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상곤의 實錄韓醫學]〈47〉예나 只今이나 ‘藥材 身土不二’|東亞日報

[이상곤의 實錄韓醫學]〈47〉예나 只今이나 ‘藥材 身土不二’

  • 東亞日報
  • 入力 2018年 3月 12日 03時 00分


코멘트
이상곤 갑산한의원 원장
이상곤 甲山韓醫院 院長
高麗 末 文益漸이 木花씨를 들여와 우리나라에 綿織物의 自主化 時代를 열었듯, 韓醫學에서도 輸入 藥材의 國産化를 試圖한 功臣이 있었다. 朝鮮王朝實錄 成宗 20年의 記錄에는 “聖節使 議員(聖節使醫員) 이맹손(李孟孫)李 年庚(燕京)에서 잡은 山 全蠍 1百 마리를 調整에 바쳐 內醫院과 大闕 內에서 기르게 했다”는 記錄이 나온다. 生前 처음 본 傳喝을 神奇해 한 成宗은 “이 貴한 傳喝을 어떻게 살려서 가져왔느냐”고 묻는다. 이에 이맹손은 “傳喝을 잡아 櫃(櫃) 속에 넣고 진흙으로 그 바깥을 발라서 흙이 마르면 물을 뿌리고 그 속에 먹을 것을 넣어주며 鐵網으로 그 바깥을 얽어서 빠져나오는 것을 막았다”고 答한다.

예부터 傳喝은 넓디넓은 中國에서도 ‘鰻鱺(萬里)’나 떨어진 모래沙漠 地域에 사는 正말 보기 힘든 動物이었다. 아주 큰 數字를 의미했던 ‘萬(만)’이라는 漢字도 元來 全蠍의 模樣을 본떠 만든 象形文字였다. 傳喝은 成宗의 말대로 그만큼 貴한 藥材였다.

傳喝은 어둠 속의 사냥꾼으로 불린다. 빛 한 줌 없는 洞窟에 살며 먹이를 사냥하다 보니 視力이 必要 없게 됐다. 그 代身 微細한 振動이나 바람을 感知하는 能力이 극대화됐다. 傳喝을 예부터 ‘바람이 들어 생기는 病’의 治療에 쓴 理由도 그 때문이다. 風談(風痰)이 經脈(經脈)에 侵入해 입이나 눈이 삐뚤어진 疾病을 가리키는 瓦斯風(구안와사)이나 귀에서 바람소리가 들리는 耳鳴(귀울음) 또는 突發性 難聽에도 傳喝이 어김없이 中心 藥材로 들어간다.

傳喝은 到底히 生物이 살 수 없다고 생각되는 곳에서 살아가는 特性 때문에 생기(生氣)의 象徵으로 認識된다. 韓醫學은 傳喝뿐 아니라 絶壁이나 高山地帶, 洞窟, 沙漠 等 瘠薄한 環境에서 悽絶하게 살아남은 生物들의 生氣가 무서운 疾病과 맞설 수 있는 藥물의 效能을 倍加시킨다고 본다. 逆說的으로 瘠薄한 環境이 드문 韓國의 風土나 地形에선 다양한 藥材가 자랄 수 없었다. 예나 只今이나 韓藥材의 國産化가 韓醫學界의 宿願事業인 理由도 그 때문이다.

朝鮮時代에 國産化에 成功한 藥草 中에는 甘草도 있었다. 實錄은 甘草를 國産化하기 위해 太宗, 世宗, 文宗까지 3代의 王들이 한 努力을 一一이 記錄해 놓았다. “開城 留後司 이문화(李文和)가 甘草 1分(盆)을 바치자 所重하게 길렀다.”(태종 11年) “倭人이 獻納한 甘草를 심어 全羅·咸吉道 監査에게 기르도록 指示하였다.”(세종 30年) “前에 甘草를 보낼 때에 땅의 性質이 기름진 곳을 가려서 羅州(羅州)·珍島(珍島)·光陽(光陽) 세 고을에 심어서 기르게 하였는데 (中略) 羅州·進度에 심은 것은 모두 다 살아서 蕃盛하고 밤섬(栗島)에 심은 것도 해마다 蕃盛하는데 홀로 光陽에 심은 것만이 말라 죽었다.”(문종 1年)

感氣나 傳染病에 쓰이는 藥材 麻黃度 元來 몽골地域에서 나는 貴한 藥材였는데 世宗 때 國産化에 成功했다. “經常 監査가 交遊(敎諭) 朴弘(朴洪)으로 하여금 長期(長기)현에 가서 麻黃을 캐 進上케 했는데 黨(唐)나라의 마황과 다름이 없었다. 賃金이 嘉尙하게 여겨 麻黃을 栽培한 朴弘이라는 者에게 옷 한 벌을 하사했다.”(세종 20年)

最近 들어 祖上들의 勞苦로 어렵사리 國産化에 成功한 藥草들이 제대로 된 待接을 못 받고 있는 것 같아 안타깝다. 原價를 줄이기 위해 韓藥을 科學化했다는 天然物新藥에조차 中國産 韓藥材 抽出物을 쓰고 있다고 한다. 예나 只今이나 우리의 藥草를 保護하고 育成할 責務는 國家에 있음을 되새겨야 할 때다.

이상곤 甲山韓醫院 院長


#문익점 #木花씨 #全蠍 #甘草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