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예나, 이 新人歌手가 사는 法|東亞日報

박예나, 이 新人歌手가 사는 法

  • 스포츠동아
  • 入力 2015年 12月 21日 08時 00分


‘포기란 없다.’ 자신의 실력에 대한 자신감에 벌써 두 번째 앨범을 준비 중인 신인가수 박예나. “내 힘으로 해볼 만하다”는 생각으로 꿈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사진제공|박예나
‘抛棄란 없다.’ 自身의 實力에 對한 自信感에 벌써 두 番째 앨범을 準備 中인 新人歌手 박예나. “내 힘으로 해볼 만하다”는 생각으로 꿈을 向해 달려가고 있다. 寫眞提供|박예나
敎授이자 歌手 이재성 도움으로 데뷔
企劃社 없이 혼자의 힘으로 音源 發表
現在 作曲 팀 만들어 2番째 앨범 準備

2015年 12月, 新人歌手는 무엇으로 사는가.

‘난다 긴다’ 하는 大型 奇劃社와 하루가 멀다 하고 그 順位가 달라지는 刹那의 디지털 音源 時代. 숱한 奇劃社의 新人들도 大衆의 눈길 한 番 받기 어려운 世上이다. 그래도 挑戰精神 하나만으로 ‘맨땅에 헤딩’하듯 앞을 向해 뚜벅뚜벅 나아가는 新銳가 있다.

박예나(25)는 오로지 혼자의 힘만으로 歌謠界에 발을 들여놓았다. 現在 두 番째 앨범을 準備하면서 知人들과 作曲家팀까지 만들어 다른 歌手들에게 줄 노래까지 만들고 있다. 아직 뚜렷한 成果는 없지만 한 발 한 발 나아갈 뿐이다.

初等學校 6學年 때부터 “노래 부르는 걸 좋아했다”는 그는 “겉멋이 들었다”는 괜한 誤解를 받기 싫어 그 흔한 오디션 한 番 參與하지 않았다. 勿論 合格한다는 保障도 없지만, “노래 自體에 集中하자”는 傲氣와 固執만은 버릴 수 없었다.

自身이 좋아하는 노래를 더 많은 사람에게 들려주기 위해 專門性을 키워야겠다고 判斷 해 檀國大 文化藝術院 大衆音樂學科에서 作曲, 作詞, 보컬 等을 工夫했다. 그의 熱情에 1980年代 後半 ‘촛불잔치’로 有名했던 歌手 出身 이재성 敎授도 반했다.

“敎授님의 도움으로 가이드 錄音(다른 歌手가 正式 錄音을 하기 前, 曲에 對한 理解를 돕기 危害 街錄音하는 것) 等 많은 機會를 接했다. 그의 딸인 歌手 모아 언니는 내 데뷔曲 ‘톡 套 美’를 作曲했다. 이제 ‘로빈후드’라는 作曲家팀으로 우리의 色깔을 드러내고 있다.”

스무살 때부터 (가이드 錄音을 하며)조금씩 입所聞이 나기 始作했다. 앨범을 내주겠다는 企劃社들도 있었다. 하지만 番番이 霧散됐고 傷處도 많이 받았다. 차라리 “내 힘으로 해보자” 생각해 直接 音盤流通史를 찾아가 提案書를 내고, 音源 契約書를 맺었다.

“처음이 어렵지, 實力으로는 뒤쳐지지 않으니 해볼 만하다.”

박예나는 世上 가장 잘한 일이 “作曲 工夫를 한 것”이라고 했다. 누구의 도움 없이 曲을 만들 수 있고, 남에게 들려줄 수 있어서다.

“事實 音樂이라는 게 正答이 없지 않나. 여러 사람에게 들려줘 評價를 받고, 修正해 曲을 完成한다. 다른 歌手들의 노래도 잘 듣지 않는다. 듣고 따라할까봐. 나만의 色깔과 曲을 만드는 能力이 있으면 된다고 생각한다.”

박예나는 自身의 이름을 내건 音樂아카데미가 最終의 目標다. 또 音樂을 통한 다양한 敎育에도 挑戰하려 한다. 音樂治療師, 打樂 퍼포먼스 地圖死因 ‘亂打指導士’ 資格證도 그래서 取得했다. “누구나 큰 어려움 없이 꿈을 펼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싶다”는 理由에서다.

이정연 記者 annjoy@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