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해리의 칸&피플] 이창동 監督이 밝힌 ‘버닝’ 解說|東亞日報

[이해리의 칸&피플] 이창동 監督이 밝힌 ‘버닝’ 解說

  • 스포츠동아
  • 入力 2018年 5月 17日 21時 53分


코멘트
17일 오후(한국시간) 칸 국제영화제에서 열린 ‘버닝’의 공식 기자회견에 참석한 이창동 감독과 유아인, 스티븐 연, 전종서(왼쪽부터). 경쟁부문에 진출한 ‘버닝’은 나머지 20편의 영화와 더불어 최고 영예인 황금종려상을 겨룬다. 칸(프랑스)|이해리 기자 gofl1024@donga.com
17日 午後(韓國時間) 칸 國際映畫祭에서 열린 ‘버닝’의 公式 記者會見에 參席한 이창동 監督과 유아인, 스티븐 年, 전종서(왼쪽부터). 競爭部門에 進出한 ‘버닝’은 나머지 20篇의 映畫와 더불어 最高 榮譽인 黃金棕櫚賞을 겨룬다. 칸(프랑스)|이해리 記者 gofl1024@donga.com
含意와 隱喩로 가득 찬 映畫. 觀點에 따라 어느 方向으로든 解釋될 만한 作品. 미스터리하고 模糊한 人物과 이야기로 채워진 ‘버닝’이 17日 國內 開封 以後 評壇과 觀客으로부터 여러 反應을 얻고 있다.

칸 國際映畫祭에서의 狀況도 비슷하다. 競爭部門 進出作으로 17日 새벽(韓國時間) 現地에서 처음 公開된 이 作品을 둘러싼 好奇心 어린 궁금症이 줄을 잇는다.

‘버닝’ 世界의 設計者, 이창동 監督이 公式 記者會見을 통해 一部 밝힌 內容과 設定에 關한 이야기는 그런 궁금症을 解消할 答이다. 또한 그 自體로 ‘버닝’의 解說書가 될 법하다.

17日 午後 7時30分 팔레 드 페스티벌에서 進行된 ‘버닝’ 公式 記者會見에 유아인, 스티븐 年, 전종서와 함께 나선 이창동 監督이 풀어낸 이야기를 紹介한다. 아시아 取材陣은 勿論 유럽 쪽 記者들의 質問은 大部分 이창동 監督을 向했다.

영화 ‘버닝’의 한 장면. 사진제공|CGV아트하우스
映畫 ‘버닝’의 한 場面. 寫眞提供|CGV아트하우스

[다음은 一問一答]

-日本 作家 무라카미 하루키의 小說이 原作이다. 어떤 部分에 끌려 選擇했나.

“原作 小說을 映畫로 옮기는 作業은 처음이 아니다. 映畫 ‘密陽’도 한 小說家의 短篇小說(이청준 作家의 ‘벌레 이야기’)李 原作이다. ‘버닝’은 하루키의 短篇小說(‘헛間을 태우다’)을 原作으로 한다. 原作이 갖고 있는 미스터리한 部分을 映畫的인 미스터리로 擴張시킬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하루키 小說의 脚色 過程이 궁금하다.

“映畫化가 되는 過程을 말하자면 이야기가 조금 複雜하다. 가장 먼저 日本 NHK로부터 ‘하루키의 短篇을 映畫化해 달라’는 要請을 받았다. 처음엔 나보다 젊은 監督에게 機會를 주고 내가 製作을 할 생각이었다. 하지만 여러 事情上 이뤄지지 못했다. 우리 시나리오를 作業한 오정미 作家가 (‘헛間을 태우다’를)영화화하면 어떻겠느냐고 提案했다. 처음 나는 쉽게 映畫化할 수 없는 小說이라 생각했다. 그러다가 映畫的으로 우리 世上 젊은이들의 이야기로 擴張할 수 있겠다 싶었다.”

-하루키의 原作 小說에는 작은 개구리에 對한 言及이 있는데 映畫에선 왜 빠졌나.

“小說에는 主人公들이 大麻草를 피우는 場面에서 主人公이 한때 演劇을 했던 記憶을 떠올린다. 映畫에서는 종수(유아인)가 아버지를 떠올리는 場面으로 바꿨다. 映畫에도 나오지만 하루키가 쓴 ‘헛間을 태우다’라는 題目은 그보다 앞선 윌리엄 포크너의 短篇 題目 ‘飯 버닝’에서 갖고 왔다. 포크너의 小說에 나오는 아버지는 世上으로부터 苦痛을 받는다. 그 아버지가 憤怒에 휩싸여 남의 헛間을 태우는 이야기가 小說에 나온다. 나는 바로 그 아버지의 憤怒가 아들의 憤怒로 이어지는 것이 이 時代 젊은이들을 表現하는 데 더 가깝다고 생각했다.”

