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숨가쁘게 달려온 21世紀 첫 10年|東亞日報

숨가쁘게 달려온 21世紀 첫 10年

  • Array
  • 入力 2010年 11月 27日 03時 00分


코멘트

타임, 9·11테러-新種플루 等 ‘激動의 地球村’ 再照明

‘Y2K(2000年을 認識하지 못하는 컴퓨터 誤謬)’ 憂慮 속에 조심스럽게 出發했던 21世紀. 以後 10年間 全 世界는 豫想치 못한 各種 災難과 테러, 戰爭, 經濟危機 等을 겪으며 숨 가쁘게 달려왔다. 어떤 事件은 크고 오랜 影響力을 미쳤고 어떤 일은 不必要한 법석과 騷動으로 判明나祈禱 했다.

時事週刊誌 타임은 2010年을 마무리하는 12月 最新號에서 力動的이었던 21世紀 첫 10年의 主要 事件을 되짚었다.

○ “過去를 모르면 失敗를 反復한다”

첫해인 2000年을 가장 시끄럽게 만든 事件은 11月 美國 大統領選擧의 再檢票 事態였다. 공화당의 조지 W 부시 候補와 민주당의 앨 고어 候補가 빅憑依 勝負를 겨루던 中 빚어진 이 事件으로 美國은 오랫동안 國論 分裂의 後遺症에 시달려야 했다. 이듬해인 2001年에는 9·11테러가 發生했고 事件現場인 ‘그라운드제로’에서는 再建事業이 아직도 進行되고 있다. 美 歷史上 가장 重要하고도 複雜한 建築 프로젝트로 記錄될 이 建物은 48層까지 올라간 狀態다. 또 타임은 9·11테러 以後 美國의 對(對)이라크戰爭을 主要 事件으로 꼽고 “戰爭 初期 美國人과 이라크人 사이의 疏通, 理解의 不足으로 너무 많은 犧牲과 費用을 치러야 했다”고 指摘했다.

音樂이나 映畫 같은 파일 共有 프로그램의 開發도 21世紀를 바꾼 事件으로 꼽았다. 無料 音樂 다운로드業體인 냅스터를 만든 숀 패닝 等 4名의 젊은이는 自身들도 堪當하지 못할 인터넷上 ‘海賊질(著作權 侵害)’을 擴散한 셈이기도 하다. 이 밖에 美 史上 最惡의 人材(人災)로 記錄된 2005年 뉴올리언스의 허리케인 카트리나 事件, 經濟的 政治的 影響力이 急成長한 中國의 負傷 等도 言及했다. 타임은 인터넷 홈페이지에 △政治 △環境 △宗敎 △時代의 트렌드 等으로 分類한 過去 記事를 볼 수 있도록 했다. 그러면서 “過去를 理解하지 못하면 失敗를 反復한다. 21世紀의 速度에 맞춰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唯一한 길은 過去를 돌아보는 것”이라고 企劃 趣旨를 說明했다.

○ 지난 10年을 말해주는 사람들

또 타임은 激動의 事件現場을 代表하는 人物 5名을 꼽기도 했다. 1999年 離婚한 엄마와 함께 美國으로 密入國하려다 遭難當한 쿠바 少年 엘리안 곤살레스(當時 6歲)의 送還 與否와 養育權 問題는 美-쿠바 間 外交紛爭까지 觸發했다. 그는 2000年 生父가 있는 쿠바로 돌아간 뒤 現在 軍事學校에 다니는 靑年으로 成長했다.

이라크에서 戰爭捕虜로 잡혔던 제시카 린치 美 陸軍 一兵은 2003年 映畫 같은 美軍의 救出作戰으로 歸還한 뒤 英雄으로 떠올랐다. 以後 그는 國防部가 自身의 活躍像을 誇張했다는 率直한 證言으로 波紋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只今은 세 살 된 딸의 엄마로 敎師가 되기 위해 막바지 大學 工夫에 邁進하고 있다.

이 밖에 이라크戰 戰死者의 어머니로 反戰運動의 象徵이 된 신디 時핸 氏, 허리케인 카트리나 事件의 늑장 對處로 國民의 非難을 받았던 마이클 브라운 前 聯邦災難管理廳(FEMA) 廳長 等이 꼽혔다.

이정은 記者 lighte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