어떤 敎訓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를 드러내지 않고 비워내고 沈默함으로써 보는 사람을 깊은 默想으로 引導하는 것이다. 이것은 獨逸系 유대人인 이스라엘 元老 彫刻家 微瑕 울만의 作品이다.

나는 留學 時節 슈투트가르트 美術學校에서 그를 만났다. 나이 差가 16年이나 되는 敎授와 學生 사이였지만, 그는 늘 隔意 없는 親舊처럼 眞摯한 對話 相對가 돼 주었다. 그 德分에 나는 베를린의 記念空間 프로젝트를 初期 段階부터 지켜볼 수 있었다. 그는 내 指導敎授는 아니었지만, 내 美術作業이 只今의 틀을 갖춰가던 1990年代 初에 가장 重要한 멘토였고 作家的 模範이었다. 어느 날 그가 내게 이렇게 말했다. “사람이 울면서 살 수는 없다.”

내 作業을 놓고 이야기를 하던 中에 갑자기 튀어나온 이 짧고 분명한 말은, 單純히 作品에 對한 評價가 아니라, 내가 世上을 바라보고 살아가는 方式 全體에 對한 論評이었다. 나는 衝擊을 받았다. 그 當時 나는 獨逸과 韓國의 歷史的 時差를 넘어 낯선 環境에서 美術作業을 새로 始作해야 하는 壓迫感에 시달렸다. 獨逸에서는 베를린 障壁이 무너졌고, 韓國에서는 大學生들의 焚身과 民主化 示威가 繼續되고 있었고, 이라크와 유고슬라비아와 世界 곳곳에서의 殺戮과 破壞는 끝이 없었다. 이런 世上에서 藝術家가 되겠다고 뒤늦은 留學生이 된 나는 두 아이를 책임져야 할 家長이었다. 이 모든 狀況이 나도 모르는 사이에 나를 그렇게 만들었던 것일까.

當時 내 美術作業은 하나같이 賞福(喪服)처럼 어둡고 무거웠다. 그래서 그가 이런 말을 하게 되었던 것이다. 世上이 고통스럽다고 해서 투정하는 어린아이처럼 울면서 살아서는 안 된다는 것. 人生의 時間을 哀悼와 恨歎으로 보낼 수는 없다는 것…. 베를린에 있는 그의 記念空間이, 狂氣와 暴力의 歷史 앞에 雄辯이나 痛哭이 아니라, 世上의 그 어떤 돌보다도 무거운 沈默으로 맞서고 있듯이, 苦痛과 슬픔의 合計가 줄어들지 않는 이 世上에서 사람이 울면서 살 수는 없다는 것을, 나는 배워야 했다.

안규철 (한국예술종합학교 敎授)
#微瑕 울만 #사람이 울면서 살 수는 없다 #나치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