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와일드터키, 限定版 ‘마스터스 킵 보이지’ 出市… “버번 原液 자메이카 럼 캐스크 熟成”|東亞日報

와일드터키, 限定版 ‘마스터스 킵 보이지’ 出市… “버번 原液 자메이카 럼 캐스크 熟成”

  • 동아經濟
  • 入力 2023年 12月 12日 14時 50分


코멘트

버번 마스터 에디 러셀·럼 마스터 스펜스 博士와 協業
버번 10年 原液 자메이카 럼 캐스트서 熟成 거쳐
限定版 마스터스 킵 시리즈 最新作

와일드터키 마스터스 킵 보이지 제품 이미지
와일드터키 마스터스 킵 보이지 製品 이미지
酒類 輸入·流通 業體 트랜스베버리지는 버번 위스키 브랜드 와일드터키 新製品으로 ‘마스터스 킵 보이지(Master’s Keep Voyage)’를 國內 出市한다고 12日 밝혔다.

와일드터키 마스터스 킵 시리즈는 每年 限定版으로 선보이는 와일드터키 프리미엄 라인으로 ‘마스터 디스틸러의 所藏品’을 意味한다. 지난 2015年 처음 선보인 以後 每年 선보이면서 위스키 愛好家들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는 라인이기도 하다. 또 다른 프리미엄 라인인 러셀리저브와 함께 마니아 層을 形成하고 있는 시리즈다.

이番 最新作인 마스터스 킵 보이지는 와일드터키 버번 마스터 디스틸러 에디 러셀이 애플톤 에스테이트 럼의 마스터 블렌더 조이 스펜스 博士와 協業해 만든 最初의 크래프트 製品이라고 한다. 두 丈人의 ‘熟鍊된 技術’李 녹아든 製品으로 話題가 되고 있다. 美國을 代表하는 켄터키 버번 위스키에 카리브海 熱帶 地方의 熱情이 結合된 獨創的인 위스키라고 紹介한다. 製品 이름 보이지는 자메이카에서 出發해 켄터키에 到着한 럼 캐스크의 旅行이라는 意味를 담고 있다.
와일드터키 마스터스 킵 시리즈
와일드터키 마스터스 킵 시리즈
마스터스 킵 보이지를 위해 와일드터키는 처음으로 10年 버번 原液을 자메이카 럼 캐스트에서 2次 熟成하는 過程을 거쳤다. 버번의 特性과 럼의 魅力이 어우러져 特有의 豐富한 맛과 香을 具現했다고 한다.

조이 스펜스 博士는 자메이카 럼 하우스의 14年 팟 스틸 럼 最高級 캐스크를 켄터키州 로렌스버그에 있는 와일드터키 蒸溜所로 옮겨 에디 러셀이 選擇한 10年 버번 原液으로 채웠다. 熟成은 와일드터키 傳統대로 엘리게이터 차르 方式으로 이뤄졌다. 이를 통해 과일과 캐러멜, 熟成된 오크의 風味를 느낄 수 있고 초콜릿과 香辛料의 따뜻하면서 오래 持續되는 피니시를 具現했다고 와일드터키 側은 說明했다.

에디 러셀 와일드터키 마스터 디스틸러는 “每年 出市되는 마스터스 킵을 通해 버번의 眞情性과 魅力을 새롭게 다시 經驗하는 機會가 되길 期待한다”며 “조이 스펜스 博士와 함께 마스터스 킵 보이지를 만든 것은 영광스러운 經驗이었다”고 말했다.

와일드터키는 마스터 디스틸러 富者 經歷만 100年을 넘어서면서 美國을 象徵하는 프리미엄 버번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特히 匠人精神과 헤리티지가 알려지면서 全 世界的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와일드터키 蒸溜所는 美國 켄터키州 켄터키 姜의 깊은 石灰巖 地帶에 있어 天然 필터로 걸러진 맑은 물로 高品質 위스키를 生産한다. 다른 버번보다 낮은 알코올度數로 蒸溜해 새 오크 배럴에 넣는 過程에서 稀釋을 最少化하고 이를 통해 特有의 깊은 風味를 具現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東亞닷컴 김민범 記者 mbki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