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는 靑개구리”… ‘악뮤’ 틀 깨고 죽음을 노래하다|동아일보

“나는 靑개구리”… ‘악뮤’ 틀 깨고 죽음을 노래하다

  • 東亞日報
  • 入力 2022年 10月 18日 03時 00分


코멘트

싱어송라이터 ‘AKMU’ 이찬혁
데뷔 첫 솔로 앨범 ‘ERROR’ 發賣
‘죽음에 對한 省察’ 11曲 수록
“예쁜 男妹로 繼續 가는건 힘들어… 앞으로 내 欲心 담은 노래 만들것”

YG엔터테인먼트 제공
YG엔터테인먼트 提供
天才라는 修飾語가 따라다니는 싱어송라이터, ‘AKMU’(악뮤·前 惡童뮤지션)의 이찬혁(27·寫眞)은 스스로에게 자주 죽음과 關聯된 質問을 던진다고 한다.

“只今 옳다고 생각한 價値는 죽기 直前일 때도 如前히 重要할까.” “늘 謙遜하겠다고 하지만, 實은 王이 되고 싶었는데. 내 性(城)은 만들고 죽어야 하지 않나?” “살면서 가장 重要한 건 뭘까.”

서울 麻浦區 YG엔터테인먼트 社屋에서 17日 만난 이찬혁은 데뷔 8年 만의 첫 솔로 앨범 ‘ERROR’를 내놓은 契機가 “죽음에 對한 省察”이었다고 했다. 收錄된 11曲은 ‘죽음 앞에 선 이찬혁’라는 主題 아래 有機的으로 흘러간다. 이찬혁이 갑작스러운 事故로 病院에 실려 가는 ‘目擊談’과 ‘사이렌’을 始作으로, 昏睡狀態인 그가 삶을 回顧하는 타이틀曲 ‘파노라마’를 거쳐 죽음을 맞은 뒤 葬禮式 風景을 想像한 ‘葬禮希望’으로 이어진다.

“악뮤로 活動하며 늘 音樂에 옳다고 생각하는 價値를 담아 왔어요. 그런데 그 생각에 誤謬가 있는 것 같았죠. 지난해 앨범 ‘넥스트 에피소드’에선 自由와 사랑에 對해 얘기했는데, ‘내가 當場 죽는다면 그게 내 最大 價値일까’ 苦悶했어요. 거기서 뭔가 內的 矛盾이 찾아오더라고요. 이番 앨범에서 그 間隙을 줄여 보고자 했습니다.”

무거운 主題를 다룬 솔로 앨범은 귀엽고 潑剌했던 악뮤의 旣存 色彩와 完全히 다르다. 이미 재즈부터 댄스, 힙합, 일렉트로닉까지 다양한 장르를 涉獵했지만, 이番 曲들은 全혀 ‘악뮤스럽지’ 않다. 아버지, 어머니는 勿論이고 그룹 멤버이자 親同生인 이수현은 ‘目擊談’이나 ‘葬禮希望’을 듣고 너무 슬퍼서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악뮤로 好評받아 언제나 感謝하죠. 하지만 그게 다는 아니란 걸 보여주고 싶었어요. 수현이도 저도 나이가 들며 各自 캐릭터가 明確해졌어요. 第 캐릭터 안에 수현이가 들어오는 게 쉽지 않아졌죠. 이젠 ‘예쁜 男妹’로만 繼續해서 가는 건 힘들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제 欲心을 담은 노래를 만들 거예요.”

너무 過激한 變身이 아닐까 싶지만, 이찬혁의 豫測 不許 行步를 생각하면 그리 語塞하진 않다. 最近 그는 서울 光化門과 汝矣島 出勤길에 잠옷 차림으로 出沒해 벤치에 앉아 新聞을 읽는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KBS ‘전국노래자랑’ 觀客席에 앉아 있다 偶然히 카메라에 잡히기도 했다. “지나가는 길에 노래가 들려 偶然히 찾아갔다”는 答辯도 하고 싶은 건 해야 直星이 풀리는 ‘이찬혁’다웠다.

“스스로도 靑개구리라는 걸 認定하기 始作했어요. (스태프가) 예쁜 머리를 해주시면 괜히 헤어와 메이크업을 안 하고 싶은 反撥心이 들어요. 틀을 다 깨고 싶어요. 저만의 城을 만들어 파티를 열고 사람들이 놀러 오는 삶을 꿈꾸고 있습니다.”



김재희 記者 jetti@donga.com
#악뮤 #이찬혁 #싱어송라이터 #죽음 省察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