영화 ‘버닝’의 한 장면. 사진제공|CGV아트하우스
映畫 ‘버닝’의 한 場面. 寫眞提供|CGV아트하우스

-‘憤怒’라는 主題를 통해 무엇을 말하고 싶었는지 궁금하다.

“只今 世界的으로 많은 사람들이 마음에 憤怒를 품고 있다. 各各의 理由가 있다. 宗敎와 國籍, 階級에 相關없이 모두가 憤怒하는 世上이다. 그中 特히 젊은이들이 마음에 품은 憤怒는 더하다. 그런 憤怒 속에 現實에서는 無力感을 갖고 있다. 問題는 젊은이들은 이런 憤怒를 공정하지 못하다고 여기면서도 自身들이 느끼는 憤怒의 對象은 模糊하다는 거다. 요즘 世界의 問題가 바로 憤怒의 對象이 模糊하다는 데 있다. 世上은 漸漸 세련되게 變하고 便利해지지만 정작 젊은이들은 未來가 없다는 感情에 놓여 있기도 하다. 그래서 젊은이들에겐 이 世界 自體가 미스터리하게 보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映畫 ‘버닝’에는 딱 두 番 타는 場面이 나온다. 불타는 對象으로 設定한 비닐하우스와 高級乘用車 포르쉐의 對備가 印象的이다.

“觀客이 본 그대로다. 비닐하우스는 韓國社會에서 가장 흔한, 農事짓는 農村에서는 日常的으로 만나는 空間이다. 어린 나이에 종수가 바라본 비닐하우스는 마치 自己 自身과 같은 느낌으로 다가왔을 거다. 포르쉐는 비닐하우스와는 極端的으로 反對에 있는 設定이다. 바라고 願하지만 種數의 손에 닿을 수 없는 그 어떤 것. 서울에서 가장 高級스러운 洞네(劇 中 서울 반포 瑞來마을)에 살고 있는, 게츠비처럼 正體를 알 수 없지만 돈이 많은 사람들이 타고 다니는 車. 두 個의 이미지는 極端的이다. 종수에게 비닐하우스는 自身의 空間이고 포르쉐는 憤怒의 象徵일 수 있다.”

-只今껏 나온 이창동의 映畫와 比較해 說明이 가장 적다. 理解하기 어렵다.


“이 映畫에는 文化的, 社會的, 經濟的인 코드는 勿論 젊은 藝術家들의 이야기가 있다. 藝術과 文化, 文學과 映畫가 어떤 意味인지에 對한 코드도 숨겨져 있다. 그걸 說明하는 方式이 아니라 單純하게 映畫的으로만 보여주고 싶었다. 觀客도 單純하게는 한 篇의 스릴러 映畫를 보는 듯한, 單純한 映畫的 方式으로 느끼고 받아주길 바랐다.”

영화 ‘버닝’의 한 장면. 사진제공|CGV아트하우스
映畫 ‘버닝’의 한 場面. 寫眞提供|CGV아트하우스

-女主人公 해미(전종서)가 노을 앞에서 춤을 추는 場面이 가장 印象 깊다. 어떤 構想으로 이뤄진 場面인가.

“이 映畫는 겉으로 보기에는 두 男子의 對決로 보인다. 無力한 젊은이(종수)와 모든 걸 다 가진 듯한, 그러면서도 세련된 正體不明의 사나이(벤·스티븐 年). 어쩌면 自己가 모든 것을 다 가졌다고, 神처럼 생각하고 있는 두 人物 間의 對決로도 보인다. 둘 사이에 놓인 女子는 사라진다. 하지만 나는 그 女子를 혼자서 삶의 意味를 찾고 있는 女子로 봤다. 저녁노을이라는, 그야말로 自然의 神祕 앞에서 혼자서 삶의 意味를 찾는 모습. 映畫에 나온 ‘그레이트 헝거’처럼 自身의 삶의 意味를 찾는 이미지로 그리고 싶었다.”

-종수가 마지막에 이르러 해미의 房에서 南山타워를 바라보며 小說을 쓰기 始作한다. 어떤 象徵性이 있나.

“南山타워가 外國人에겐 ‘서울타워’로 알려져 있다. 어느 大都市나 觀光客들이 가장 먼저 가는 곳, 都市를 내려다보는 象徵的인 곳이 있다. 우리에겐 南山타워다. 해미는 그런 서울타워 바로 밑에서 살고 있다. 서울타워에서 反射되는 햇빛이 잠깐 비추는 房에서 말이다. 서울의 象徵인 서울타워, 그리고 가난한 젊은 女性이 사는 작은 房의 對備가 있다. 그곳에서 種數와 해미는 가난한 ‘關係’를 맺기도 하고, 女子가 없는 房에서 (種數는)요즘 젊은이들이 그러하듯이 홀로 自慰를 하는 場面도 있다. 結局 그女가 없는 房에서 혼자 어떤 小說을 쓰는지는 讀者의 想像에 맡겼다.”

칸(프랑스)|이해리 記者 gofl1024@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