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漢字 뿌리읽기] <243>衣(옷 의)|동아일보 </243>

[漢字 뿌리읽기] <243>衣(옷 의)

  • 入力 2005年 8月 26日 03時 03分


코멘트
衣는 윗옷을 그렸는데, 윗部分은 목둘레를 따라 만들어진 옷깃(領·嶺)을, 아랫部分은 兩쪽은 소매(袂·몌)를, 나머지 中間部分은 옷섶(임·임)인데 안섶이 왼쪽으로, 겉섶이 오른쪽으로 가도록 여며진 모습이다.

그래서 衣는 치마(裳·上)에 대칭한 ‘윗옷’이 元來 뜻이며, 여기서 衣服을, 다시 事物의 外皮를 뜻하게 되었고 싸다, 덮다, 입다 等의 뜻까지 생겼다.

먼저, 옷감을 뜻하는 境遇이다. 衣食住(衣食住)라는 말에서 보듯이 人間 生活에서 옷의 製作은 무엇보다 重要한 일이었을 것이다. 初(처음 初)는 칼(刀·道)로 옷감(衣)을 마름질하는 모습이고, 그것이 옷을 짓는 ‘처음’임을, 製(지을 제)도 옷감(衣)을 마름질(制·第)하는 모습에서 ‘만들다’는 一般的 意味로 擴張되었다. 또 裁(마름질할 再)는 衣와 戈(窓 과)와 才(재주 再)로 이루어져 칼(戈)로 옷감(衣)을 재주껏(才) ‘마름질’하는 모습인데 才는 소리不渡 겸한다.

둘째, 옷의 部位나 種類를 指稱한 境遇로, q(옷섶 次)는 옷의 엇갈리는(叉·차) 部分을, 袍(핫옷 砲)는 아이가 뱃속에 들어 있듯(包·포) 속에 솜을 넣은 겨울옷을, 衷(속마음 衝)은 속(中·中)에 입는 옷을, 複은 옷(衣) 위에 다시(復·福) 입는 ‘겹옷’을 말한다. 袁은 둥근 璧玉(碧玉)으로 治粧한 옷(衣)을 그렸고, 區(갖옷 區)는 元來 求(求할 區)로 써 옷(衣) 사이로 털이 삐져나온 모습을 그렸는데 後에 衣를 더해 ‘가죽 옷’의 意味를 强化했다.

셋째, 褓(포대기 報)는 아이를 保護(保·保)하는 이불을, 被(이불 피)는 겉(皮·피)에 덮는 이불을 말한다. 그런가 하면 옷이 가지는 여러 象徵과 關聯되어, 哀는 슬퍼 哭(穀)을 할 때 입는 ‘喪服’을, 衰(衰할 쇠)는 元來 도롱이처럼 짚으로 엮은 喪服을 그렸는데, 衰弱함을 뜻하게 되자 蓑(도롱이 社), y(賞福이름 崔) 等으로 分化했다. 卒은 윗옷(衣)에다 X型의 表示를 더해 勞役에 從事하는 奴隸나 兵卒(兵卒)을 나타냈으며, 裕(넉넉할 有)는 옷이 골짜기(谷·曲)처럼 커 餘裕가 있음을 말한다.

하영삼 경성대 敎授 ysha@ks.ac.kr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