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小說 `나비야 靑山가자` 連載 始作하는 박경리|東亞日報

새小說 '나비야 靑山가자' 連載 始作하는 박경리

  • 入力 2003年 2月 5日 19時 23分


코멘트
4日 午後 講院 原州 土地文化館에 닿았을 때 앞 山으로 붉은 해가 뉘엿뉘엿지고 있었다. 두텁게 쌓인 눈과 고즈넉한 사위. 박경리 先生(77)의 집에서 새어 나오는 따뜻한 불빛. 겨울의 한 가운데, 作家는 늘 그렇듯이 같은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

門을 두드리자 微笑로 맞아주는 作家의 등 뒤로 타닥타닥 長斫타는 소리가 氣分좋게 울렸다. 壁暖爐 앞에 작은 床을 펴고 앉아 새 小說을 執筆하고 있는 模樣이었다. 그는 ‘현대문학’ 4月號부터 連載를 始作하는 ‘나비야 靑山가자’의 2回分을 쓰고 있다고 했다. 萬年筆 글씨로 메운 原稿紙가 床 위에 가득했다.

“이제 文化官道 자리를 잡았고, 차분히 글을 쓸 수 있을 程度로 마음의 安定을 찾았거든요. 그런데 오늘은 날씨가 궂어서 몸이 別로 좋지가 않네. 글도 잘 안 풀리고. 只今까지는 고인 물 퍼내듯이 술술 잘 나왔는데….”(웃음)

‘토지’ 以後 9年만에 쓰는 ‘나비야…’는 本來 ‘현대문학’에 短篇으로 실으려고 準備했던 作品.

“水彩畫 같은 作品을 짧게 쓰려 했는데, 解放 後 知識人들의 苦惱를 담으려다 보니 그 背景이 簡單하지가 않아. ‘토지’ 以後 50年의 歲月을 그리려고 마음을 먹었지요.”

“글을 쓰지 않고 지낸 歲月이 한참이지만, 作家의 머리속에는 늘 무언가가 움직이고 고여 있지요. 그런 마음도 있어요. 이것 봐라. 내가 80歲가 다 돼 가면서도 글을 쓴다. 兆로(早老)하지 마라. 이런 傲氣가 있다고. (웃음) 이番이 마지막 作品이 되지 않겠어요…. 世上 떠날 때까지 끊임없이 일해야지요. 나는 일 안하고 가만히 못 있어. 또 作家는 끝날까지 글을 써야지.”

죽는 날까지 일하고 배우는 게 곧 사람이라고 그는 여러 番 强調했다.

“土地를 쓰는 26年間 나는 土地와 함께 자라고 배워 왔지요. 文化館 일에 邁進했던 지난 9年 동안에도 熾烈한 現實과 부딪히며 또 배움을 얻었습니다. 이番 作品을 쓰면서도 그럴테지요.”

壁暖爐가 있는 房에서 글을 쓰며 왜 이렇게 목이 아플까, 하다가 酸素가 不足해서 그렇다는 것을 알고 밭일을 始作했다. 그래서 옥수수를 한날 심었는데 한꺼번에 所出이 나와 이듬해에는 몇 週間씩 期間을 두고 나눠 심는 法을 배웠다며 그는 웃었다.

作家가 各別한 功을 들인 土地文化館이 五峯山 자락에 세워진지 올해로 5年째. 그의 말처럼 ‘現實’과 맞닥뜨려야 했던 지난 날이 쉽지만은 않았다.

“속상한 적이 셀 수 없이 많았지. 山에 올라가서 産科 이야기를 나누기도 하고, 혼자 가슴앓이도 하고 그랬어요. 내가 이걸 왜 始作했을까 하고 예전에는 歎息했는데, 이제는 물흐르는 것처럼 마음을 맡겨 둔다고. 文人들을 돕고 支援하는 일은 누군가는 해야 하니까.”

土地文化館은 100日間 文人에게 創作 및 執筆 空間을 無料로 提供한다. 代價를 바라지 않는 作家의 ‘奉仕精神’李 文化館의 튼튼한 기둥이 된다.

“文化部의 支援을 지난 2年間 받았는데, 올해는 어떻게 될지 모르겠어요. 支援해주지 않아도 이 일은 繼續해 나갈 생각이예요. 實際로 도움이 되는 일을 하고 싶으니까요.”

‘能動的인 生命을 生命으로 있게 하기 위하여 작은 불씨, 작은 씨앗 하나가 되고자 하는’(토지문화재단 ‘設立의 뜻’ 中) 作家의 마음이 아름답다.

돌아오는 길에 그는 봄이 되면 五峯山에 냉이 두릅 곰치 더덕이 軟한 싹을 틔울 거라고, 밭일을 하고 있으면 손가락 한 마디쯤되는 작은 새가 날아와 재재거리는 것이 참 예쁘다면서, 손수 키운 갓으로 담은 김치를 草綠色 褓자기에 꼭꼭 싸주었다.

原州=조이영記者 lycho@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