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年 前, 白手끼리 뭉쳐 日냈죠”|동아일보

“13年 前, 白手끼리 뭉쳐 日냈죠”

  • Array
  • 入力 2010年 3月 19日 03時 00分


코멘트

國學 必讀書 된 季刊 ‘文獻과 解釋’ 50號 눈앞… 創立멤버 만나보니

17일 오후 서울 강남구의 한 음식점에서 성균관대 안대회, 서울대 이창숙, 서울대 이종묵, 성신여대 강혜선, 서울대 정병설 교수(왼쪽부터)가 모였다. ‘문헌과 해석’을 10년이 넘도록 지켜온 이들은 “50호까지 낼 수 있을 줄은 생각도 못했지만 재미를 좇아 공부하다 보니 여기까지 왔다”고 입을 모았다. 변영욱 기자
17日 午後 서울 강남구의 한 飮食店에서 成均館大 안대회, 서울대 이창숙, 서울大 이종묵, 誠信女大 강혜선, 서울大 정병설 敎授(왼쪽부터)가 모였다. ‘文獻과 解釋’을 10年이 넘도록 지켜온 이들은 “50號까지 낼 수 있을 줄은 생각도 못했지만 재미를 좇아 工夫하다 보니 여기까지 왔다”고 입을 모았다. 변영욱 記者
1997年 9月 30日 創刊號를 낸 學術 季刊誌 ‘文獻과 解釋’이 올해 봄 50號를 맞는다. 같은 이름의 硏究모임이 國文學, 漢文學, 科學史, 藝術史, 書誌學, 生活史 等 學問 分課의 境界를 넘어 모임을 해온 지도 벌써 13年을 넘겼다.

‘새로운 資料를 發掘하고 旣存 資料를 새롭게 解釋瑕疵’는 趣旨답게 이 모임은 思悼世子의 마지막 親筆, 正祖가 臣下에게 보낸 御札첩 等을 發掘하고 解釋하는 等 적잖은 成果를 거뒀다. 50號째를 맞는 雜誌 ‘文獻과 解釋’은 이런 硏究의 結果物을 담는 그릇 役割을 해왔다.

50號 發行을 앞두고 創立 會員인 이종묵 서울大, 안대회 成均館大, 강혜선 誠信女大 敎授와 創立會員 못지않게 活潑하게 活動하고 있는 정병설 이창숙 서울大 敎授가 17日 午後 서울의 한 飮食店에 모였다. 때 아닌 눈에 敎授들은 “날씨가 이러니 梅花가 다 지겠다” “只今이 딱 梅花 보러 갈 때인데 가기도 힘들겠다”는 말로 人事를 주고받았다.

○ ‘白手들 모임’이 ‘國學 硏究者들의 必讀書’ 내기까지

‘國學 硏究者들의 必讀書.’ 創刊號부터 只今까지 ‘文獻과 解釋’을 出版하고 있는 太學士가 홈페이지에 내건 弘報 文句다. 하지만 이종묵 敎授의 表現에 따르면 始作은 ‘白手들의 모임’이었다. “韓國學 하던 親한 白手들끼리 ‘時間도 남는데 工夫나 하자’고 모인 것이 契機였죠. 單, 專攻醫 境界를 넘어 함께 工夫하며 視野를 넓혀 보자는 뜻이 있었습니다.”

1996年 여름 主로 國文學科 漢文學을 專攻한 學者 10餘 名이 모임을 始作했다. 專攻, 學科, 大學, 學歷을 區分하지 않는 모임을 標榜했다. 古文獻 硏究가 박철상 氏처럼 專攻者는 아니지만 個人的으로 硏究를 해오던 ‘古文獻 마니아’들도 參與했다.

