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鬱陵島 바다 헤엄치는 밍크고래 語尾·새끼 첫 捕捉 | 채널A 뉴스
鬱陵島 바다 헤엄치는 밍크고래 語尾·새끼 첫 捕捉
2024-04-12 19:52 社會

[앵커]
밍크고래 어미와 새끼가 함께 헤엄치는 모습, 鬱陵島 海上에서 세계 最初로 捕捉됐는데요. 

임종민 記者가 報道합니다. 

[記者]
고래 한 마리가 유유히 헤엄칩니다.

暫時 뒤 나타난 새끼 고래, 어미 품에 붙었다가 떨어지기를 反復하며 따라갑니다.

지난 2日 國立水産科學院이 鬱陵島 海上에서 세계 最初로 捕捉한, 밍크고래 어미와 새끼가 동시에 헤엄치는 場面입니다.

밍크고래는 몸이 가늘고 길며 주둥이가 뾰족하고, 가슴지느러미 中央에 흰 띠가 뚜렷히 보이는 게 특징입니다.

水産科學院이 捕捉한 두 밍크고래 몸에는 아열대·열대 地方 상어에게 물린 傷處가 觀察됐습니다.

어미가 太平洋 따뜻한 바다에서 낳은 새끼를 데리고 대한해협을 거쳐 울릉도까지 온 것으로 보입니다.

[朴兼準 / 國立水産科學院 고래硏究所 博士]
"明確한 懷柔 經路들을 推定할 수가 있어서 고래류를 保存하는데 좋은 資料로 活用될 수가…"

밍크고래는 4, 5月 東海上에 약 780마리가 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또 이番 觀測에서는 떼지어 헤엄치는 참돌고래 約 400마리와 미확인 고래種 3마리가 추가로 發見됐습니다.

채널A 뉴스 임종민입니다.

映像編輯 : 이승은
[채널A 뉴스] 購讀하기

이시각 主要뉴스

댓글
댓글 0個

  • 첫番째 댓글을 作成해 보세요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