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사람이 만드는 法]“700페이지 料理冊에 왜 寫眞 한張 없냐고요?”|동아일보

[이 사람이 만드는 法]“700페이지 料理冊에 왜 寫眞 한張 없냐고요?”

  • 東亞日報
  • 入力 2020年 7月 4日 03時 00分


코멘트

‘正統 이탈리아…’ 編輯者 서성진

안철민 기자 acm08@donga.com
안철민 記者 acm08@donga.com
2001年 美國 政治드라마 ‘웨스트 윙’ 시즌2 17篇에서 70代 上院議員이 健康保險法案 處理를 막으려고 필리버스터(無制限 討論)를 한다. 李 議員이 8時間째 壇上에서 읽는 것은 두꺼운 料理冊이다. 새우튀김 料理法을 읊는 場面이 暫時 비친다.

料理冊은 讀書의 對象이라기보다는 實用書다. 完成된 飮食을 접시에 먹음직스럽게 담은 寫眞이 있고, 條理 順序別 寫眞을 곁들인 것도 있다. 그런데 料理 寫眞은 아예 없고 700쪽 分量에 450餘 가지 料理法을 담은 冊이 있다. ‘正統 이탈리아 料理의 精髓’(마르첼라 하잔 지음·박혜인 옮김·마티)다.

서성진 編輯者(35·寫眞)를 비롯해 人文藝術 書籍을 主로 내온 出版社 마티 사람들은 이 冊대로 하면 집에서도 매끄럽게 만들 수 있는지 直接 몇 가지를 料理해봤다.

“代表 料理法이 洋파 토마토 버터만 넣는 토마토소스, 몸통에 레몬만 넣고 굽는 로스트치킨, 牛乳에 조린 돼지고기 등心인데 이 中 토마토소스, 로스트치킨하고 파스타, 시금치 수프 等을 만들어 먹어보고는 ‘괜찮다, 이거’ 했지요.”

完成品 寫眞이 없으니 스스로 만들고서 ‘이 비주얼이면 괜찮은 건가’ 疑懼心도 들지만 먹어봤을 때 “괜찮잖아!”라며 滿足할 수 있단다.

지난달 30日 서울 鍾路區 카페 이마에서 만난 서 編輯者는 “旣存 料理冊에는 照明도 환하고 더 번지르르하게 나오게 기름을 발라 찍는 料理 寫眞이 있지만 집에서 하면 絶對 그런 비주얼이 안 나와 挫折感만 느낀다”고 말했다. 이 冊은 그렇지 않다는 얘기다.

이탈리아 料理의 聖經으로 불리는 ‘실버스푼’李 이탈리아에 사는 이탈리아人을 위한 冊이라면 ‘正統 이탈리아…’는 비(非)이탈리아人을 위한 이탈리아 料理冊의 最高峯으로 꼽힌다.

“美國에 살던 著者가 이탈리아말로 쓴 料理法을 美國人 男便이 英語로 옮겨 적었대요. 料理 初步인 配偶者가 기초적인 것까지 물어봐서 그런지 內容이 仔細해요.”

著者(1924∼2013)는 이탈리아에서 이 料理를 언제 왜 먹는지, 故鄕 또는 아버지 等 함께 먹었던 사람과 空間의 追憶을 군데군데 넣어 읽는 맛도 난다. 밑줄을 쳐가며 읽을 만한 대목이 적지 않다. ‘밤은 겨울에 求하면 좋다’가 아니라 ‘밤을 求할 수 있는 絶好의 時期는 낮이 짧고 밤은 길며 차가울 때’라는 式이다.

著者는 冊에서 “創造的이며 놀라운 맛을 내려고 쓴 것이 아니다. 읽은 사람들을 안심시키려고 썼다”고 말한다. 그만큼 庶民的이고 普遍的이라는 뜻일 게다. 서 編輯者는 “完璧한 맛은 아니지만 내 입맛에 간이 맞고 ‘한 끼, 잘 해먹었다’ 程度로 料理할 수 있으니 ‘安心이 된다’는 말이 딱 맞는다”고 했다.

海外에서는 이 冊의 모든 料理를 해먹어보겠다며 挑戰하는 사람도 있다고 한다. 모를 일이다. 이 冊의 料理法을 유튜브에서 누가 失戀해 보일는지.
 
민동용 記者 mindy@donga.com
#正統 이탈리아 料理의 精髓 #서성진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