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考古學에게 말 걸기 20線] <20>두더지 考古學|東亞日報 </20>

[考古學에게 말 걸기 20線] <20>두더지 考古學

  • 入力 2009年 7月 8日 03時 04分


◇ 두더지 考古學/임효재 지음/집문당

《“人類 全體의 99% 以上이나 되는 길고도 긴 歷史 資料가 地下世界에 움츠리고 있다. 더구나 이들은 그 自身의 存在를 스스로 밝히지 못하는 意識이 없는 벙어리이자 現世 逃避者이기 때문에 意識이 있는 者가 이들을 찾아내어 그 眞面目을 들추어내 줄 때에만 비로소 生命이 復活되어 歷史的인 價値가 되살아나는 特性을 갖고 있는 것이다. 그 때문에 이런 것들을 찾아내어 밝히는 考古學이 發達되지 못하였을 때 歷史는 恒常 어둠 속에 묻혀있기 마련이다.”》

‘遺物에 말 걸기’ 잊지못할 40年

1976年 봄, 서울대 考古學 硏究室에는 興奮된 雰圍氣가 감돌았다. 京畿 驪州郡 흔암리 靑銅器 遺跡의 집터에서 採集한 몇 가마니나 되는 흙을 笊籬질로 걸러내기를 6個月째. 흙 속에서 드디어 쌀알이 모습을 드러낸 것이다. 그냥 쌀이 아니라 3000年 前의 古代美였다.

以前까지 韓國에서 發見된 가장 오래된 쌀 資料는 1世紀頃의 炭化米였다. 日本의 境遇 紀元前 3世紀의 쌀이 여러 次例 나와 韓半島의 쌀이 日本에서 流入됐다는 說이 나오는 狀況이었다. 흔암리 遺跡에서 發見된 古代미는 韓半島 벼農事의 歷史를 앞당겼을 뿐 아니라 日本보다 約 600年 앞선 것으로 判定돼 東아시아의 벼農事 傳播 經路를 바꿨다.

이때 使用된 技術을 ‘富裕技術’이라고 한다. 微細한 크기의 炭化穀物을 찾아내기 위해 아주 가는 체로 흙을 걸러내는 技術이다. 1968年 美國 일리노이 州 노스웨스턴대의 수트르바 敎授가 創案했다. 1976年 前까지는 韓國에 導入되지 않았던 技術이다. 새로운 技術이 새로운 發見을 가져온 것이다.

當時 古代美 發見에 寄與한 人物이 바로 이 冊의 著者. 그는 1969年부터 2006年까지 서울대 考古學科 敎授로 在職하며 40餘 年間 發掘現場을 누볐다. 이 盧(老)敎授는 自身이 平生 지켜온 現場의 이야기를 생생하게 傳한다.

1981年 始作된 講院 襄陽의 오산리 遺跡 發掘은 모래와의 싸움이었다. 오산리 遺跡이 湖水가의 모래언덕에 位置해 있는 데다 襄陽의 바람이 워낙 剛해 아무리 모래를 퍼내도 다음 날이면 그만큼의 모래가 바람에 날려 發掘現場을 뒤덮곤 했다. 作業 中 부드러운 모래더미가 무너지면서 人夫 한 名이 埋沒됐다가 救出되는 아찔한 事件도 있었다.

하지만 이 바람 德分에 貴重한 遺物이 發掘되는 ‘轉禍爲福’이 생기기도 했다. 發掘 現場 周邊의 모래가 깎여나가면서 그 속에서 粘土로 만든 얼굴彫刻像이 發見된 것이다. 손가락으로 表面을 눌러 눈과 입을 表現한 이 彫刻像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土偶였다. 이 外에도 各種 土器와 길이 24cm의 大型 돌톱, 돌을 깎아 만든 이음식 낚시道具, 地上家屋의 집터 等이 發掘됐다. 이 中 結合式 낚시道具는 다른 곳에서 發掘되지 않은 獨特한 形態로 ‘오산리型 낚시道具’로 불린다. 이 遺物과 똑같은 形態의 낚시道具가 1989年 日本 규슈 구마모토 縣에서 發掘돼 古代 韓國과 日本의 活潑한 文化交流를 證明하기도 했다.

著者가 大學 卒業 뒤 繼續 考古學 硏究를 하고 싶다는 뜻을 밝히자 스승이었던 金元龍 博士는 著者에게 “이 學問은 地下에 묻혀 있는 옛 遺物을 찾아 祖上의 歷史를 밝히는 것인 만큼, 富貴榮華와는 담을 쌓은 채 남이 알아주지도 않는 孤獨한 硏究의 連續만이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그래도 좋은가?”라고 물었다. 富貴榮華 代身 말 못하는 過去의 遺物에 목소리를 불어넣는 考古學者의 삶을 기꺼이 擇한 著者는 韓國 中國 日本 等의 發掘現場에서 活躍했던 經驗과 各種 學術大會에 參加했던 感想 等을 이야기하며 “땅을 파는 두더지 人生에서 決코 잊을 수 없는 事件들”이라고 回想한다.

이새샘 記者 iamsa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