現在 文獻과 解釋 ‘社長’(모임 代表를 가리키는 말)인 이창숙 敎授의 專攻은 中國 戱曲이다. 李 敎授는 “中國 文學을 하더라도 大部分 影印本으로 工夫를 하는데 이 모임에서 처음으로 中國 古書를 보고, 草書를 읽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모임 參加者들은 古文獻을 正確히 解釋하는 데 焦點을 뒀지만 뜻밖의 成果가 잇따랐다. 안대회 敎授는 소나무 植木 政策에 關한 丁若銓의 冊 ‘송정사의(松政私議)’를 發掘했고, 정병설 敎授는 朝鮮時代 畫帖 ‘中國歷史 會模本(中國歷史繪模本)’ 序文이 思悼世子의 죽기 前 마지막 親筆이라는 事實을 밝혀냈다. 2009年 世上에 알려진 正祖가 심환지에게 보낸 御札度 이 모임의 會員들이 主導해 發掘해냈다.

“專攻-學歷 따지지 말자” 學者 아닌 個人 硏究者도 參與
쉽고 自由로운 글쓰기로 古文獻 解釋 새 地平
‘正祖가 심환지에 보낸 便紙’ 發掘 等 成果 수두룩


○ 學者가 즐기는 工夫로 韓國學 大衆化에 기여

‘文獻과 解釋’이 자리 잡을 무렵인 2000年代 初에는 朝鮮時代 文化에 對한 大衆的 關心이 커졌다. 이창숙 敎授는 “當時 關心에 學界가 和答하는 方式에서 ‘文獻과 解釋’李 模範答案을 提示했다는 생각을 한다”고 말했다. 재미있고 理解하기 쉬운 글쓰기를 追求한다는 答案이다.

‘文獻과 解釋’은 韓國硏究財團에 學術誌로 登載돼 있지 않다. 그만큼 格式을 따지지 않는 自由로운 글쓰기가 可能하다. 실리는 글은 大體로 原稿紙 30∼50張 안팎의 짧은 글이다. 강혜선 敎授는 “敎授들은 點數를 따기 위한 論文 쓰기와 論文式 事故에만 치우치기 쉬운데 ‘文獻과 解釋’에선 쓰고 싶은 글을 쓸 수 있다”고 말했다. 50號를 記念해 會員들이 各自 文獻이나 그림, 寫眞 하나를 擇해 자유롭게 쓴 글을 묶은 單行本도 企劃 中이다.

정병설 敎授는 이 冊에 프랑스 파리外方宣敎會에서 본 그림 한 場에 關한 原稿를 실을 豫定이다. 그림에 登場한 宣敎師가 韓國에 와 제대로 宣敎를 해보지도 못하고 죽었다는 事緣이 있는 그림이다. “제 專攻인 國文學徒 아니고, 甚至於 韓國 傳統 繪畫에 關한 글도 아닌데 어디다 쓰겠습니까? 그래도 ‘文獻과 解釋’이니까 받아주겠거니 하고 제가 正말 感動받은 그림에 對해 글을 쓰는 거죠.”

○ ‘武林의 高手’ 키울 일만 남아

안대회 敎授는 2000年代 들어 한동안 ‘文獻과 解釋’ 모임에 나가지 않았다. “後輩나 弟子들이 제 눈치를 보는 것 같아서, 자유로운 雰圍氣를 위해 빠져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나중엔 너무 심심해서 다시 나가기 始作했지만….”

그만큼 後學을 키우는 일은 이들의 큰 關心事다. 鄭 敎授는 “함께 工夫하는 젊은 學者들이 內容도 바꾸고 形式도 바꿔 나가길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安 敎授는 “앞으로는 特定 主題를 놓고 모든 時代를 아우르거나, 特定 時代를 놓고 모든 主題를 아우르는 硏究者가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그래야 外國처럼 ‘碩學’이 나올 수 있다는 것이다. 이종묵 敎授는 “누군 草書를 잘 읽고, 누군 古文獻을 보는 눈이 밝고, 누군 글을 잘 쓰니 잘하는 걸 하나씩 주면 ‘武林의 高手’ 한 名은 키워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새샘 記者 iamsa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